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4 17:29:01

하얼빈 혁명

1. 개요2. 배경3. 전개4. 결과5. 참고문헌

1. 개요

1917년, 만주에서 러시아 제국이 소유하고 있던 중동철도와 하얼빈 조계지의 러시아인들이 러시아 혁명의 영향으로 적군과 백군으로 갈라져 충돌했던 사건이다.

2. 배경

19세기 말 러시아 제국은 적극적인 동진정책을 취하여 아이훈 조약, 베이징 조약을 체결하여 청나라에게서 연해주를 빼앗았으며 야쿱 벡의 반란을 틈타 신강성 서부 일리강 유역의 드넓은 영토를 얻었다. 하지만 러시아의 동진정책은 경제적으로 적자로 돌아왔고 러시아의 정책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게 된 재무상 세르게이 비테는 동진정책을 수정하여 '평화로운 침투'를 표방하였다. 청일전쟁 직후인 1897년, 러시아 제국은 북만주 철도 부설권을 획득하게 되는데 이 철도를 북양정부까지는 동청철도, 국민정부 시기 이후에는 중동철도로 부르게 된다. 만주에는 동청철도를 지키기 위한 러시아 군대와 그 가족, 러시아 기술자들, 동청철도회사의 직원과 그 가족들이 이주하면서 광대한 러시아인 사회가 형성되었고 하얼빈의 경우, 60% 이상이 러시아인으로 구성될 정도였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 후 만주에 주둔한 러시아군 상당수는 유럽전선으로 이동했고 만주로의 러시아 이민도 주춤했으나 여전히 만주의 러시아인은 사회는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었다. 그러던 중 1917년 러시아 혁명이 발생하면서 임시정부가 수립되었다. 10월에 블라디미르 레닌이 임시정부를 타도하였으나 볼셰비키 정부의 영향력은 아직 전국적으로 행사되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특히 1917년 당시 중동철도 장관이었던 러시아군 육군중장 드미트리 호르바트는 혁명에 적대적인 인물로 하얼빈에는 정치적 파란이 예고되는 상황이었다.

3. 전개

볼셰비키 정부가 수립된 이후 러시아 전역에서 볼셰비키를 추종하는 소비에트가 수립되었다. 중국 영토이지만 러시아인들이 주류를 차지했던 하얼빈과 중동철도에서도 2월 혁명 이후 사회민주당을 중심으로 한 소비에트가 수립된 상황이었으나 10월 혁명이 발생한 이후 볼셰비키가 주도하는 병사-노동자 소비에트가 수립되면서 축출되었다. 레닌은 병사-노동자 소비에트를 하얼빈의 정식 권력기관으로 인정하고 볼셰비키에 적대적인 호르바트 장군으로부터 권력을 탈취할 것을 지령하였다. 이에 하얼빈 소비에트는 호르바트의 축출을 선언하며 호르바트에게 하얼빈의 권력을 이양할 것을 요구하며 파업, 무장봉기를 비롯한 투쟁에 돌입하였다.

하지만 호르바트 장군은 순순히 권력을 넘겨줄 생각이 없었고 휘하 병력을 이끌고 저항하는 한편 중국에 도움을 요청하였다. 여기에 더해 러시아 제국 공사를 비롯하여 열강의 공사단이 중국 정부에 하얼빈으로 출병하여 하얼빈의 소요를 진압할 것을 요청하였다. 당시 열강은 공산주의 혁명을 좋게 생각할 이유가 없었으며 볼셰비키 정부가 세계대전에서 발을 빼려하고 있다는 점에서 볼셰비키에게 적대적일 현실적인 이유도 있었다. 당시 만주는 펑궈장북양정부 관할 하에 있었는데 북양정부는 호법전쟁으로 굉장히 혼란스러운 상황이었다. 하지만 외교적인 요청도 있고 국내에서 벌어지는 무력충돌을 방관할 수 없었던 국무원은 길림독군 멍언위안에게 하얼빈으로 출병하여 볼셰비키를 무장해제할 것을 지시하였다. 이에 멍언위안이 4천 명의 병력을 이끌고 출병하여 하얼빈과 중동철도를 점령하였고 600여명의 적군을 무장해제하여 시베리아로 출병하면서 하얼빈 혁명은 실패로 끝났다.

4. 결과

이후 중국은 1918년 1월까지 중동철도를 점거하면서 중동철도를 완전히 중국의 소유로 전환하려 했으나 영국과 미국이 러시아의 소유권을 옹호하면서 철수해야 했다. 하지만 본국의 지원을 잃어버린 호르바트 측은 중국 측에 상당한 권력을 반환해야 했으며 이후 장쭤린이 만주를 통일하면서 호르바트에 대한 중국 측의 압력은 더욱 거세졌다. 하지만 호르바트는 중동철도를 독립왕국처럼 경영하며 시베리아 내전에 적극 개입하는 등 무시할 수 없는 인물로 남았다. 이후 카라한 선언을 발표한 소련과 중국이 정식으로 수교하면서 호르바트는 중동철도를 떠나 베이징으로 이주했으며 이후 중국 내 백계 러시아인 사회의 핵심적인 인물로 활동했다.

한편 만몽 문제에 독립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싶었던 일본 제국은 하얼빈 혁명을 독단적으로 처리하고자 했으나 펑궈장 정부가 연합국과 공동으로 문제를 처리하자 당황하여 일본에 우호적인 돤치루이를 지원하여 3차 돤치루이 내각을 성립시키고 중일군사협정을 체결하였다. 일본은 돤치루이와의 밀월을 바탕으로 시베리아 출병을 단행하게 된다.

5. 참고문헌

  • 김경태, 근대 한국의 민족운동과 그 사상(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4)
  • 윤휘탁, 근대 만주의 러시아인 사회와 민족 관계, 동북아문화연구 32호(2012년).
  • 이정식, 만주혁명운동과 통일전선(서울: 사계절, 1989)
  • 이채문, 망각 속의 디아스포라: 20세기 초기 하얼빈의 러시아인들, 국제지역연구 제7권 제2호(2003).
  • 박준수, 「중·일군사협정의 체결과 그 반대운동」 『강원사학』 제16호(200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