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11:59:21

프로덕션 에이스

<colcolor=#FFFFFF> 프로덕션 에이스
Production Ace
파일:production-ace-logo.png
<colbgcolor=#205aa4> 회사명 주식회사 프로덕션 에이스
株式会社プロダクション・エース
설립일 1993년 7월 2일(재설립: 2008년 7월 1일)
본사위치 일본 도쿄도 시부야구 에비스니시 2-3-16 CAT빌딩 6F
업종 배우·성우 매니지먼트 및 육성
외부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매니지먼트 실적3. 탈주 러시4. 소속 성우
4.1. 남성
4.1.1. 아역 성우
4.2. 여성
4.2.1. 아역 성우

[clearfix]

1. 개요

일본성우 기획사. 전신은 1993년에 설립된 트라이얼 프로덕션인데, 홈페이지 연혁에서 확인할 수 있듯 엑스트라 배우 매니지먼트를 하던 회사였다. 그러다 2005년에 성우 매니지먼트에 발을 걸쳤고, 2008년에 카도카와와 어뮤즈먼트 미디어 종합학원이 절반씩 지분을 인수한 후 프로덕션 에이스로 사명을 바꾸면서 성우 업계에서 부각되기 시작했다.

2. 매니지먼트 실적

2000년대 후반에서 2010년대 중반까지 상당수 카도카와 관련(소년 에이스, 카도카와 스니커 문고, 후지미 판타지아 문고 등) 작품들에 팬들이 기대했던 성우들 대신에 실력이 검증 안 된 이곳의 무명 성우들이 단역을 넘어 주요 역으로 출연하고 OST를 전담했다. 라이트 노벨, 만화 등 출판물을 기반으로 한 애니메이션들의 판권을 카도카와가 독점하는 것에 대한 반발 심리와 맞물려 상당수 성덕들과 애니메이션 팬들에게 프로덕션 에이스의 이미지는 그리 좋지 않았다. 거대 스폰서들의 이해 관계를 우선시하는 제작위원회 방식의 어두운 면을 잘 보여주는 사례였다.

제법 많은 성우들을 출격시켰지만, 인기를 얻은 이곳 출신 성우는 사실상 노미즈 이오리가 전부이며, 노미즈 이후엔 브리드컷 세라 에미야마모토 카즈토미가 그나마 성공적인 케이스이다. 그 노미즈조차도 아키바 아이돌로 활동하던 시절에 얻은 인기를 그대로 안고 프로덕션 에이스로 건너왔으며, 어둠의 세계에서 나름 활약하고 있는 시타라 마미마우스 프로모션 소속으로 충분히 활동을 한 뒤 이곳으로 이적했다. 결국 심야 애니메이션 쪽에서 에이스가 처음부터 키워서 안착시킨 성우는 브리드컷 세라 에미와 야마모토 카즈토미밖에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카도카와 캐스팅의 덕을 지나치게 보는 모습 때문에 2010년대 초반에서 중반까지 이곳 성우들은 프로덕션 에이스 소속이라는 사실만으로도 많은 성덕들에게 미운털이 박혔을 정도이며, 심지어 R-15이나 일상에서처럼 성우진이 작품과 함께 침몰하기도 했다.

2014년에 카도카와와 아뮬레토의 모기업인 드왕고가 합병을 하며 향후 매니지먼트를 어떻게 조정해 나갈지 귀추가 주목되었는데, 201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성우 푸쉬가 크게 줄어들었다. 에이스 성우 대부분이 조연 및 단역에 국한되어 캐스팅되고 있어서 업계 내에서 제대로 주목받을 기회가 많이 드물다. 예전엔 활발했던 신인 푸쉬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프로덕션 에이스의 얼굴이었던 노미즈 이오리부터 2016년 이후 찬밥 신세를 면치 못했다. 브리드컷 세라 에미, 야마모토 카즈토미, 코모토 케이스케가 간간히 레귤러 역을 받았지만, 여타 유명 기획사의 간판 성우들과 비교하면 커리어가 빈약한 편이었다.

후술되듯 많은 성우가 퇴사한 2020년대 중반 기준으로 가장 커리어가 앞서는 성우는 아오니 프로덕션 출신인 코모토 케이스케이다. 애니메이션 출연 경력도 다른 에이스 성우들보다 낫고, 외화 더빙 출연도 꾸준할 정도로 활동폭이 넓다. 물론 타 기획사의 인기 성우들과는 격차가 커서 소속사 간판으로 밀기는 꽤나 애매하다. 그 밖에 2023년과 2024년에 걸쳐 신규 애니 2편에서 주역을 맡은 카지타 다이시가 그나마 눈에 띄고 있다.

3. 탈주 러시

간판 성우들과 유망주들이 퇴사를 하거나 아예 은퇴하는 일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학생회의 일존에서 주연을 맡았던 호리나카 유키가 2010년에 퇴사한 후 켄 프로덕션으로 들어갔다.[1] 2012년엔 이것은 좀비입니까?사라스바티 역으로 알려진 고우다 아야가 퇴사했고, 이후 프리랜서로 간간이 활동하다가 2016년 3월 결혼소식을 알리며 성우 은퇴를 선언.

2013년엔 학생회의 일존, 일상, 미래일기 등에서 주역으로 활약했던 토가시 미스즈도 이곳을 나와 프리랜서로 활동하다 켄 프로덕션으로 이적했다. 게다가 5월에는 혼다 마리코마저 퇴사 후 아뮬레토로 이적하면서 학생회의 일존의 메인 히로인으로 활약했던 프로덕션 에이스 성우들 전원이 이곳과 결별하였다.

그리고 2014년 2월에는 용사가 되지 못한 나는 마지못해 취직을 결심했습니다에서 아이리 올티넷의 성우로 이름을 알렸던 이와사키 카나에, 10월엔 일상에서 시노노메 나노를 연기했던 후루야 시즈카가 이 소속사를 빠져나왔다.

2015년 9월엔 그동안 주력 성우들의 퇴사 이후 프로덕션 에이스의 차세대 간판 중 하나로 대접받던 사도하라 카오리마저 이 회사를 떠났으며, 2016년 7월 2일엔 츠키미야 미도리가 퇴사 및 성우 은퇴를 선언하며 이것은 좀비입니까?에 출연한 에이스 소속 성우 대부분이 에이스와 결별하였다. 나아가 외화 더빙 쪽에서 활발히 활동하던 미사토조차도 2016년 프로덕션 에이스를 퇴사하고 프리랜서가 되었다.

결국 프로덕션 에이스의 얼굴이었던 노미즈 이오리마저 2022년 2월 28일에 CYBER CONTENTS로 이적하며 sweet ARMS 멤버 모두가 에이스를 퇴사하였다. 2022년 7월 31일엔 노미즈 이후 소속사 간판으로 활약하던 브리드컷 세라 에미가 이곳을 나왔다. 이제 프로덕션 에이스의 전성기를 함께 했던 여자 성우는 미나 한 명만 남았는데, 그런 미나도 2010년대 중반 이후 활동이 뜸해졌기 때문에 인지도가 많이 죽었다.

심야 애니메이션 쪽에서 어느 정도 인지도가 있던 야마모토 카즈토미 역시 2024년 4월 1일에 아뮬레토로 이적하였다.

4. 소속 성우

가나다 순으로 정렬할 것.

4.1. 남성

4.1.1. 아역 성우

4.2. 여성

4.2.1. 아역 성우




[1] 이후 학생회의 일존 2기가 제작되자 에이스 소속 성우로 교체되었고, 하는 김에 남은 한 명까지 에이스 소속으로 교체해서 주역 여성진 4인이 전원 에이스 성우로 물갈이됐다.[2] 1963년생, 에이스 소속 역대 최고령 성우.[3] 항목 2번. 참고로 1번 항목은 켄 프로덕션 소속.[4] 맡겨줘! 미라클 캣단의 아카가와 포코미역을 맡았던 성우. 2001년 2월 4일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