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10000 0%, #ff0000 20%, #ff0000 80%, #d10000);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스투리아스 왕조 | |||||
| 펠라요 | 파빌라 | 알폰소 1세 | 프루엘라 1세 | 아우렐리오 | ||
| 아스투리아스 왕조 | ||||||
| 실로 | 마우레가토 | 베르무도 1세 | 알폰소 2세 | 네포시아노 | ||
| 아스투리아스 왕조 | 레온 국왕 → | |||||
| 라미로 1세 | 오르도뇨 1세 | 알폰소 3세 | 프루엘라 2세 | }}} }}}}}} | ||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2073a 0%, #630B57 20%, #630B57 80%, #42073a);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스투리아스 왕조 | ||||
| 가르시아 1세 | 오르도뇨 2세 | 프루엘라 2세 | 알폰소 프로일라스 | 알폰소 4세 | |
| 아스투리아스 왕조 | |||||
| 라미로 2세 | 오르도뇨 3세 | 산초 1세 | 오르도뇨 4세 | 산초 1세 | |
| 아스투리아스 왕조 | 히메네스 왕조 | ||||
| 라미로 3세 | 베르무도 2세 | 알폰소 5세 | 베르무도 3세 | 페르난도 1세 | |
| 히메네스 왕조 | 보르고냐 이브레아 왕조 | ||||
| 알폰소 6세 | 산초 2세 | 알폰소 6세 | 우라카 | 알폰소 7세 | |
| 보르고냐 이브레아 왕조 | |||||
| 페르난도 2세 | 알폰소 9세 | 산차 | 페르난도 3세 | 알폰소 10세 | |
| 둘세 | |||||
| 보르고냐 이브레아 왕조 | 트라스타마라 왕조 | ||||
| 산초 4세 | 페르난도 4세 | 알폰소 11세 | 페드로 1세 | 엔리케 2세 | |
| 트라스타마라 왕조 | |||||
| 후안 1세 | 엔리케 3세 | 후안 2세 | 엔리케 4세 | 이사벨 1세 | |
| 페르난도 5세 | |||||
| 트라스타마라 왕조 | 스페인 국왕 → | ||||
| 후아나 1세 | |||||
| 압스부르고 왕조 | |||||
| 펠리페 1세 | 카를로스 1세 | ||||
| 아스투리아스 · 레온 · 갈리시아 카스티야 · 아라곤 · 공화국 · 스페인국 · 스페인 | }}}}}}}}} | ||||
| Fruela II de León | ||
| 가문 | 아스투리아스 왕조 | |
| 생몰년도 | 877년 ~ 925년 8월 | |
| 출생지 | 아스투리아스 왕국 오비에도 | |
| 사망지 | 레온 왕국 사모라 | |
| 재위 기간 | 아스투리아스 왕국 국왕 | 910년 - 925년 |
| 레온 왕국-갈리시아 왕국 국왕 | 924년 - 925년 | |
| 아버지 | 알폰소 3세 | |
| 어머니 | 팜플로나의 세메나 | |
| 형제 | 가르시아 1세, 오르도뇨 2세, 곤살로, 라미로 | |
| 배우자 | 누닐로 히메나(불확실함), 우라카 | |
| 자녀 | 알폰소 프로일라스, 라미로 프로일라스, 오르도뇨 프로일라스 | |
1. 개요
아스투리아스 왕국 14대이자 마지막 국왕, 레온 왕국 3대 국왕, 갈리시아 왕국 국왕.2. 생애
876년경 아스투리아스 왕국의 수도 오비에도에서 아스투리아스 왕국 13대 국왕 알폰소 3세와 팜플로나의 세메나 사이의 삼남으로 태어났다. 형제로 가르시아 1세, 오르도뇨 2세, 곤잘로, 라미루가 있었다. 909년 큰형 가르시아 1세의 정변에 어머니 세메나와 형 오르도뇨 2세와 함께 가담해 아버지를 산 살바도르 데 발데디오스 인근의 볼리데스 마을에 유폐시킨 뒤 아스투리아스 왕국을 세 개로 나누었다. 큰 형 가르시아 1세는 레온 왕국의 국왕이 되었고, 작은 형 오르도뇨 2세는 갈리시아의 국왕이 되었으며, 그는 아스투리아스 국왕이 되었다.아스투리아스 국왕으로서의 행적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단지 912년 10월 24일 오비에도에 이쓴 산살바도르 대성당에 토지를 기증하는 등 여러 교회와 수도원에 제물이나 토지를 기증한 사실이 여러 문서에서 확인되었을 뿐이다. 914년 큰형 가르시아 1세가 자식을 낳지 못한 채 사망한 뒤 오르도뇨 2세가 레온 국왕을 겸임했을 때 그가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는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
924년 1월 18일 오르도뇨 2세가 사망했다. 오르도뇨 2세는 가르시아 1세와는 달리 여러 자식을 두었지만, 프루엘라 2세는 곧바로 군대를 이끌고 레온과 갈리시아 전역을 장악해 세 왕국을 일시적으로 통합했다. 924년 후우마이야 왕조의 아브드 알 라흐만 3세가 군대를 일으켜 팜플로나 왕국으로 쳐들어오자, 그는 카스티야 백작들을 파견해 팜플로나 국왕 안초 1세를 돕게 했다. 그러나 레온-팜플로나 연합군은 무슬림군에게 격파되었고, 팜플로나가 함락되었다. 그러나 후방에서 반란이 벌어졌다는 소식을 접한 아브드 알 라흐만 3세가 점령지에 수비대를 배치하지 않은 채 철수했기 때문에, 안초 1세는 곧 돌아와서 잃어버렸던 영토를 도로 확보했다.
프루엘라 2세는 서고트 왕국 위티자 왕의 후손임을 자처하던 올문도(Olmundo)의 아들 게불도(Gebuldo)와 아레신도(Aresindo)를 살해하고, 그들과 가깝게 지내던 레온의 주교 프루니미오(Frunimio)를 추방해 귀족들의 반발을 샀다. 그러다 925년 8월 나병에 시달린 끝에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형 오르도뇨 2세가 묻혔던 산타 마리아 데 레글라 데 레온 대성당에 안장되었다. 986년 레온 국왕 베르무도 2세는 무슬림군의 공세를 피해 그의 유해를 다른 군주들의 유해와 함께 오비에도 대성당으로 옮겼다. 이후 다른 유해들은 알폰소 5세에 의해 레온 대성당으로 돌아갔지만, 프루엘라 2세의 유해는 오비에도 대성당에 그대로 남았다.
3. 가족 관계
스페인 신부이자 역사가 엔리케 플로레스(Enrique Flórez, 1702 ~ 1773)에 따르면, 프루엘라 2세는 911년 이전에 팜플로나 국왕 안초 2세와 우라카 페르난데스의 딸 누닐로 히메나와 결혼했다고 한다. 그러나 안초 2세는 970년부터 994년까지 팜플로나 왕국을 다스렸기 때문에 프루엘라 2세의 왕비가 될 여인을 낳을 수 없다. 일각에서는 엔리케 플로레스가 안초 1세를 안초 2세로 잘못 표기했다고 보지만, 안초 1세의 왕실 문헌 기록에는 '누닐로 히메나'라는 이름이 전혀 언급되지 않았다. 몇몇 학자들은 그녀가 팜플로나 국왕 세메노 가르체이츠와 안차 아세아리츠 왕비의 딸이라고 추정하나 이 역시 근거가 부족하다. 이 때문에 마누엘 루벤 가르시아 알바레스(Manuel Rubén García Álvarez)를 포함한 많은 학자들은 이 여인의 존재 자체를 의심하고 있다.프루엘라 2세는 911년경 바누 카시 혈통이며 투델라의 타이파인 압둘라 이븐 무함마드의 딸인 우라카와 결혼했다. 두 부부간의 사이에서 알폰소 프로일라스[1], 라미로 프로일라스, 오르도뇨 프로일라스가 태어났다. 925년 8월 프루엘라 2세가 사망한 뒤 알폰소 프로일라스가 왕위에 올랐지만, 926년 오르도뇨 2세의 세 아들 산추 오르도녜스, 알폰소 4세, 라미로 2세에게 밀려난 뒤 두 형제와 함께 갈리시아와 아스투리아스 등지에 은거했다. 931년 알폰소 4세가 형제 라미로 2세에게 왕위를 넘기고 퇴위한 뒤 수도원에 들어갔다가 932년 자신의 선택을 후회하고 복위를 꾀했을 때 이를 도왔지만, 라미로 2세에 의해 진압되고 알폰소 4세와 라미로 프로일라스, 오르도뇨 프로일라스와 함께 실명형에 처해진 뒤 루포르코 데 토리오 수도원에 감금되었다가 그곳에서 사망했다.
4. 둘러보기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991 0%, #006CB1 20%, #006CB1 80%, #005991); color: #E7C9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스투리아스 왕조 | ||||
| 오르도뉴 2세 | 프루엘라 2세 | 아폰수 프로일라스 | 산추 오르도녜스 | 아폰수 4세 | |
| 아스투리아스 왕조 | 히메네스 왕조 | ||||
| 베르무두 2세 | 아폰수 5세 | 베르무두 3세 | 페르난두 1세 | 가르시아 2세 | |
| 히메네스 왕조 | 보르고냐 이브레아 왕조 | ||||
| 산추 2세 | 아폰수 6세 | 우라카 | 아폰수 7세 | 페르난두 2세 | |
| 보르고냐 이브레아 왕조 | |||||
| 아폰수 9세 | 산차 | 페르난두 3세 | 아폰수 10세 | 산추 4세 | |
| 둘시 | |||||
| 보르고냐 이브레아 왕조 | 보르고냐 왕조 | 트라스타마라 왕조 | |||
| 페르난두 4세 | 아폰수 11세 | 페드루 1세 | 포르투갈의 페르난두 | 엔리키 2세 | |
| 트라스타마라 왕조 | |||||
| 슈앙 1세 | 엔리키 3세 | 슈앙 2세 | 엔리키 4세 | 이사벨 1세 | |
| 페르난두 5세 | |||||
| 트라스타마라 왕조 | 스페인 국왕 → | ||||
| 슈아나 1세 | |||||
| 압스부르고 왕조 | |||||
| 필리피 1세 | 카를루스 1세 | ||||
| 아스투리아스 · 레온 · 갈리시아 카스티야 · 아라곤 · 공화국 · 스페인국 · 스페인 | }}}}}}}}} | ||||
[1] 누닐로 히메나의 아들이라는 설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