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니어처 게임 워해머 판타지의 주요 신격 일람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background: #f5f5f5" dark-style="background: #2d2f3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올드 월드의 신들 | 북방신 | 울릭 | 타알 |
| 라야 | 마난 | |||
| 남방신 | 모르 | 베레나 | ||
| 미르미디아 | 샬리야 | |||
| 라날드 | ||||
| 수호신 | 지그마 | 호수의 여인 | ||
| 우르순 | ||||
| 소신 | 다즈 | 토르 | ||
| 한드리히 | 스트롬펠스 | |||
| 드워프들의 신 | 드워프 조상신 | 그룽니 | 그림니르 | |
| 발라야 | 가줄 | |||
| 스메드니르 | 숭기 | |||
| 모그림 | ||||
| 엘프들의 신 | 카다이 | 아수리얀 | 릴레아스 | |
| 쿠르노스 | 이샤 | |||
| 라드리엘 | 호에스 | |||
| 로엑 | 바울 | |||
| 시타라이 | 케인 | 마슬란 | ||
| 아다이오스 | 아나스 라에마 | |||
| 아타르티 | 드라키라 | |||
| 엘드라조르 | 엘리닐 | |||
| 에레스 키알 | 에스트루스 | |||
| 헤카르티 | 휴콘 | |||
| 네투 | ||||
| 기타 | 모라이-헤그 | |||
| 리자드맨들의 신 | 올드 원 | 쵸텍 | 잇츨 | |
| 퀘츨 | 쿠아틀 | |||
| 테폭 | 후안치 | |||
| 틀락스코틀 | 사피티 | |||
| 소카 | 트준키 | |||
| 우스막 | 솔란카 | |||
| 정체 불명 | 소텍 | |||
| 아마존들의 신 | 올드 원 | 리그 | 카라 | |
| 툼 킹들의 신 | 네헤카라의 신들 | 프트라 | 아사프 | |
| 우시리안 | 사크메트 | |||
| 드자프 | 게헤브 | |||
| 크사르 | 파크스 | |||
| 쿠아프 | 소크스 | |||
| 우알라트프 | 타호스 | |||
| 네루 | 바스트 | |||
| 그린스킨들의 신 | 그린스킨들의 신 | 고크와 모크 | 거미 신 | |
| 오거들의 신 | 오거들의 신 | 위대한 아가리 | 불의 입 | |
| 동방의 신 | 니폰의 신 | 오렌지 심카 | ||
| 카오스 신 | 카오스 대신 | 코른 | 젠취 | |
| 너글 | 슬라네쉬 | |||
| 카오스 소신 | 뿔난 쥐 | 하슈트 | ||
| 네코호 | 주바신 | |||
| | ||||
| 미니어처 게임 에이지 오브 지그마의 주요 신 일람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모탈 렐름의 신들 | 오더 | 지그마 | 드라코시온 | 그룽니 | 그림니르 |
| 티리온 | 테클리스 | 알라리엘 | 말레리온 | |||
| 모라시 | 쿠르노스 | - | - | |||
| 데스 | 나가쉬 | |||||
| 디스트럭션 | 고카모카 | 크라그노스 | ||||
| 기타 | 올드 원 | 소텍 | 쵸텍 | 잇츨 | 퀘츨 | |
| 테폭 | 후안치 | - | - | |||
| 카오스 신 | 카오스 대신 | 코른 | 젠취 | 너글 | 슬라네쉬 | |
| 위대한 뿔난 쥐 | - | - | - | |||
| 카오스 소신 | 하슈트 | 몰구르 | ||||
| 하슈트 Hashut |
| |
| 어둠의 아버지, 하슈트의 상징물 (Symbol of Hashut, Father of Darkness) |
1. 개요
Warhammer(구판), 에이지 오브 지그마에 등장하는 카오스 신. 카오스 4대신에 들어가지 않는 카오스 소신으로 이명으로는 어둠의 아버지(Father of Darkness), 불의 신(God of Fire)[1]으로도 불리며 탐욕과 폭압(Greed and Tyranny)의 신이기도 한다.하슈트를 숭배하는 종족은 다크랜드에 거주하는 카오스 드워프들이다.
모티프는 고대 가나안 지역에서 신으로 숭배되었던 몰렉으로 추정된다.[2]
2. 설정
워해머 타임라인에 따르면 거대한 재앙 이후인 제국력 이전 3900년, 다크랜드에서 고립된 드워프(Warhammer)들이 하슈트를 섬기면서 이들이 카오스 드워프들이 되었다고 한다.[3]카오스 드워프의 수도 자르-나그룬드에는 하슈트의 사원이 세워져 있다.
엔드 타임에서 그림고르 아이언하이드가 일으킨 와아아아!에 의해 카오스 드워프가 멸망 직전에 몰리게 되지만 자신은 고크와 모크와 힘을 겨루느라 힘을 보태줄 수가 없었다. 결국 카오스 드워프가 멸망한 후 하슈트 역시 모습을 감췄으며, 자르-나그룬드에 있는 하슈트 사원도 그림고어의 군세에 의해 도시와 함께 깡그리 부숴졌다.
국내에서는 엔드 타임 때 하슈트가 사망했다는 낭설이 떠돌고 있다.[4] 그러나 그런 묘사는 본편에서도, 작가 조쉬 레이놀즈의 뒷이야기에서도 찾아볼 수 없고, 오히려 뒷이야기에서는 하나가 되어 강력해진 고크와 모크와 무승부 상태로 비등하게 겨루었지만 싸움에 집중하느라 카오스 드워프들을 돕지 못했다는 서술이 끝이다.
2.1. 에이지 오브 지그마
기존 카오스 드워프들에 대응하는 카오스 듀아딘들이 신으로 숭배하고 있다. 그리고 듀아딘뿐만이 아니라 카오스를 섬기는 일부 인간들도 하슈트를 섬기는 듯하다.[5]이후 4판에서 자신과 마찬가지로 카오스 소신이었다가 '버민둠'을 일으켜 카오스 대신으로 승격한 뿔난 쥐에 대한 불만을 가지고 있다.[6] '버민둠' 이후 땅 아래에서 규칙적인 사악한 망치 소리가 울려 퍼진다는 소리의 언급이 나오는 것을 보아 하슈트도 이 틈을 타 무언가를 준비하는 듯하다. #
2025년 7월 19일에 카오스 드워프가 '헬스미스 오브 하슈트'라는 이름으로 에이지 오브 지그마의 정식 팩션으로 추가되면서 하슈트의 설정도 보강되었다. 하슈트는 그림니르와 그룽니의 형제로 첫째였다고 한다.[7] 드워프 형제신들이 자신을 거부하고 싸운 끝에 마지막에 발라야가 자신의 영혼과 육신을 분리하는 행위를 저질렀다고 주장했으며 카오스 듀아딘도 그렇게 믿고 있다고 한다. 카오스 듀아딘의 기원은 최후까지 홀드에 남기를 택한 듀아딘 선조들로 모든 혁신을 거부하고 홀드에 틀어박혀 썩어가던 듀아딘들이 하슈트의 유혹에 굴복하면서 카오스 듀아딘이 탄생했다.
영혼의 대장간에서 힘을 얻었다는 설정을 볼 때 바쉬토르와 거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3. 세력 및 추종자
3.1. 워해머 판타지
3.2. 에이지 오브 지그마
- 헬스미스 오브 하슈트
- 포지 아나테마(Forge Anathema): 불의 렐름 아쿠쉬의 그레이트 파치에 위치한 거대 요새이자 제련소. 카오스 듀아딘들이 차지하고 있으며 하슈트를 숭배한다. #
- 하슈트의 뿔(Horns of Hashut): 대부분 인간으로 구성된 전쟁 노예들이다. 하슈트 군단의 선봉대로 활동한다. #
- 아즈고르의 군단(Legion of Azgorh): 불의 렐름 아쿠쉬에서 활동하는 카오스 듀아딘. 과거 포지월드가 발매한 캠페인북 타무르칸: 카오스의 왕좌에서 나왔던 카오스 드워프 모델을 에오지에서 재사용할 수 있게 추가한 것이다.
- 잿빛의 드라조아스
- 샤르'토르
4. 기타
같은 카오스 소신이지만 에이지 오브 지그마에서 카오스 5대신으로 옹립된 뿔난 쥐에 비하면 별다른 설정이 없는 카오스 신이다. 하슈트의 그레이터 데몬에 대한 설정도 아예 없는데[8], 이는 카오스 드워프가 5판에서 잘린 뒤 포지 월드 전용 아미가 되면서 별다른 설정을 못받았기 때문인 듯하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에오지 시점에서도 아직까지 큰 묘사는 없다. 이게 드워프 특유의 마법의 바람과는 잘 안 맞는다는 특성인지, 아니면 카오스 드워프가 하슈트를 신실하게 섬기지 않는 고집에 관련한다는 등 다른 요인이 있는 것인지는 불명.그래도 토탈 워 워해머 시리즈의 인기에 힘 입어 Warhammer: The Old World 제작 등 CA와 게임즈 워크숍의 협업을 통한 설정 추가와 병종 추가 및 설명이 늘어나고 있으며[9] 에이지 오브 지그마에서는 카오스 드워프 아미가 제대로 출범하면서 설정이 확장 및 개편되고 있다. 일례로 하슈트가 사실은 타락한 드워프 조상신이었다는 썰이 제시되었다.
에오지에 들어서 색상이 보라빛과 초록빛을 섞은 디자인으로 바뀌었는데, 이는 다른 카오스 세력과 구별되는 특성으로 보여주고자 하는 목적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 빨강과 황금이라는 코른과 유사한 디자인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카오스 소신이긴 하지만 전투력으로 기반하면 그렇게 약한 신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고크&모크와 전투를 벌일 정도고 서로 카오스 드워프가 무너질 때까지도 전투의 승패를 내지 못한 것을 보면 오히려 전투력 하나만큼은 괜찮은 듯. 공식 설정은 아니지만 과거에 코른에게 도전했다는 기원도 있다.
5. 출처
[1] 카오스 드워프들이 자신들을 칭하는 말로 다위-자르(Dawi-Zharr)가 있는데, '불의 드워프'라는 뜻이라고 한다.[2] 몰렉이 날카로운 뿔을 가진 황소 혹은 염소로 묘사되는 점, 카오스 드워프도 몰렉 신앙 신도들처럼 인신공양을 하는 점이 유사하다.[3] 이들은 본래 거대한 재앙 이전 세계의 끝 산맥을 넘어 다크랜드로 이주한 드워프들이었지만, 거대한 재앙으로 드워프 조상신인 그룽니, 발리야, 그림니르와의 연결이 끊어졌고 동포들과도 단절되면서 고립되고 말았다.[4] 그래서 에이지 오브 지그마에 하슈트와 카오스 드워프가 재등장하자 하슈트는 소멸한 거 아니냐며 혼동이 있기도 했다.[5] 물론 대다수는 듀아딘들이 중심인 것으로 보이며 인간들은 섬기긴 하지만 대부분은 올드 월드 시절과 마찬가지로 노예나 실험 재료로서의 역할로 보인다.[6] 물론 섬기는 종족원의 숫자나 세력 등을 비교하면 워낙에 불리한 위치에 존재하긴 했다.[7] 불과 강철 그리고 야수 중에서 시기심 많은 두 동생이 철과 불을 선택했고, 자신에겐 가장 쓸모 없는 야수를 건넸다고 주장했다고 한다.[8] 크다이가 하슈트의 악마라는 설이 있지만 확실하진 않다.[9] 대표적인 예로 캐세이와 키슬레프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