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9 21:35:19

프르보슬라브 미하일로비치

파일:Prvoslav Mihajlović.jpg
이름 프르보슬라브 미하일로비치
(Првослав Михајловић / Prvoslav Mihajlović)
생년월일 1921년 4월 13일
사망년월일 1978년 6월 28일 (향년 57세)
국적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출신지 유고슬라비아 왕국 발례보
포지션 아웃사이드 라이트 포워드
신체조건 176cm | 72kg
소속팀 발례보 SK (1938-1941)
FK 오빌리치 (1941)
BSK 베오그라드 (1942-1944)
FK 파르티잔 (1946-1957)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1951 / 임대)
국가대표 13경기 6골 (1946-1950)
감독 OFK 베오그라드 (1957-1959)
유고슬라비아 대표팀 (1961-1963)
알 이티하드 알렉산드리아 클럽 (1963-1966)
카르시야카 SK (1966)
SC 프로이센 뮌스터 (1966-1967)



1. 개요2. 생애
2.1. 선수 생활2.2. 감독
3. 플레이 스타일 & 평가4. 수상
4.1. 선수
4.1.1. 클럽4.1.2. 국가대표
4.2. 감독
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유고슬라비아(現 세르비아)의 전 축구 감독.

2. 생애[1]

2.1. 선수 생활

2.1.1. 클럽

미하일로비치는 1938년부터 1군팀에서 뛰기 시작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엔 1941년, FK 오빌리치를 거쳐 BSK 베오그라드에서 활동했다.

전쟁이 끝나고 미하일로비치는 FK 파르티잔에 입단했다. 1951년에 파르티잔의 라이벌 FK 츠르베나 즈베즈다에 임대를 갔다온 기간을 제외하면 그는 이후의 모든 커리어를 파르티잔에서 보냈다.

2.1.2. 국가대표

미하일로비치는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1946년 10월 7일 알바니아를 상대로 첫 경기를 치렀다.

미하일로비치는 1948년 올림픽1950년 월드컵에 참가했고 올림픽에서는 2경기에 출전, 유고슬라비아는 은메달을 땄다.

미하일로비치는 프랑스와의 1950년 월드컵 지역 예선 최종전[2]에서 2골을 넣어 승부를 연장전까지 끌고간 것으로 유명하다. 결국 이 경기는 연장 후반 9분에 나온 젤코 차이코브스키의 골로 유고슬라비아가 프랑스에 3:2로 승리를 거뒀다. 본선에서 미하일로비치는 두 번째 경기였던 멕시코전에만 출전했다.

2.2. 감독

미하일로비치는 1957년부터 자신이 전쟁 때 몸담았던 OFK 베오그라드를 2시즌간 감독했다. 미하일로비치가 취임할 당시 OFK 베오그라드는 쇠락해서 2부 리그에 머물러 있었지만 그는 OFK 베오그라드를 1958-59 시즌에 우승시켰다.

미하일로비치는 그 후에 친정팀 FK 파르티잔의 기술 이사로 재직하면서 1961년부터 1963년까지는 유고슬라비아 대표팀 감독도 겸임했다. 이 시기는 1962년 월드컵도 끼어있었고 미하일로비치는 류보미르 로브리치와 공동 감독으로 유고슬라비아 대표팀을 지휘했다. 유고슬라비아는 대회 4위의 성적을 냈다.

이후 미하일로비치는 이집트의 알 이티하드 알렉산드리아 클럽, 터키의 카르시야카 SK, 서독의 SC 프로이센 뮌스터의 감독을 역임했다.

3. 플레이 스타일 & 평가

미하일로비치는 기술도 뛰어났지만 동료들과 함께 팀 플레이로 상대 수비진을 무너뜨리는 것에도 능했다. 또한 그는 프리킥도 잘 찼다.

4. 수상

4.1. 선수

4.1.1. 클럽

  •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우승 2회: 1946-47, 1948-49(FK 파르티잔)
  • 유고슬라비아컵 우승 4회: 1947, 1952, 1954, 1957(FK 파르티잔)
  • 세르비아 리그 우승 2회: 1942-43, 1943-44(BSK 베오그라드)
  •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준우승 2회: 1953-54, 1955-56(FK 파르티잔)
  • 유고슬라비아컵 준우승 1회: 1948(FK 파르티잔)

4.1.2. 국가대표

4.2. 감독

5. 둘러보기

{{{#!wiki style="color:white;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colbgcolor=#df8918,black> 1조 파일:소련 국기.svg
가브릴
카찰린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류보미르
로브리치

프르보슬라브
미하일로비치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후안 카를로스
코라초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아돌포
페데르네라


2조 파일:독일 국기.svg
제프
헤어베어거


파일:칠레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페르난도
리에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조반니
페라리

파올로
마차
파일:스위스 국기.svg
카를
라판


3조 파일:브라질 국기.svg
아이모레
모레이라

파일:체코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루돌프
비틀라칠

파일:멕시코 국기.svg
이그나시오
트레예스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엘레니오
에레라


4조 파일:헝가리 국기.svg
버로티
러요시
파일:잉글랜드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월터
윈터보텀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후안 카를로스
로렌조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48-1967).svg
게오르기
파체지에프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3019341938195019541958
196219661970197419781982
198619901994199820022006
2010201420182022
}}}}}}}}}



[1] 출처: 위키피디아, 11v11[2] 양팀이 홈 앤드 어웨이 두 경기를 모두 1:1로 비겨 중립 구장인 피렌체스타디오 코무날레에서 최종전을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