최근 수정 시각 : 2025-09-05 16:48:48

한터로

<colkeepall>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용인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60af><colcolor=#fff> 가재월로 · 가창로 · 각궁로 · 갈담로 · 갈월로 · 경기동로 · 경안천로 · 고당로 · 고림로 · 고안로 · 고진로 · 고초골로 · 곡현로 · 관전로 · 교동로 · 구수동로 · 근곡로 · 근삼로 · 근창로 · 금령로 · 금어로 · 금학로 · 기흥단지로
낙은로 · 남곡로 · 남산로 · 남촌로 · 남평로 · 내기로 · 내동로 · 농촌파크로 · 능곡로 · 능원로
당하로 · 대대로 · 대지로 · 대흥로 · 덕성로 · 덕성산단1로 · 덕성산단2로 · 덕평로 · 도창로 · 독점로 · 동부로 · 동산로 · 두계로 · 두창로 · 두창호수로 · 둔전로
마두로 · 마성로 · 맹리로 · 명지로 · 모래실로 · 모산로 · 묘봉로 · 묵동로 · 문촌로 · 문현로 · 문형동림로 · 문화로 · 미평로
박곡로 · 반정로 · 방아로 · 백동로 · 백령로 · 백봉로 · 백암로 · 백원로 · 백자로 · 보개원삼로 · 복분로 · 봉무로 · 부곡로
사암로 · 산내촌로 · 산정로 · 삼가로 · 삼배울로 · 삼백로 · 삼인로 · 상덕로 · 상동로 · 새래로 · 새실로 · 생안로 · 서리로 · 서촌로 · 석성로 · 석실로 · 선장1로 · 선장2로 · 성산로 · 송담로 · 송주로 · 수세로 · 수정로 · 시미곡로 · 식금로 · 식송로 · 신기로 · 신송로
아곡로 · 안터로 · 양대로 · 양주로 · 양지로 · 양지촌로 · 어진로 · 어현로 · 에버랜드로 · 염티로 · 영문로 · 예직로 · 오산로 · 오포로 · 옥산로 · 옥이내로 · 옥현로 · 완장천로 · 왕담로 · 왕림로 · 외개일로 · 외대로 · 용곡로 · 용문로 · 용수로 · 용암로 · 용인대학로 · 용천로 · 운학로 · 원설로 · 원암로 · 원양로 · 원천로 · 월곡로 · 월촌로 · 유림로 · 은이로 · 이원로 · 이일로 · 임원로
자작나무로 · 장재로 · 적동로 · 전궁로 · 전대로 · 전성로 · 전원로 · 좌찬로 · 주북로 · 주한로 · 중덕로 · 지삼로 · 진덕로 · 진촌로
처인성로 · 천덕산로 · 청강가창로 · 청계로 · 초부로 · 초하로 · 추계로 · 충렬로
태재로 · 통삼로
파담로 · 평옥로 · 평온의숲로 · 평창로 · 평촌로 · 포곡로
하덕로 · 하사로 · 학산로 · 학일로 · 학촌로 · 한금로 · 한덕로 · 한숲로 · 한택로 · 한터로 · 해곡로 · 해실로 · 행정로 · 향교로 · 형제로 · 호동로 · 화곡로 · 화산남로 · 화산로 · 황새울로 · 후평로
경기도의 도로 틀 둘러보기 }}}}}}}}}


한터로
한터路 | Hanteo-ro
{{{#!wiki style="margin: -16px -11px"← 유림로 (서) 도척로 (동) →}}}
← 수원 방면
고림로
98번
지방도
양평 방면 →
도척로
노선 번호
98번 지방도
기점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유림동 버드실사거리
종점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광주시계
관리
경기도, 용인시
왕복 차로 수
2~4차로
주요 경유지
유림동 ↔ 주북리, 대대리, 정수리 ↔ 광주시계(추곡리)

1. 개요2. 상세

1. 개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에 위치한 도로로, 명칭은 이 도로의 주요경유지인 양지면 대대리의 순우리말 이름[1]에서 따왔다. 버드실사거리-유림교사거리를 제외한 전 구간이 98번 지방도에 속한다.

2. 상세

정수고개를 넘어 용인 처인구 시내와 광주시 도척면을 잇는 도로로, 화성광주고속도로가 이 도로를 대체하기 위해 같은 구간으로 놓여졌다. 양지면 북부[2] 지역의 주 간선도로이기도 하며, 이 지역에서는 중부대로 연선의 양지면 중심지와 생활권이 이격되어 있어 이 도로를 타고 용인시내로 나가는 것이 더 편하다.

시점 버드실사거리에서는 유림로와 직결되며, 백옥대로와 교차한다. 광주시계에서는 도척로와 직결되어 도척면 읍내, 나아가 곤지암읍까지 이어진다.


[1] 대대리의 한자이름은 大垈里이고, 큰 대, 집터 대로 이루어져 있어서 순우리말로 한터이다. 대대리 근처에서는 한터초등학교 등 한터로 된 이름을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법정리(마을이름)명이기도 하다.[2] 주북리, 대대리, 정수리의 3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군면 통폐합 이전 양지군 주북면을 구성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