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5 23:32:43

프리히스토릭 킹덤/식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프리히스토릭 킹덤

1. 개요2. 환경 조성 식물
2.1. 현생 식물
2.1.1. 사막2.1.2. 초원2.1.3. 관목지2.1.4. 습지2.1.5. 열대2.1.6. 온대2.1.7. 해안2.1.8. 냉대
2.2. 고식물
2.2.1. 사막2.2.2. 초원2.2.3. 관목지2.2.4. 습지2.2.5. 열대2.2.6. 온대2.2.7. 해안2.2.8. 냉대
2.3. 프리셋
3. 정원 식물

1. 개요

프리히스토릭 킹덤에 출연한 식물들을 정리한 문서.

2. 환경 조성 식물

환경 조성 메뉴에서 배치가 가능한 식물. 이 종류의 식물은 동물 방사장에 조성하면 동물의 숲 만족도 수치에 영향을 준다. 모듈러 메뉴를 통해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도 만족도 수치에 영향을 준다.

각 식물마다 서식지별로 구별된 생물군계(Biome)이 할당되어 있다. 사막(Desert), 초원(Grassland)[1], 관목지(Scrubland), 습지(Wetland), 열대(Tropical), 온대(Temperate), 해안(Coastal), 냉대(Boreal)의 8가지 생물군계가 있으며, 동물마다 선호하는 생물군계가 다르므로 기호에 맞춰 방사장에 식물을 배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동물 방사장 내의 식물을 동물의 생존 시기에 맞춰 심으면 추가 만족도와 평점을 얻는다. 공룡들은 방사장 내 식물의 70% 이상이 중생대 식물이면 추가 만족도와 평점을 얻는 식.

1.1.4 버전부터 식물 배치 프리셋 기능이 추가되었다. 해당 기능을 사용하면 특정한 환경에 맞는 식물종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브러쉬 기능을 제공한다.

2.1. 현생 식물

오늘날 지구상에 살아있는 식물들로, 모두 신생대 식물 속성을 가진다. 일부 식물은 중생대 식물 속성을 동시에 가져, 공룡 방사장의 전시 평점을 올릴 때 요긴하게 쓸 수 있다.

중생대 식물 속성을 같이 가지는 식물은 ♣로 표시한다.

2.1.1. 사막

  • 대추야자 (Date Palm)
  • 조슈아나무 (Joshua Tree)
  • 부채선인장 (Prickly Pear Cactus)
  • 사구아로선인장 (Saguaro Cactus)
  • 오르간파이프선인장 (Organ Pipe Cactus)
  • 유카 (Yucca Tree)
  • Bloodwood Tree
  • Saxual

2.1.2. 초원

  • 아카시아 (Acacia)
  • American Tarwort
  • 마른 바랭이 (Digitaria Dry Grass)
  • 바랭이 (Digitaria Grass)
  • 마룰라 (Marula)
  • 팜파스풀 (Pampas Grass)
  • Triodia Dry Grass
  • Triodia Grass

2.1.3. 관목지

  • 알레포소나무 (Aleppo Pine)
  • Foxtail Palm
  • 커리플랜트 (Italian Strawflower)
  • 아라우카리아 (Norfolk Pine)
  • 아메리카팔메토 (Sabal Palmetto)

2.1.4. 습지

2.1.5. 열대

2.1.6. 온대

  • Arrowwood
  • Arrowwood Seasonal
  • 너도밤나무 (Beech Tree)
  • Bengal Bamboo
  • 토끼풀 (Clover)
  • 데이지 (Daisy Grass)
  • 민들레 (Dandelion Grass)
  • 아우리타버들 (Eared Willow)
  • Flame Azalea
  • Field Elm
  • Field Elm Seasonal
  • Field Grass
  • 월계수 (Holm Oak)
  • 단풍 든 월계수 (Holm Oak Seasonal)
  • 종이자작나무 (Paper Birch)
  • 단풍 든 종이자작나무 (Paper Birch Seasonal)

2.1.7. 해안

2.1.8. 냉대

  • Alaskan Yellow Cedar
  • 산월귤 (Alpine Bearberry)
  • 고산까치밥나무 (Alpine Currant)
  • Dry Tundra Grass
  • 미송 (Douglas Fir)
  • Dwarf Birch Dry
  • Dwarf Birch Green
  • Dwarf Birch Red
  • Dwarf Birch Yellow
  • 냉대 구주소나무 (Boreal Scots Pine)
  • 분홍바늘꽃 (Fireweed)
  • Labrador Tea
  • Labrador Tea Bare

2.2. 고식물

앞서 해보기 1.15.48부터 추가된 식물군. 이들을 배치하기 위해서는 고식물 전용 발굴지에서 화석을 발굴하여 해금해야 한다. 모든 종이 중생대 식물 속성을 가지고, 일부 종은 신생대 식물 속성을 동시에 가진다.

2.2.1. 사막

웰위치오필룸
Welwitschiophyllum
파일:웰위치오필룸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마황문(Gnetophyta)은 오늘날 마황속(Ephedra), 그네툼속(Gnetum), 그리고 웰위치아속(Welwitschia)의 단 세 속만 남은 별난 종자식물 계통입니다.[2] 이 세 속은 형태적인 차이가 너무 커 훨씬 다양했던 계통의 마지막 생존자들로 여겨집니다. 백악기 전기, 더 나아가 쥐라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가능성이 있는 세 계통 모두의 화석 기록이 이 아이디어를 지원합니다.

웰위치아는 마황문 중에서도 가장 독특하며, 오직 나미브 사막에서만 국지적으로 발견됩니다. 이 식물은 평생 단 두 장의 끈을 닮은 잎이 자라며, 해가 지나며 점점 더 너덜너덜해집니다. 몇몇 개체들은 1000년 이상을 살았을지도 모릅니다.

유럽,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의 백악기 전기 지층에서 오늘날 웰위치아를 닮은 화석 꽃가루, 잎, 씨앗, 모종이 알려져 있습니다. 크라투층(Crato Formation)에서 발견된 화석 모종은 오늘날 웰위치아의 것과 구분할 수 없어, 1억 1000만 년 전보다 이전에 그네툼과 웰위치아가 분화되었음을 보여줍니다. 웰위치오필룸은 오늘날 웰위치아의 것과 매우 닮은 넓고 끈 모양의 잎으로 알려진 화석 마황문 식물입니다. 일부 대형 표본은 너덜너덜해진 모양과 현생 식물이 생산할 수 있는 수지 혹은 의 흔적도 보존되었습니다. 이런 특성들은 물에 의한 스트레스가 가해지는 환경에 적응했음을 암시합니다. 웰위치오필룸은 백악기 동안 곤드와나 중심부를 가로질러 뻗어있던 방대한 건조 지대의 중요한 구성원이었을 것입니다.
시기 중생대 발굴지 아라리페분지
에페드라
Ephedra
파일:에페드라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마황속(Ephedra)은 오늘날 전통 의약품의 재료로 가장 잘 알려진 이상하고 특이한 식물입니다. ("Jointfir" 또는 "jointpine"이라는 영어 이름의 유래가 된) 무성한 침엽수를 닮은 외형에도 불구하고, 이 식물은 작고 오래되었으며 가장 분화된 겉씨식물 계통인 마황문(Gnetophyta)에 속합니다. 이 계통은 오늘날 단 세 개 속만 남아있는데, 넓은 잎이 나는 열대성 덩굴식물 그네툼속(Gnetum), 오직 두 장의 크고 너덜너덜한 잎만 나는 사막 서식 식물 웰위치아속(Welwitschia), 그리고 건조하고 탁 트인 풍경에서 발견되는 가뭄에 강한 관목 마황속이 해당합니다.

현생 마황속은 유라시아와 아메리카, 북아프리카를 가로지르는 건조 및 반건조 환경이라는 넓지만 고르지 못한 분포를 보이고 있습니다. 화석은 그들의 백악기 조상들도 대략 비슷한 지역에 분포했음을 암시합니다. 마황과 식물의 첫 화석 기록은 쥐라기에 나타나고, 마디진 줄기, 적은 양의 잎, 가뭄에 대한 적응과 같은 오늘날 남아있는 속의 구별되는 특징은 백악기 전기부터 나타났습니다. 화석들은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와 남아베리카, 심지어 남극의 발굴지에서도 알려져, 지리적으로 넓게 퍼졌음을 시사합니다.

작고 종종 간과되기 쉽지만, 마황과 식물들은 개활지의 표층에서 중요한 부분을 형성했을 것으로 보이며, 중생대 풍경에서 과소평가되었지만 꾸준히 지속된 역할을 수행했을 것입니다.
시기 중생대 발굴지 산루이스실트스톤

2.2.2. 초원

스키자이옵시스
Schizaeopsis
파일:스키자이옵시스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실고사리목은 실고사리과(Lygodiaceae), 스키자이아과(Schizaeaceae), 그리고 아네미아과(Anemiaceae)의 3개 과를 포함하는 오래되고 원시적인 양치식물 목입니다. 실고사리목의 화석은 트라이아스기까지 거슬러 올라가고, 쥐라기 후기에 현대의 세 개 과가 갈라져 나왔습니다. 오늘날, 이 목의 구성원들은 열대지방 전역에 흩어졌지만 구분되는 분포를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Curlygrass fern으로 알려진 스키자이아과는 날씬하고 고도로 분화된 엽상과 별난 번식기관이 특징입니다. 이들의 생식엽은 길고 얇은 줄기 끝자락에서 자라난 얇고 실을 닮은 신장부에서 만들어진 포자로 인해 벼 혹은 부채를 닮은 형태가 갖춰집니다. 현생 스키자이아와 매우 닮았지만 포자 모양이 다른 화석속 스키자이옵시스에서도 비슷한 구조가 관찰됩니다.

현생 양치식물 대부분이 습하고 그늘진 환경을 선호하는 것과 달리, 스키자이아과는 마르고 햇빛이 닿는 환경에 대해 비범한 내성을 보입니다. 현생 스키자이아 종들은 종종 탁 트이거나 약간 그늘진 환경, 그중에서도 모래질 혹은 바위가 드러난 토양에서 발견됩니다. 형태적 유사성으로 보아, 스키자이옵시스도 물이 잘 마르는 개활지 환경에서 지피성 양치식물로서 비슷한 생태지위를 차지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시기 중생대 발굴지 보헤미아육괴
크테니스
Ctenis
파일:크테니스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크테니스는 중생대의 가장 흔한 화석 소철 중 하나이자, 현생 소철속(cycas)과는 단지 먼 친척 관계일 뿐인 독자적이고 장수한 계통으로 보입니다. 이 속은 페름기에 처음 나타나 쥐라기 동안 다양성이 최고점에 다다랐습니다. 두 번의 대멸종을 견뎠음에도 불구하고, 백악기 동안 이들의 서식 범위는 고위도 지역으로 축소되었고, 결국 에오세에 이르러 사라지고 말았습니다.

오늘날의 소철과 마찬가지로, 크테니스 종들은 익숙한 야자수를 닮은 나무부터 더 작은 초본 형태까지 다양한 생육형이 나타납니다. 와이오밍주 빅시더릿지(Big Cedar Ridge)의 백악기 후기 지층은 화산재 층에 의해 개활 습지 생태계가 주목할 만큼 세세하게 보존되었습니다. 이곳의 크테니스 종은 이탄질 토양에 뿌리내린 땅속 줄기부터 위로 뻗은 엽상까지 식물의 전신이 보존되었습니다. 이는 이 식물이 양치식물 및 다른 지피식물들과 함께 양지바른 개활지 환경에서 번성했다는 증거입니다.
시기 중생대 발굴지 혼슈층군
루포르디아
Ruffordia
파일:루포르디아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실고사리목은 실고사리과(Lygodiaceae), 스키자이아과(Schizaeaceae), 그리고 아네미아과(Anemiaceae)의 3개 과를 포함하는 오래되고 원시적인 양치식물 목입니다. 오늘날, 이 목의 구성원들은 열대지방 전역에 분포합니다. 실고사리목의 화석은 트라이아스기까지 거슬러 올라가고, 쥐라기 후기에 현대의 세 개 과가 갈라져 나왔습니다.

(일반적으로 같은 이름으로 알려진 왕관고비(Osmunda regalis)와 혼동할 정도는 아니지만) 특징적인 생식엽 때문에 종종 꽃피는 고사리라고 칭하는 아네미아과는 두드러지는 엽상 이형성으로 쉽게 식별됩니다. 포자를 품은 잎은 좁은 가시 모양으로, 벼과의 꽃머리와 매우 닮았습니다.

루포르디아 고엡페르티(Ruffordia goeppertii)는 아네미아과임을 증명하는 엽상 이형성을 보유한 작은 양치식물입니다. 백악기 전기 동안, 루포르디아는 영국,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마다가스카르까지 화석 기록이 나타날 정도로 널리 퍼졌습니다.

브라질 크라투층의 이례적으로 잘 보존된 표본은 루포르디아가 광활한 사바나와 같은 환경의 지배적인 지피식물 중 하나였음을 밝혀냈습니다. 또한 이 화석들은 양치식물 중에서는 드물게 가뭄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도 보입니다. 풀이 이러한 환경의 지배종으로 진화하기 한참 전에, 루포르디아가 비슷한 생태계적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보입니다.
시기 중생대 발굴지 한국셰일

2.2.3. 관목지

아라우카리아 델레보리아시
Araucaria delevoryassi
파일:아라우카리아 델레보리아시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아라우카리아속(Araucaria)은 오늘날 남반구, 특히 오스트랄라시아와 남아메리카에 한정되어 살아남은 침엽수 속입니다. 하지막 중생대의 아라우카리아는 쥐라기 중기에 로라시아곤드와나 양쪽에서 이미 확립되어, 지구상 가장 널리 퍼졌고 상징적인 나무 중 하나였습니다.

현생종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남아메리카의 칠레소나무(Araucaria araucana)지만, 대부분의 중생대 아라우카리아 종들은 오늘날 호주와 뉴칼레도니아에서 관찰되는 작은 잎의 종들과 더 유사합니다. 아라우카리아 미라빌리스(A. mirabilis)와 아라우카리아 델레보리아시(A. delevoryassi)와 같은 몇몇 전신 화석들은 (브라키필룸(Brachyphyllum) 또는 파기오필룸(Pagiophyllum)으로 동정되는) 비늘처럼 생긴 잎이 달리고 끝자락에 조밀하고 둥근 솔방울이 달린 가지를 보여줍니다.

주목할 만한 것은, 쥐라기 때의 화석 숲 다수에서 나무들이 처음 위로 자라난 모습 그대로 유지된, 전체적으로 아라우카리아가 지배종으로 나타나는 생태계가 보존되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고대 숲들은 아라우카리아가 주로 배수가 잘 되는 탁 트인 삼림에서 성장했음을 보여줍니다. 일부 화석 나무줄기들은 60미터 높이에 다다랐고 어쩌면 100미터까지 자랐을지도 모르는데, 이런 개체들은 당시 가장 높게 자라난 나무들이었을 것입니다.
시기 중생대 발굴지 콜로라도평원
왓소니오클라두스
Watsoniocladus
파일:왓소니오클라두스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시기 중생대 발굴지 콜로라도평원
자미테스
Zamites
파일:자미테스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시기 중생대 발굴지 콜로라도평원
키카데오이데아
Cycadeoidea
파일:키카데오이데아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시기 중생대 발굴지 콜로라도평원
글레이케니아
Gleichenia
파일:글레이케니아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시기 중생대 발굴지 콜로라도평원

2.2.4. 습지

마르실레아
Marsilea
파일:마르실레아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시기 중생대 발굴지 몬태나언덕
에퀴세티테스
Equisetites
파일:에퀴세티테스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시기 중생대 발굴지 바바리아암초
히드로프테리스
Hydropteris
파일:히드로프테리스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시기 중생대 발굴지 바바리아암초
코바니아
Cobbania
파일:코바니아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시기 중생대 발굴지 이글사암
넬룸보
Nelumbo
파일:넬룸보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시기 중생대 발굴지 에드먼턴셰일
퀘레욱시아
Quereuxia
파일:퀘레욱시아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시기 중생대 발굴지 고비황무지
웨이크셀리아
Weichselia
파일:웨이크셀리아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시기 중생대 발굴지 마그레브사막층
메타세쿼이아
Metasequoia
파일:메타세쿼이아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시기 중생대, 신생대 발굴지 우윤점토
단풍 든 메타세쿼이아
Metasequoia Seasonal
파일:메타세퀘이아 단풍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시기 중생대, 신생대 발굴지 우윤점토

2.2.5. 열대

프세우독테니스
Pseudoctenis
파일:프세우독테니스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시기 중생대 발굴지 보헤미아육괴
아가티스
Agathis
파일:아가티스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시기 중생대, 신생대 발굴지 추부트역암
라우랄레스
Laurales
파일:라우랄레스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시기 중생대 발굴지 루시타니아열개지
아르카이안투스
Archaeanthus
파일:아르카이안투스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시기 중생대 발굴지 캔자스암석
클로란토이드
Chloranthoid
파일:클로란토이드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시기 중생대 발굴지 캔자스암석

2.2.6. 온대

플라타니테스
Platanites
파일:플라타니테스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시기 중생대 발굴지 몬태나언덕
깅고 아디안토이데스
Ginkgo adiantoides
파일:깅고 아디안토이데스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시기 중생대, 신생대 발굴지 몬태나언덕
은행 든 깅고 아디안토이데스
Ginkgo adiantoides Seasonal
파일:깅고 아디안토이데스 은행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시기 중생대, 신생대 발굴지 몬태나언덕
꿩고비
Cinnamon Fern
파일:꿩고비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시기 중생대, 신생대 발굴지 몬태나언덕
트로코덴드로이데스
Trochodendroides
파일:트로코덴드로이데스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시기 중생대 발굴지 캔자스암석

2.2.7. 해안

코니오프테리스
Coniopteris
파일:코니오프테리스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시기 중생대, 신생대 발굴지 바르탈라언덕, 얀랴오퇴적지
토디테스
Todite Fern
파일:토다이트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시기 중생대 발굴지 얀랴오퇴적지
깅고 이마엔시스
Ginkgo yimaensis
파일:깅고 이마엔시스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시기 중생대 발굴지 허난퇴적지
은행 든 깅고 이마엔시스
Ginkgo yimaensis Seasonal
파일:깅고 이마엔시스 은행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시기 중생대 발굴지 허난퇴적지
에오보웨니아
Eobowenia
파일:에오보웨니아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보웨니아(Bowenia)는 오늘날 단 두 종만 호주 해안가의 좁은 지역에서 살아남은 희귀한 부류의 소철입니다. 이 속을 닮은 화석들은 호주의 백악기 후기와 에오세 지층에서 알려져 있습니다. 소철 중에서 유일하게, 보웨니아는 특이하게도 땅 속의 줄기에서 뻗어나오는 연약하고 정교하게 갈라지는 엽상을 지녀 양치식물을 닮은 형태를 띕니다.

최근에 아르헨티나의 (기존에 알마르게미아 인크라사타(Almargemiia incrassata)로 분류된) 화석이 재연구 되어 보웨니아의 근연종임이 밝혀졌습니다. 이 화석은 에오보웨니아라는 새 이름이 지어졌고, 이 계통이 한때 남쪽의 초대륙 곤드와나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화석 기록이 적어도 백악기 전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시기 중생대 발굴지 데세아도육괴
엘라티데스
Elatides
파일:엘라티데스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시기 중생대, 신생대 발굴지 몬태나언덕
닐소니아
Nilssonia
파일:닐소니아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시기 중생대 발굴지 케이프사암

2.2.8. 냉대

아쿨레아
Aculea
파일:아쿨레아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처녀이끼과(filmy ferns, Hymenophyllaceae)는 연약하고 반투명한 잎으로 오늘날 가장 잘 알려진 고대의 양치식물 계통입니다. 이름에서 암시하는 바와 같이, 이 양치식물은 화석이 되기 어려운 이례적으로 섬세한 엽상을 지녔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화석 기록은 트라이아스기의 호페테디아 프라이테르미사(Hopetedia praetermissa)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 과의 아름다운 막 형태의 엽상이 2억 년을 넘어서도 유지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오늘날 처녀이끼는 건조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축축하고 격리된 서식지에만 남아 있습니다.

가끔 이 과로 분류되기도 하는 특히 잘 보존된 화석 양치식물은 아쿨레아 비피다(Aculea bifida)입니다. 오늘날의 처녀이끼속처럼, 이 종도 뿌리줄기로부터 위로 뻗는 엽상이 자라지만, 개방된 환경에 대해 내성이 있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 종의 가늘고 바늘과 같은 잎은 섬세하지만 진정한 의미의 막 형태는 아니었습니다. 남극 알렉산더섬의 현장에서 보고된 화석들은 아쿨레아가 아라우카리아와 나한송의 기워진 캐노피 아래서 최대 80cm 높이의 빽빽한 덤불을 이뤘음을 보여줍니다. 이 식물은 백악기 전기의 호주, 파타고니아 남부, 남극에서 존재해 고대 남극 지역 근처의 고위도 지역에서 분포했음을 보여줍니다.
시기 중생대 발굴지 남극고원
아트로탁시테스
Athrotaxites
파일:아트로탁시테스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한때 낙우송과(Taxodiaceae)라는 비공식적인 이름으로 분류되었던 측백나무과(Cupressaceae)의 다른 기저 구성원과 같이, 아트로탁시스(Athrotaxis)는 중생대 동안 널리 퍼졌고 생태적으로 중요했던 이 집단의 잔존 생물로 보입니다. 오늘날, 이 속은 태즈매니아의 고지대에서만 발견되는 pencil pine과 king billy pine 두 종만 속해 있습니다.

아트로탁시테스 혹은 아트로탁시스 본인으로 식별되는 근연 침엽수의 화석들은 이 계통이 한때 더 넓은 지역에 분포했음을 보여줍니다. 이 화석들은 곤드와나 남부의 극지 부근이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호주, 뉴질랜드, 파타고니아, 그리고 남극을 가로지르며 발견됩니다. 주목할 만한 것은, 표본들이 동아시아와 북아메리카에서도 발견되어, 백악기 동안에는 북반구와 남반구 양쪽에서 존재했음을 시사한다는 것입니다.

주로 하천과 호성 환경이었던 아트로탁시테스 화석의 퇴적 조성은 오늘날 아트로탁시스와 마찬가지로 호수와 강이 있는 저온다습한 서식지를 선호했음을 암시합니다.
시기 중생대 발굴지 남극고원
아트로탁시테스 고목
Athrotaxites Dead
파일:아트로탁시테스 사망 팔레오피디아 이미지_프킹.png
해설
한때 낙우송과(Taxodiaceae)라는 비공식적인 이름으로 분류되었던 측백나무과(Cupressaceae)의 다른 기저 구성원과 같이, 아트로탁시스(Athrotaxis)는 중생대 동안 널리 퍼졌고 생태적으로 중요했던 이 집단의 잔존 생물로 보입니다. 오늘날, 이 속은 태즈매니아의 고지대에서만 발견되는 pencil pine과 king billy pine 두 종만 속해 있습니다.

아트로탁시테스 혹은 아트로탁시스 본인으로 식별되는 근연 침엽수의 화석들은 이 계통이 한때 더 넓은 지역에 분포했음을 보여줍니다. 이 화석들은 곤드와나 남부의 극지 부근이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호주, 뉴질랜드, 파타고니아, 그리고 남극을 가로지르며 발견됩니다. 주목할 만한 것은, 표본들이 동아시아와 북아메리카에서도 발견되어, 백악기 동안에는 북반구와 남반구 양쪽에서 존재했음을 시사한다는 것입니다.

주로 하천과 호성 환경이었던 아트로탁시테스 화석의 퇴적 조성은 오늘날 아트로탁시스와 마찬가지로 호수와 강이 있는 저온다습한 서식지를 선호했음을 암시합니다.
시기 중생대 발굴지 남극고원

2.3. 프리셋

중생대 식물이 포함된 프리셋은 ♣로 표시한다.
파일:biomeicons_desert.png
사막 프리셋
파일:Biome_Desert_Cacti.png 파일:Biome_Desert_Shrubs.png 파일:Biome_Desert_Oasis.png 파일:Biome_Desert_Bushland.png 파일:Biome_Desert_GondwanaDrylands.png
Desert Cacti Desert Shrubs Desert Oasis Desert Bushland Gondwana Dry lands ♣
파일:Biome_Desert_AncientRibbonrush.png
Ancient Ribbonrush ♣
파일:biomeicons_grasslands.png
초원 프리셋
파일:Biome_Grassland_LushSavanna.png 파일:Biome_Grassland_Pampas.png 파일:Biome_Grassland_DrySavanna.png 파일:Biome_Grassland_LaurasianOpenFlats.png
Lush Savanna Pampas Dry Savanna Laurasian Open Flats ♣
파일:biomeicons_scrubland.png
관목지 프리셋
파일:Biome_Scrubland_Forest.png 파일:Biome_Scrubland_Pampas.png 파일:Biome_Scrubland_JurassicForest.png 파일:Biome_Scrubland_JurassicGrove.png 파일:Biome_Scrubland_JurassicCycads.png
Scrubland Forest Scrubland Pampas Jurassic Forest ♣ Jurassic Grove ♣ Jurassic Cycads ♣
파일:Biome_Scrubland_JurassicPrairie.png
Jurassic Prairie ♣
파일:biomeicons_wetlands.png
습지 프리셋
파일:Biome_Wetland_Forest.png 파일:Biome_Wetland_Bayou.png 파일:Biome_Wetland_Mangrove.png 파일:Biome_Wetland_Reeds.png 파일:Biome_Wetland_LaurasianFloodGrove.png
Wetland Forest ♣ Wetland Bayou Wetland Mangrove Wetland Reeds Laurasian Flood Grove ♣
파일:Biome_Wetland_LaurasianFloodGroveSeasonal.png 파일:Biome_Wetland_MesozoicMarsh.png 파일:Biome_Wetland_MesozoicHorsetails.png 파일:Biome_Wetland_MesozoicHydrophytes.png 파일:Biome_Wetland_MesozoicLotus.png
Laurasian Flood Grove Seasonal ♣ Mesozoic Marsh ♣ Mesozoic Horsetails ♣ Mesozoic Hydrophytes ♣ Mesozoic Lotus ♣
파일:biomeicons_tropical.png
열대 프리셋
파일:Biome_Tropical_Forest.png 파일:Biome_Tropical_ForestEdge.png 파일:Biome_Tropical_Beach.png 파일:Biome_Tropical_Bananas.png 파일:Biome_Tropical_Prairie.png
Tropical Rainforest Tropical Sparse Forest Tropical Palm Forest Tropical Bananas Tropical Prairie
파일:Biome_Tropical_KauriRainforest.png 파일:Biome_Tropical_MagnolioidRainforest.png 파일:Biome_Tropical_MangolioidGrove.png 파일:Biome_Tropical_CretaceousCycadiforms.png 파일:Biome_Tropical_CretaceousScrub.png
Kauri Rainforest ♣ Magnolioid Rainforest ♣ Mangolioid Grove ♣ Cretaceous Cycadiforms ♣ Cretaceous Scrub ♣
파일:biomeicons_temperate.png
온대 프리셋
파일:Biome_Temperate_Forest.png 파일:Biome_Temperate_BirchForest.png 파일:Biome_Temperate_Shrubs.png 파일:Biome_Temperate_Field.png 파일:Biome_Temperate_BirchForestSeasonal.png
Temperate Forest Temperate Birch Forest Temperate Shrubs Temperate Field Temperate Seasonal Birch Forest
파일:Biome_Temperate_ForestSeasonal.png 파일:Biome_Temperate_BambooGrove.png 파일:Biome_Temperate_MesozoicPlatanites.png 파일:Biome_Temperate_MesozoicGinkgo.png 파일:Biome_Temperate_MesozoicGinkgoSeasonal.png
Temperate Seasonal Forest Temperate Bamboo Grove Mesozoic Platanites ♣ Mesozoic Ginkgos ♣ Mesozoic Seasonal Ginkgos ♣
파일:Biome_Temperate_MesozoicPrairie.png
Mesozoic Cinnaamon Prairie ♣
파일:biomeicons_coastal.png
해안 프리셋
파일:Biome_Coastal_Redwoods.png 파일:Biome_Coastal_Pines.png 파일:Biome_Coastal_FernForest.png 파일:Biome_Coastal_FernPrairie.png 파일:Biome_Coastal_CretaceousElatidesForest.png
Coastal Redwoods ♣ Coastal Pines Coastal Fern Forest Coastal Prairie Cretaceous Elatides Forest ♣
파일:Biome_Coastal_CoastalGinkgosForest.png 파일:Biome_Coastal_CoastalGinkgosForestSeasonal.png 파일:Biome_Coastal_CretaceousPrairie.png
Coastal Ginkgo Forest ♣ Coastal Ginkgo Forest Seasonal ♣ Cretaceous Prairie ♣
파일:biomeicons_boreal.png
냉대 프리셋
파일:Biome_Boreal_Forest.png 파일:Biome_Boreal_Tundra.png 파일:Biome_Boreal_FlowerField.png 파일:Biome_Boreal_PineForest.png 파일:Biome_Boreal_DryPrairie.png
Boreal Forest Boreal Tundra Boreal Flower Field Boreal Pine Forest Boreal Dry Prairie
파일:Biome_Boreal_MesozoicConiferForest.png 파일:Biome_Boreal_MesozoicConiferForestSparse.png 파일:Biome_Boreal_AculeaSteppe.png
Mesozoic Conifer Forest ♣ Mesozoic Conifer Forest Sparse ♣ Cretaceous Scrub ♣

3. 정원 식물

순수하게 공원을 꾸미는 모듈러 부품으로만 작동하며, 동물 방사장에 배치해도 숲 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식물들. 오히려 이를 이용해서 동물의 숲 만족도가 낮은 수치임에도 많은 식물로 방사장을 꾸미고 싶을 때, 이 식물들을 활용해볼 수 있다. 버섯은 식물은 아니지만, 정원 모듈러 부품에 포함되어 있어 같이 기재한다.

[1] 보통 초원이라 하면 떠오를 초록빛 평원보다는 사바나에 가깝다.[2] 원문은 그네툼목(Gnetales)으로 소개하는데, 이 문장의 세 식물은 각각 별개의 목에 속하기 때문에 이들을 모두 그네툼목이라 하는 것은 틀린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