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2 21:32:30

모(무기)

투겁창에서 넘어옴
{{{+1 {{{#fff 창(무기) {{{#fff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888> 창날별 종류 <colcolor=#000,#fff>극(무기) · 모(무기) · 삼지창 · 할버드 · 폴액스 · 고덴닥
자루별 종류 장창(죽장창, 파이크, 사리사, 야리) · 단창 · 죽창
용도별 종류 기병창 · 기창(旗槍) · 투창(표창)
무공 창술(란나찰, 무림의 창법(양가창법))
창잡이 창잡이(창기병, 창병)
기타 천하 3명창 }}}}}}}}}

파일:서울 응암 출토 청동 투겁창.png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동 출토 청동모.
초기 철기 시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 개요2. 특징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모() 또는 투겁창은 동북아시아에서 널리 사용된 장병기로, 과 유사한 무기이다. 이 이름이 붙는 무기 중 유명한 것으로 《삼국지연의》에 나오는 장비장팔사모가 있다.[1]

2. 특징

좁은 의미의 창과 마찬가지로 주로 적을 찌르는 용도로 사용하는데, 후대의 (槍)과 별다르지 않아 뚜렷한 구분점을 찾을 수가 없다. 국내에서 창은 칼처럼 슴베가 있어 날이 자루 안으로 들어가지만, 모(矛)는 날에 주머니처럼 달린 투겁식의 소켓에 나무 자루가 들어간다는 식으로 알려졌으나, 이것은 일본의 야리(槍)와 호코(矛)의 차이. 한국과 중국의 창이나 모는 소켓식, 슴베식이 둘다 존재하므로 정확한 구분이라 할 수 없다.

양자의 구분은 형태상의 특징보다는 시대와 용법에서 차이가 난다고 보는 게 맞는다. 창은 주로 양손으로 사용하지만, 모는 대체로 방패와 함께 한손으로 사용한다. 모가 짧다는 말이 있지만 나라의 모는 한 손으로 사용함에도 길이가 4.5 m, 그리스 아테네의 이피크라테스 군제개혁 당시의 한손창은 3.6 m 남짓했다. 이피크라테스 군제개혁의 핵심 내용 중 하나가 바로 창대 길이를 늘리는 것이었다.

대체로 모와 방패의 조합에서 양손으로 쓰는 창으로 넘어가는 때는 7~13세기이다. 기병이 카우치드 랜스 전법과 등자의 보급 완료 등으로 전투력이 크게 향상되었고, 양성 자체도 쉬워진 시기였다. 그 전까지 보조역할을 수행하던 기병이 전쟁에서 일약 주역으로 나서게 된 무렵이다. 보병이 방패를 버리고 창을 양손으로 쓰기 시작함은 기병의 전투력이 강해지자 여기에 대항하기 위해서이다. 모순이라는 고사성어에서도 창이 아닌 모가 등장하는 것도 그러한 맥락일 수 있다.

한국에선 2세기 후반~4세기까지 경상도 지역에서는 판상철모라 하여 단면이 판상이고 날의 길이가 긴 철모가 많이 출토되는데, 도검류 무기들 중 후대의 협도처럼 찌르기와 베기를 동시에 담당하는 장병기였다.(참조:이뮤지엄)

또한 광형동모(廣形銅矛)라는 것도 있는데, 모처럼 생겼지만 날이 지나치게 넓고 얇아 실용성은 없는 구리 합금제 의례용 장식품으로 주로 일본에서 출토된다. 한반도에서는 일본과 자주 교류했던 김해, 고성 등 구 가야 지역에서 조금 출토된 바가 있다.

연발총이 보급되기 전까지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멧돼지 사냥용 창은 모 형식으로 만들어졌다.

3. 관련 문서


[1] 관우가 실제로 쓴 무기도 청룡언월도가 아닌 모였을 것이다. 월도가 후한 시대에 아직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2] 해당 고사성어의 모가 바로 이 무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