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align=center><table width=550><table bordercolor=#444466><bgcolor=#444466><table bgcolor=#ffffff,#ebebf2><table color=#FFF>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444466><rowbgcolor=#444466><width=35%>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 ||
||feat.하츠네 미쿠 ||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 0 0 -7px;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7%; min-height: 2em"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nt-size: 0.95em"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color: #ffffff; border-radius: 12px; background: #444466; padding: 3px 0 2px" {{{#!folding ⠀등장인물 · 유닛 ▼⠀ {{{#!wiki style="margin: -7px 0 -3px"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ebebf2><table bordercolor=#ebebf2><nopad> | |||||||||
| ||||||||||
| ||||||||||
| ||||||||||
| ||||||||||
| ||||||||||
만우절 한정 유닛 (1차 · 2차 · 3차) | 콜라보 한정 유닛 | 기타 등장인물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2%; min-height: 2em"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nt-size: 0.95em"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color: #ffffff; border-radius: 12px; background: #444466; padding: 3px 0 2px" {{{#!folding ⠀게임플레이 ▼⠀ {{{#!wiki style="margin: -7px -0px -3px" | 세계관 | 배경 | 스토리 (메인 스토리 · 이벤트 스토리 · 키 스토리) | ||||
음악 | 수록곡 | 음반 | ||||||||
콘텐츠 | 이벤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color: #ffffff; border-radius: 4px; background: #444466; padding: 0px 5px" | |||||||||
뽑기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color: #ffffff; border-radius: 4px; background: #444466; padding: 0px 5px" | ||||||||||
<rowcolor=#444466> 랭크 매치 | 마이세카이 | |||||||||
<rowcolor=#444466> 시스템 (에어리어 · 라이브 · 멤버 · 미션) | ||||||||||
<rowcolor=#444466> 라이브 | 버추얼 라이브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color: #ffffff; border-radius: 4px; background: #444466; padding: 0px 5px" | 커넥트 라이브 | ||||||||
오프라인 라이브 |
- ⠀관련 문서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ebebf2><table bordercolor=#ebebf2><color=#ebebf2><bgcolor=#ebebf2,#dddde7><width=20%><:> 기타 ||<-6><tablecolor=#444466> 팁 · 오프라인 이벤트 · 창작 콘테스트(의상) · 난이도 표기 문제(Lv.33 이상) · e스포츠 대회 · 프로세카 아카데미 · 라디오 및 정보 프로그램 · 노래방 수록곡 · 해외 서비스 · 발매 전 정보 ||
사건 사고 일본 서비스 · 한국 서비스
캐릭터 차별 대우 논란미디어 믹스 푸치세카 · Journey to Bloom · 극장판 애니메이션 관련 사이트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 디시인사이드 한국서버 갤러리
1. 개요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의 MASTER/APPEND 난이도의 33레벨 이상 악곡들의 난이도 표기 문제 및 평가들을 정리한 문서다.2. 작성 기준
- 개인차 범위 서술을 통해 곡의 편차를 나타낼 수 있으며, 플레이 영상 바로 아래에개인차: 개인차에 따라 느낄 수 있는 최저 체감 난이도 ~ 개인차에 따라 느낄 수 있는 최고 체감 난이도동레벨 내 서열: 동레벨 내 서열
형식으로 서술하며, 해당 표기 레벨로부터의 편차가 특히 큰 경우 볼드체 처리하여 난이도 표기 문제 곡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 - 개인차가 클리어 / FC / AP 세 수준에서 각각 체감하는 범위가 다른 경우 세분화하여 작성할 수 있다.
- APPEND 난이도의 경우 과도한 주관적인 서술을 방지하기 위해 난이도 표기 문제 곡 선정은 프로젝트 세카이 갤러리 어펜드 풀 콤보 서열표를 바탕으로 한다.
- 난이도 표기 문제 곡 작성 시 타당한 사유가 없다면 작성을 금지한다. 볼드체 처리된 난이도 표기 문제 곡의 처리 사유는 다음과 같다.[하츠네천지개벽신화][양왕][우리들의16비트전쟁][메모리아][하츠네미쿠의격창][아마라][I랍니다][도넛홀2024][불꽃][Sage]
- 체감 난이도의 세부 구분은 해당 난이도명 뒤에 하위 / 적정 / 상위 3가지로 구분하며, 중상위 혹은 최상위 등의 더 세부적인 사항은 현재 상위 레벨대의 악곡 개수가 세부적으로 나누기에 충분하지 않기에 구분하지 않는다.
- 동레벨 내 서열은 서술자 주관이 들어간 서술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토 난이도 서열표의 판정을 바탕으로 서술한다.
- MASTER 난이도는 34레벨 이하의 악곡이 개인차의 최고치가 35레벨 이상일 경우 전술한 대로 개인차로 인해 35레벨 하위/적정/ 상위 구분에 대한 체감이 달라 세부구분을 하지 않는 대신 35+로 표기한다.ex) 하츠네 미쿠의 격창: 34 하위 ~ 35+
- APPEND 32/34/35/36레벨의 경우 악곡이 충분히 세부 구분을 할 정도로 다량 존재하지 않기에 체감 난이도를 하위/적정/상위로 나누지 않지만, Sage의 경우 풀콤보 난이도 편차가 해당 레벨 구간을 크게 벗어나지 않기에 예외로 둔다.
3. 목록
개인차가 큰 33레벨 이상 곡들 중에서도 유독 난이도에 관한 논란이 나오는 악곡들만 따로 정리한 문단이다.3.1. MASTER
3.1.1. Lv.33
33레벨은 게임의 운영 과정에서 계속해서 인식이 바뀌어 온 레벨이다. 게임의 초창기, 33레벨은 무려 현 시점 35레벨 악곡들인 하츠네 미쿠의 소실 MASTER, 머신건 포엠 돌 MASTER 등과 같은 초고난도 채보들이 소속되어 있던 최상위 레벨대로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MASTER 레벨 분류가 전체적으로 재보정되면서 하츠네 미쿠의 격창을 제외한 나머지 악곡들이 전부 34, 35레벨로 격상되고 그 자리를 하츠네 미쿠의 격창과 새로 추가된 우리들의 16비트 전쟁이 차지하며 최종 난이도를 향하기 바로 전에 거치는 준 보스곡 내지 중간 다리 역할을 하는 레벨대로 그 위상이 낮아졌다. 하지만 난이도 구조 개편 이후 계속해서 추가되는 보스곡 라인[11]과 대조되게도 보스곡으로 향하는 다리 역할을 충실히 해내야 할 MASTER 33레벨이 이후 1년이 넘도록 단 한 곡도 추가되지 않으면서 32레벨에서 34레벨로 올라가려는 유저들이 실력 성장에 한계를 느끼고 이탈하는 경우가 잦아졌다. 이렇게 34레벨을 도전하려는 유저들이 단 두 곡밖에 없는 33레벨로 실력을 겨우겨우 올리고 있던 찰나, 일본 서버 기준 2023년 12월 28일 레벨 조정 이후 32레벨의 불렙 곡들이 33레벨로 올라오고 하츠네 미쿠의 격창이 34레벨로 승격되며 다시 한 번 하향 평준화가 이루어졌다. 또 하향 평준화와 동시에 세가가 신규 Append 보스곡들의 MASTER 레벨대를 33~34레벨대로 출시하는, 여러모로 보스곡에 도전하려는 유저들을 배려하는 행동을 보이면서 신규 33레벨 곡들이 대거 쏟아져 나와 전에 제대로 기능하지 못했던 다리 역할을 매우 충실히 해내게 되었다.<colbgcolor=#000000> 하츠네 천지개벽 신화 初音天地開闢神話 | |
] | |
FC 개인차 | 32 상위 ~ 34 하위 |
AP 개인차 | 33 적정 ~ 34 상위 |
동레벨 내 서열 | 적정 |
- 현 프로세카의 모든 수록곡들 중에서 길이가 가장 길기 때문에 고도의 집중력을 요구하며, 요구 피지컬이나 테크닉 또한 33레벨에 걸맞는 수준이라 33레벨 내에서는 개인차가 꽤나 크게 갈린다.
- 다만 AP의 경우 굴곡이 심한 롱노트 끝에 달린 방향플릭, 폭타 사이에 섞인 동타플릭, 폭타 직후 나오는 따닥이 구간, 후반부의 어려운 리듬, 마지막 왕복계단과 그 이후 감속 등 곡 전체적으로 그레이트 판정이 나기 쉬운 패턴들로 떡칠이 되어 있고, 준보스급 고레벨 악곡 특성상 곡 길이가 주는 영향 또한 매우 크기 때문에 33레벨 내에서는 AP가 가장 어렵다는 의견이 많으며, 심하게는 모든 34레벨 악곡들보다 AP가 어렵게 느껴지는 경우도 존재한다.
<colbgcolor=#000000> 우리들의 16bit 전쟁 ぼくらの16bit戦争 | |
개인차 | 33 적정 ~ 34 상위 |
동레벨 내 서열 | 상위 |
- 현 33레벨 중 유일한 3차 레벨 개편 전 33레벨 채보라 그런지[12] 마스터 33레벨 중 가장 어렵다는 평가를 많이 받는 채보이다. 중반부 피버찬스 구간부터 시작되는 2칸 넓이의 난해한 연타 혼합 롱잡, 하이라이트의 손교차 유도 슬라이드와 12비트+롱노트 혼합 변형 트릴, 극후반의 12비트 인식난 변형 트릴[13]등 체력적인 압박은 상대적으로 적지만, 노트 하나하나의 정확한 에임 캐칭과 높은 수준의 채보 독해 능력을 필요로 하는 난해하고 생소한 패턴들을 대거 채용하였기 때문에 개인차에 따라 체감 난이도가 33레벨 적정권에서 34레벨 상위권까지 상당히 크게 차이나는 편이다.
- 여담으로 과거에는 초창기 33레벨 동기였던 격창보다는 확실히 아래라는 의견이 우세했던 것과 더불어 34레벨 부동의 보스곡으로 꼽히던 썩은 외도와 초콜릿의 존재로 인해 그래도 33레벨로 남아있는 게 맞다는 의견이 많았지만, 썩은 외도와 초콜릿이 35레벨로 승격되고 그 뒤에 등장한 메모리아가 34레벨 입문급 난이도로 나오면서 격창이 34레벨 상위권을 맡게 된 지금은 이 곡 역시 34레벨로 승격되어도 괜찮을 것이라는 의견도 많아지는 추세이다.
<colbgcolor=#000000> 양왕 嬢王 | |
] | |
개인차 | 32 적정 ~ 33 적정 |
동레벨 내 서열 | 최하위 |
- 3주년 기념 고난도 악곡으로, 인식난이 거의 없는 대신 물량+순간 난이도로 승부를 보는 피지컬곡이다. 200BPM 16비트를 기반으로 진행되며, 중반부에 150BPM으로 느려졌다가 점점 원래 BPM까지 가속되는 12비트 동타+연타 패턴 이후 등장하는 2박자 200BPM 24비트 트릴이 주요 구간[14]. 그리고 곧바로 등장하는 복합 패턴을 넘기고 약간의 쉬는 구간을 지나면 좁쌀 12비트 동타+계단 패턴, 그리고 마지막 쉬는 구간 이후 최후살의 200BPM 16비트 손이동 트릴에 200BPM 32비트 트릴[15]이 잠깐 섞여서 등장하는 패턴이 등장한다. 다행히 최후반 트릴의 경우 대부분이 금노트라 최대한 빠르게 동타연타를 갈겨도 퍼펙으로 넘어가지지만, 중반부 24비트 트릴의 경우 피지컬이 충분하지 않거나 부족한 피지컬을 극복할 수 있는 배치를 떠올리지 못할 경우 순간 난이도가 매우 어려워진다. 앞서 말했듯이 인식난 거의 없이 물량+순간 난이도로 승부를 보는 곡이다 보니 풀 콤보 난이도의 경우 피지컬이 좋을 경우 33레벨 입문급으로 노릴만하며, 실제로 호곡 또는 그 이하 수준으로 평가받는 경우가 많다. AP 난이도의 경우는 박자난 없이 빼곡한 물량으로 승부보는 피지컬 채보의 특징답게 내려오는 노트의 속도에 PERFECT 판정을 낼 수 있도록 따라가는 속도만 된다면 33레벨에서 쉬운 수준이라고 체감할 수 있다.
3.1.2. Lv.34
MASTER 34레벨도 33레벨처럼 초기에 비해 하향 평준화 된 레벨군이다. 초기에는 엔드마크에 희망과 눈물을 더하며, the EmpErroR, Don't Fight The Music 이 3곡이 게키츄마이 콜라보로 기존 최고 레벨이었던 33레벨보다 높은 34레벨로 등장하면서 완벽한 보스곡의 포지션으로 자리매김하였다.이후 최초 34레벨 악곡들이 35, 36레벨로 상향되고 기존 33레벨 악곡이었던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 머신건 포엠 돌이 34레벨로 올라왔지만 올라온 곡들은 성향만 다르고 난이도는 초기 34레벨 악곡들인 게키츄마이 악곡들과 별 차이가 없고, 이렇다 보니 34, 35, 36레벨은 레벨 표기만 다르고 사실상 같은 레벨이라는 평가가 많았다. ÅMARA(대미래전뇌)가 추가되었을 때 당시 34레벨이라 하기엔 너무 쉽다는 평가가 많아 이때부터 하향 평준화의 움직임이 보였다가 썩은 외도와 초콜릿이 다른 기존 34레벨 두 곡과 비슷한 난이도로 등장하여 ÅMARA(대미래전뇌)를 하츠네 미쿠의 격창과 같은 레벨인 33레벨로 하향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었다.
결국 기존 34레벨 악곡들 중에서 가장 쉽다고 평가받았던 ÅMARA(대미래전뇌)를 제외한 나머지 기존 34레벨 악곡들이 전부 35레벨로 격상되고 다지를 권장하는 분기점 같은 역할을 했던 MASTER 33레벨의 하츠네 미쿠의 격창이 2023년 12월 28일 진행되었던 난이도 패치에서 결국 34레벨로 승격되는 하향 평준화가 이루어져 예전보다 위상이 상당히 낮아지게 되었다. 기존에 34레벨 물렙 취급을 받던 ÅMARA(대미래전뇌)는 그대로 34레벨에 남아있게 되어 물렙 이미지를 완전히 벗어났으며, 바로 밑의 33레벨과는 난이도 격차가 조금 심하다는 점에서 과거 33레벨이 가지고 있던 준보스~보스곡 라인의 포지션을 34레벨이 이어받게 되었다.
현재는 2023년 12월 28일의 난이도 패치 이후 33, 34레벨의 하향 평준화가 이루어졌고, 1년이 넘는 시간동안[16] 35레벨 이상의 MASTER 채보를 만들지 않고 있어[17] 현재로써는 정기적으로 추가되는 마스터 난이도에서의 실질적인 최종 보스곡을 담당하는 레벨대가 되었다.
<colbgcolor=#000000> 하츠네 미쿠의 격창 初音ミクの激唱 | |
] | |
개인차 | 34 하위 ~ 35+ |
동레벨 내 서열 | 상위 |
- 524~1159콤보까지는 비교적 간단한 패턴이 많아 여타 32~33렙 마스터 패턴과 비교해도 큰 차이가 없지만, 초반부에 플릭이 많이 섞인 발광 구간과 피버타임 부분의 대계단, 곡의 하이라이트부터 등장하는 200BPM의 16비트 속도의 인식난+계단 폭타로 인해 개인차가 상당히 크게 갈리는 채보로, 자신에게 맞는 손배치를 연구하지 않고 플레이하거나 노힐 클리어만 노릴 경우 매우 어렵다고 느낄 수 있다. 다만 순간 난이도는 같은 33레벨이었던 16비트 전쟁보다 조금 어려워도 쉬는 구간은 더 많기도 해서 손배치를 짜서 인식난 패턴들이나 테크닉을 요구하는 패턴들을 극복하고 나면 가장 쉬운 34렙 곡이 될 수도 있다는 평가가 많다. 다만 이와 관계없이, 중반부의 폭타는 왕복 4계단이나 연타, 5계단 등 다지를 권장하는 패턴이 많이 들어가 있다 보니 엄지나 2지를 쓸 경우 폭타 중간에 섞인 계단들을 처리할 때 3~4연타나 손가락 교차를 섞는 손배치를 이용해야 하고, 같은 난이도였던 우리들의 16비트 전쟁은 다지를 쓴다고 해서 딱히 쉬워지는 패턴이 없기 때문에 2지와 다지의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에 2손가락만 사용하는 유저들은 대부분 최소 33 상위권 내지 34레벨로 체감하는 편이었다. 2지플 난이도와 다지플 난이도 차이가 너무 크다보니 결국 2지 기준 난이도를 반영하여 34로 상향되었다.
- 4차 레벨 조정을 통해 34렙 부동의 보스곡이었던 썩은 외도와 초콜릿이 35레벨로 상향되었고, 전체 플레이어들 중에서 2지 기반 플레이어들이 상당히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현재 34렙 5곡 중에서는 가장 어렵다는 평이 일반적이다. APPEND 난이도 추가 이후 경향의 변화로 2차 얼티밋 3곡이 2지 친화적으로, 그리고 노트 크기를 이용한 인식난을 최소화한 형태로 출시되면서, 다지를 권장하거나 인식난 패턴으로 무장한 기존의 34레벨이 상대적으로 어렵게 된 것. 다만 중살 폭타와 최후살 폭타 구간 외에 곡 전체적으로 쉬는 구간이 많아 체력 안배가 타 34레벨에 비해 수월하고, 노트 배치가 어려울 뿐 박자로 난이도를 어렵게 만든 부분은 없는 데다가 타 고레벨 패턴과 달리 폭타 안에 2동타가 단 1개도 섞여 있지 않고 곡 자체의 속도도 200BPM으로 MASTER 34레벨 중에서 메모리아와 함께 느린 편[18]에 속하기 때문에 피지컬곡들에 약해도 손배치를 많이 연구하였거나 31~33레벨의 몇몇 다지 권장형 채보들을 플레이할 때 양손 중지/약지를 적절하게 사용하면서 올라왔던 플레이어라면 34레벨 적정급이나 최약체로 체감하는 경우도 제법 존재한다. 정리하자면 다른 마스터 34레벨 악곡 하나하나의 주력 패턴들이 요구하는 각각의 능력치가 이 곡에서는 다지 권장 패턴, 인식난 폭타 등 다양한 패턴에 골고루 분배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렇다 보니 앞서 말했듯이 손배치만 제대로 연구한다면 34레벨 내에서 피지컬 요구량이 많이 낮아진다는 평가가 많다.
<colbgcolor=#000000> ÅMARA(대미래전뇌) ÅMARA(大未来電脳) | |
] | |
개인차 | 33 상위 ~ 34 상위 |
동레벨 내 서열 | 하위 |
- 단순 피지컬적인 요소를 많이 배제한 대신 프로세카 고유의 난이도 상승 요인인 '인식난' 요소를 극한까지 활용하여 난이도를 끌어올린 채보다. 곡의 특성상 피지컬 요구량은 출시 당시 34~36레벨의 다른 채보들보다 덜한 수준이라 노력만 하면 당시 34레벨을 치기 힘든 피지컬을 가진 유저도 클리어 및 FC, AP가 가능할 것이라는 평가가 많지만, 곡 전체에 걸쳐서 인식난 패턴이 나오기 때문에 채보를 모두 외우는 과정이 매우 고통스럽다는 의견이 많다.[19] 인식난으로 도배해서 나온 채보인 탓에 초견 난이도는 매우 어렵지만 인식난 패턴들을 손이 기억할 정도의 수준에 이르면 난이도가 다른 기존 34레벨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처참히 낮아지는 곡의 특성 때문에 FC는 타 34레벨들보다 훨씬 더 안정적으로 풀콤이 가능하며, AP 난이도의 경우 다른 기존 34레벨들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쉽고 높게 쳐봐야 33레벨급이라는 평가가 많았다. 실제로 이 곡을 기존 33레벨 두 곡보다 더 빠르게 풀콤 혹은 AP를 해내는 유저들도 꽤 있으며, 이 곡은 AP를 달성하고 다른 기존 34레벨들은 풀 콤보는 커녕 노힐클조차 하지 못하는 유저도 존재한다. 이렇다보니 이 곡이 나오기 전부터 있었던 34레벨 두 곡이 35로 올라갈 때 이 곡은 상향되지 않았으며, 33레벨에 있었던 격창이 34레벨로 올라오면서 개편 후 34레벨이 과거의 33레벨 역할을 하게 되자 자연스레 물렙 이미지를 벗어나고 이후 기존에 동급 취급을 받던 격창과 함께 FC, AP 모두 34레벨 적정급을 기준으로 개인차가 갈리는 악곡이 되었다.
<colbgcolor=#000000> 메모리아 メモリア | |
] | |
개인차 | 33 하위 ~ 34 적정 |
동레벨 내 서열 | 최하위 |
- 전체적으로 인식난은 별로 없고 16비트 트릴 끝에 동타를 치게 하는 패턴과 사이사이에 동타를 섞은 12비트 3~4계단 복합 패턴, 후반부의 한손 2연타를 요구하는 패턴 등 피지컬적인 요소가 많은 패턴들이 곡 전반적으로 산재하여 있다. 다만 앞서 수록된 얼티밋 공모전 2차 당선곡인 오갸리나이저나 괜찮으신가요?와 같이 특정 부분에서 난이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부분은 사실상 없고 곡 전체가 34레벨 내에서는 느린 편인 205BPM의 속도로 진행되기 때문에 개인차에 따라 일부 33레벨 곡들과 32레벨대 보스곡들보다 빠르게 잡는 유저들이 존재할 정도로 34 입문곡으로 체감하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이 존재한다.
- 난이도와 별개로 중반부 잠잠해지는 부분의 정지 기믹을 이용한 노트 연출이 매우 호평이다.
3.2. APPEND
3.2.1. Lv.33
<colbgcolor=#884499> I랍니다 Iなんです | |
클리어 개인차 | 33 적정 ~ 34 |
FC 개인차 | 33 최상위 ~ 35 |
동레벨 내 서열 | 최상위 |
- 클리어, FC, AP 모든 면에서 33레벨 보스곡 위치를 점하고있는 상당한 고난이도의 곡이다. 중반까지는 적정 수준이나 후반부에 다섯 손가락 이상 손가락을 사용해야 하는 롱잡과 최후살인 난해한 롱잡+트릴 패턴이 등장해 실질 체감 난이도가 다른 APD 32레벨 패턴보다 훨씬 높았고 이러한 이유로 33레벨로 격상되었다. 불렙으로 평가되는 가장 큰 이유중 하나인 마지막 구간은 롱잡+트릴에 섞인 동타 타이밍을 16비트인 박자를 마디 앞 들어가는 16비트의 두 노트까지 포함시켜 총 18개의 노트를 셋잇단으로 3개씩 쪼갠 상당히 난해한 박자로 만들어 비견될 패턴이 없다고 할 수 있다.[20] 또한 이런 패턴은 35레벨 이상 채보에서 비슷하게 볼 수 있지만 I랍니다만큼 어려운 순간난이도를 요구하는 패턴은 없기에 순간 난이도가 37레벨이라는 우스갯소리도 나온다.
- 이전부터 34레벨인 불꽃 -Reloaded-와 비교될 정도로 어렵다는 이야기가 많았던 만큼 격상 이후에도 타 33레벨 대비 어렵다는 평이 다수이며, 이후에 나온 34레벨인 프로토 디스코보다도 어렵고 현재 34레벨 중 가장 체급이 높다고 평가되는 도쿄 테디베어보다도 어렵다는 의견도 일부 존재해 33레벨 개수가 많아진 현재 클리어 기준으로는 높은 건반력을 요구하는 것이다나 아지랑이 데이즈와 함께 33레벨 3대장으로 묶이는 추세이며, FC는 전술한 최후살때문에 동레벨 내 독보적인 불렙으로 인식되며 AP 또한 박자가 심하게 쪼개진 중반 구간이나 최후살때문에 탈33급으로 평가된다.
<colbgcolor=#000000> 도넛 홀 2024 ドーナツホール 2024 | |
] | |
클리어 개인차 | 32 ~ 33 상위 |
FC 개인차 | 31 상위 ~ 33 적정 |
AP 개인차 | 32 ~ 33 적정 |
동레벨 내 서열 | 하위 |
- 마스터 난이도가 29레벨이기에 어펜드 또한 크게 어렵지 않을 것이다라는 유저들의 예상을 깨고 무려 33레벨이라는 고난이도로 수록된 악곡이다. 한손 동타를 기반으로 8비트에 빼곡히 채운 노트로 물량난에 초견살 성향을 띄고있는 손 넘겨받기 패턴과 손 교차 패턴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중간마다 약지 사용을 강제해 5지 패턴 또한 존재한다. 곡 길이가 상대적으로 다른 채보에 비해 길게 커팅되어있고 다른 어펜드 채보와 다르게 쉴 수 있는 연출용 구간이 적어 체력곡의 성향을 띄고 있으나 타 33레벨에 비해 크게 난이도가 치솟는 구간이 없어 33레벨 내 물렙으로 인식되며, 풀 콤보의 경우 31레벨의 펠레스나[21][22] 텔레캐스터 비보이와 비슷하거나 이보다 쉽다는 의견도 소수 존재해 심할 경우 31레벨로 체감하기도 하며, AP 역시 정박 위주면서 리듬게임에 적당한 BPM이라는 채보 특성탓에 33레벨 입문을 넘어서 아예 32레벨인 88별미, 지구 최후의 고백을과 비슷하거나 이보다 더 쉬운 수준이라는 의견도 존재한다.
<colbgcolor=#88dd44> snooze | |
개인차 | 31 상위 ~ 33 상위 |
동레벨 내 서열 | 하위 |
- 손교차난을 거의 배제하고 건반 패턴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인식난 동타트릴이나 후반의 트레이스 긁기 등 초견시 당황스럽게 느껴질 수 있는 패턴들이 산재한 채보이다. 그러나 패턴 자체가 요구 지력이 높은 게 아니기 때문에 주요패턴 파악 후에는 별다른 어려운 없이 파훼 가능하고, 다른 33어펜드 곡들에 비해 곡의 밀도가 낮아 난이도 체감 수준이 32레벨에 준한다는 의견이 많다. AP또한 판정잡기 어려운 부분들을 판정강화 덱으로 극복이 가능하여 실질적인 AP 난이도가 타 33에 비해 쉽다고 느껴질 수 있다.
3.2.2. Lv.34
<colbgcolor=#4455dd> 불꽃 -Reloaded- ヒバナ -Reloaded- | |
개인차 | 33 하위 ~ 34 |
동레벨 내 서열 | 하위 |
- 33레벨의 킬러처럼 중간마다 고BPM에 맞춘 계단과 동타가 섞인 밀도높은 패턴을 단시간 안에 쏟아내는 피지컬 성향의 채보이다. 밀도가 높은 패턴들로 이루어져있어 처음에는 채보 파악이 어려워 초견살을 띄고있다. 그러나 맨 처음의 폭타부분을 제외하면 34레벨 치고 크게 난이도가 올라가는 부분이 없으며 곡 길이 또한 매우 짧은 편이기에 33레벨과 요구지력이 차이가 크게 나지 않는다는 평가가 많다. I랍니다보다는 당연히 쉽고, 비슷한 요구지력을 지닌 것이다와 난이도가 엇비슷하다는게 중론이다. 그러나 고BPM에 맞춰 빽빽하게 노트를 넣은 고밀도 구간이 많고 애초에 난이도가 그러한 구간들에 쏠려있는 탓에 킬러와 비슷하게 정타로 치지 않고 잘 뭉개서 넘어가는 편법을 터득하면 풀 콤보 한정으로 33레벨 하위권에 준하는 수준으로도 느낄 수도 있다.
3.2.3. Lv.36
<colbgcolor=#000000> Sage | |
] | |
FC 개인차 | 35 하위 ~ 35 상위 |
AP 개인차 | 35 상위 ~ 37 |
동레벨 내 서열 | 하위 |
- 전체적으로 극한의 채보 독해력과 다양한 다지 테크닉을 요구하는 패턴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4차 레벨 조정으로 36레벨로 승격된 곡이나, 35레벨 시절에도 35레벨 중에서 노힐 클리어나 풀 콤보가 쉽다는 의견이 많았는데 승격으로 인해 물렙이 된 곡이다. 후반의 피아노 계단 파트가 까다롭고 AP난이도가 어려웠어도 패턴의 밀도가 타 35레벨에 비해 압도적으로 낮으며, BPM 또한 145의 16비트 기반 패턴으로 36레벨 치고 매우 느린 편에 속하고 24/32비트 패턴들의 경우 처리가 어렵지 않게 배치되어 있는 데다가 노트 배치도 한손 검지&약지 + 중지 롱잡 패턴 외엔 대부분 직관적이라 연구량도 36레벨에 걸맞을 정도까지 높은 편은 아니다 보니 풀 콤보 이하 난이도는 36레벨 치고 매우 쉽다는 의견이 많다. 앞서 말했듯이 후반 피아노 파트의 리듬이 매우 어렵다 보니, AP 난이도는 다른 APD 36레벨 두 곡과 비교되거나 개인차에 따라 37 이상까지 올라갈 수 있는 AP 주의곡이라 악곡의 레벨 조정에 AP도 어느 정도 반영하는 게 아니냐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23]
[하츠네천지개벽신화] 과거 갤 AP 서열표에서 당시 존재하던 현 33레벨 악곡들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존재하였던 이력[양왕] 과거 갤 서열표에 33-로 따로 분리된 이력[우리들의16비트전쟁] 갤 서열표 33레벨 내 유일한 33 윗 화살표[메모리아] 갤 서열표 34레벨 내 유일한 아랫 화살표 및 본토 판정 최하위[하츠네미쿠의격창] 갤 서열표 34레벨 내 유일한 윗 화살표[아마라] 프로세카 악곡 중 가장 심각한 인식난으로 인한 개인차[I랍니다] 갤 서열표 내 윗화살표 존재[도넛홀2024] 갤 서열표 하위 판정[불꽃] APPEND 갤 서열표 34레벨 내 유일한 아래 화살표[Sage] 갤 서열표 내 아래화살표 존재[11] MASTER 34~35레벨[12] 이 곡을 제외한 현 33레벨들은 3차 개편 이후에 나온 신곡이거나, 기존에 32레벨이었던 악곡이었다.[13] 얼핏 보기에는 단순한 인식난 트릴이지만, 왼손 오른손 순서대로 치다보면 손이 꼬여 칠수 없다. 다지를 써 손배치를 짜거나, 한손으로 2연타를 쳐야한다.[14] 16비트 환산시 300BPM이다. 33렙은 물론이고 그 윗 레벨대에서도 잘 나오지 않는 고속트릴이다. 이 구간의 순간 난이도 때문에 이 곡을 33적정으로 보는 사람도 적지 않다.[15] 참고로 37레벨의 What's up? Pop!의 후살 부등호 패턴이 200BPM 32비트이다.[16] 37레벨을 제외하면 2년까지도 벌어진다.[17] 이는 APPEND 채보의 등장 이후 MASTER 난이도가 2지 기반 플레이를 지향하게 되었기 때문이거나 아직 MASTER 34레벨의 개수(5개)가 MASTER 35레벨 개수(6개)보다 적어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18] ÅMARA의 경우 약 110BPM의 16비트 기반으로 진행되는 곡이지만 32비트 패턴이나 24비트 패턴의 비중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노트의 순간 밀도는 오히려 더 높다.[19] 중반부의 폴리리듬 구간이나 그 직후의 간격이 다 다른 단노트 배치 등 곡 자체 박자도 상당히 난해하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당황하게 되어 모조리 한손으로 밀어서 체력을 낭비하기가 쉽다. 중간의 피버 찬스 구간에서도 흘리기 쉬운 1칸 크기의 매우 작은 노트들과 이것들이 섞인 롱잡 패턴으로 인해 방심할 수가 없다. 후반부 롱잡 연타 패턴의 경우 중간에 슬라이드를 이어받으면서 하거나 손교차를 해야 하는데, 플릭까지 섞여 있다보니 처리하기가 상당히 까다로우며, 후반과 마지막의 겹친 롱노트 슬라이드의 경우 2지 유저라면 따라가다가 새기 매우 쉬우니 주의가 필요하지만, 슬라이드의 틱이 특정 위치에서만 올라간다는 점을 이용하면 손을 특정 위치에 고정한 상태로 가만히 있어도 콤보가 이어진다.[20] 해당 구간의 롱노트 머리만 놓고 보면 처리 방식이 하츠네 미쿠의 소실 MASTER의 후반 8비트 동타플릭 난사 구간 직전의 폭타와 유사하다. 다만 여기서는 노트 크기가 더 작아지고 양끝 롱노트들을 잡고 있는 상태로 처리해야 하는 데다가 가운데 2줄이 좌우로 조금씩 이동하고 있고, 속도 또한 소실의 해당 구간보다 빠르기 때문에 순간 난이도는 이쪽이 더 어렵다.[21] 물론 펠레스가 FC이상 수준에서 개인차 스펙트럼이 굉장히 큰 곡이기에 역으로 펠레스를 높게 체감하는 경우일 가능성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31레벨 상위권으로 분류되는 곡이기에 31레벨로 체감할 수 있다고 서술한다.[22] 도넛홀에서 후반부에 펠레스와 비슷한 동타 연타구간이 등장하는데 펠레스에 비해 속도가 약간 느려 더 쉽게 체감하는 경우가 많으며, 패턴 상 자주 비교되는 곡으로 꼽힌다.[23] 실제로 최근에 난이도가 조정된 레벨들을 보면 AP 주의곡의 비중이 꽤 되며, 이는 31 시절 본토에서 하위까지도 평가를 받았지만 32로 격상된 픽서도 예외는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