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74a2, #0099d5 20%, #0099d5 80%, #0074a2);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막시밀리안 1세 | 페르디난트 마리아 | 막시밀리안 2세 에마누엘 | ||
| 로렌의 엘리자베트 |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안나 | 사보이아의 헨리에테 아델하이트 공녀 |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안토니아 | 테레제 쿠니군데 카롤리네 | |
| 카를 알브레히트 | 막시밀리안 3세 요제프 | 카를 테오도어 | 막시밀리안 1세 요제프 | ||
|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아말리아 | 작센의 마리아 안나 조피 | 팔츠줄츠바흐의 엘리자베트 아우구스테 여백작 | 오스트리아에스테의 마리아 레오폴디네 여대공 | 헤센다름슈타트의 아우구스테 빌헬미네 | |
| 막시밀리안 1세 요제프 | |||||
| 바덴의 카롤리네 | |||||
| 바이에른 선제후 | }}}}}}}}} | ||||
| <colbgcolor=#8DD5D3><colcolor=#000000> 바이에른 선제후비 테레사 쿠네군다 소비에스카 Teresa Kunegunda Sobieska | ||
| | ||
| 이름 | 폴란드어 | 테레사 쿠네군다 소비에스카 (Teresa Kunegunda Sobieska) |
| 독일어 | 테레제 쿠니군데 (Therese Kunigunde) | |
| 출생 | 1676년 3월 4일 | |
| 폴란드-리투아니아 폴란드 왕국 왕관령 빌라누프 | ||
| 사망 | 1730년 3월 27일 (향년 54세) | |
| 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 | ||
| 배우자 | 막시밀리안 2세 에마누엘 (1694년 결혼 / 1726년 사망) | |
| 자녀 | 마리아 안나 카롤리네, 카를 7세, 필리프 모리츠 마리아, 페르디난트 마리아 이노첸스, 클레멘스 아우구스트, 요한 테오도르 | |
| 아버지 | 얀 3세 소비에스키 | |
| 어머니 | 마리 카지미르 다르키앵 | |
| 형제 | 야쿠프 루드비크, 알렉산데르 베네딕트, 콘스탄티 브와디스와프 | |
| 종교 | 가톨릭 | |
1. 개요
폴란드-리투아니아 국왕 얀 3세 소비에스키와 그의 왕비이자 프랑스 귀족 출신인 마리 카지미르 다르키앵의 딸. 바이에른 선제후 막시밀리안 2세 에마누엘과 결혼해 카를 7세, 쾰른 선제후 클레멘스 아우구스트 등을 낳았다.능력도 안 되면서 쓸데없이 야심만만한 남편 때문에 결혼 생활 대부분을 도피로 보냈으며 1726년 남편의 사후 공무에서 은퇴하고 베네치아 공화국으로 이주해 베네치아에서 사망했다. 유해는 뮌헨의 테아티너 교회에 안장되었다.
2. 자녀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자녀 |
| 1녀 | 바이에른의 마리아 안나 카롤리네[1] (Maria Anna Karoline of Bavaria) | 1696년 8월 4일 | 1750년 10월 9일 | |
| 1남 | 카를 7세 (Karl VII) | 1697년 8월 6일 | 1745년 1월 20일 |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아말리아 여대공[2] 슬하 2남 4녀[3] |
| 2남 | 바이에른의 필리프 모리츠 마리아 (Philipp Moritz Maria of Bavaria) | 1698년 8월 5일 | 1719년 3월 12일 | |
| 3남 | 바이에른의 페르디난트 마리아 이노센츠 (Ferdinand Maria Innocenz of Bavaria) | 1699년 8월 5일 | 1738년 12월 9일 | 팔츠노이부르크의 마리아 안나 여백작 슬하 2남 1녀 |
| 4남 | 쾰른 선제후 클레멘스 아우구스트 (Clemens August, Archbishop-Elector of Cologne) | 1700년 8월 17일 | 1761년 2월 6일 | |
| 5남 | 바이에른의 요한 테오도르 (Johann Theodor of Bavaria) | 1703년 9월 3일 | 1763년 1월 27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