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6-16 20:22:02

태양의 후예/사실관계 오류/피복 및 장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태양의 후예/사실관계 오류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태양의 후예/사실관계 오류/전반
,
,
,
,
,


1. 개요2. 낙후된 장비3. 기타

1. 개요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2015040111082594792.jpg
김기범 일병의 베레모를 보면 특전병간부용 특수전 모장을 달고 있다. 전인범 장군 이래(2014년 4월 1일) 특전병은 간부들과 다른 특전병용 모장을 쓰도록 바뀌었고, 간부들 역시 특수전 교육 미수료자 및 특수전 교육 수료 여부 관계없이 준장 이상 계급의 장교는 모장 없이 계급장만 달도록 바뀌었다.
파일:external/uhd.img.topstarnews.net/1458275544-99.jpg

유시진과 서대영을 비롯한 다른 간부진은 특수전 모장에 계급장까지 갖춰 단 것에 비해 윤명주나 윤 중장은 부녀가 사이좋게 모장 없이 계급장만을 패용하고 있다.

쪼갠다고 싸대기 쳐맞기 직전인 듯한 김기범 일병의 명찰위에 육군 보병 병과표지 .. 잠깐! 이것은 고증이라고 할 것도 아니고 촬영 현장의 70% 정도는 차지할 육군 출신 예비역들이라면 모르기가 더 어려울텐데...제작진이 모두 미필인가보다평행세계에서는 일병도 간부 취급인듯 병이 병과표지를 다는 건 드라마 제작 당시를 기준으로 국군에선 공군 (공군 병과표지는 특기마크라 부른다.)이다. 해군은 특수병과(의무, 법무, 군종) 장교와 헌병 병만 별도의 병과표지를 패용(특수병과 장교는 근무복, 전투복 등은 왼쪽 칼라에 계급장 대신, 정복(사진 왼쪽, 해군 군의대위의 소매 금선 위)에는 공용병과장 위치에 대신 단다. 헌병 병은 양쪽 칼라에 철제(근무복, 행사복)와 포제(전투복)를 단다.)하고, 해병대는 헌병 병을 제외(재질과 부착 기준은 해군 헌병과 동일)하고 신분 불문 병과장을 달지 않는다. 현재는 해군도 기술행정병과에 한해 공군처럼 전 신분이 병과장을 단다.

국방부에서 피복을, 그것도 실제 해외파병부대에서 사용했던 것으로 지급했다는 걸 생각하면 더더욱 기가 찰 일이다. 아마 국방부 공보부처에서 오버해서 A급으로 준다고 장교/부사관들이 사용했던 것들로만 골라서 준 듯


파일:external/s28.postimg.org/herhe.jpg

한 번의 실수가 아니었다. 9회에 떼로 등장한 특전사 간부용 베레모 모표에 병과장까지 단 간부병사(?) 아니.. 병사간부(?)님들 다시는 한국을 무시하지 마라! 우리에게는 세계에서 유일무이한 간부병사님들이 있다![1]

2. 낙후된 장비

작중 유시진과 서대영이 소속된 대한민국 특전사 와 합동 구출작전에 임하는 미 육군 델타 포스가 미군에서 이제 2선급 장비가 된 MICH 2000 방탄모를 쓰고, M16A4, M4A1 기본형에 ACU, OTV GEN2 방탄복을 차고 다닌다. 델타포스는 20년 전에도 저러진 않았다. 파병부대의 장비는 각 파병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는 경우가 있지만, 그것도 같은 류의 방탄복을 사막, 정글 등에 따라서 조금씩 바꾼다 정도지, 극중 나오는 수준의 장비는 파병부대에서 전혀 쓰지 않는다.

심지어 동명부대 인원에는 K11을 개인당 1정씩 지급했었다. 한국 내 특수부대도 H&K MP5를 사용하니 극중에서 H&K MP5를 쓰는 것은 틀리지 않았으나, 아니...물론 쓰긴 하지만, 저긴 아프간이나 이라크라고...?제707특수임무대대 문서에 올라온 사진들과 비교해 부착물이 상당히 열악 그 자체다.

무엇보다 아프간이나 이라크는 보통 교전거리가 400m는 족히 되는 동네이다. 이런 곳에서 위에 서술한 MP5를 지급한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 현지의 미군들은 NATO 주력 소총탄5.56×45mm NATO탄도 '위력 부족' 이라는 평가를 하며 창고에 짱박혀있던 7.62mm 소총들을 꺼내오거나 개조하고 아예 구경이 더 큰 대물 저격총까지 동원하는 마당에, 작중 묘사처럼 9mm 기관단총 따위를 지급하면 교전 자체가 불가능하다. 오히려 MP5보다 더 쉽고 저렴하게 구할 수 있는 국산 K1A 기관단총[2]이 등장했다면 고증을 맞추면서도 한국군이라는 아이덴티티까디 살릴 수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해당 장면에서 지급된 주무기는 9mm 기관단총인 MP5인데 방탄복과 탄띠에 부착된 탄창 파우치와 탄창은 AR용 탄창이라 재장전을 못 한다.... 제작진은 소소하게 봤을지 모르지만 군필인 시청자들은 콧방귀가 터지는 부분이다.
제작진 미필 확정
모든 특수부대 대원들이 작전을 나가는 장면에선 전투복 위에 방탄복을 입고 작전한다. 옛날이라면 모를까, 요즘은 일반적인 전투복과 방탄복 착용시 열피로를 최소화하고 방탄복으로 인해 쓸 수 없는 가슴 주머니를 팔 등에 옮긴 컴뱃 셔츠(ACS)같은 피복이 따로 지급된다.
파병부대를 다룬 다큐같은 걸 찾아보면 알겠지만, 작전시엔 아침 구보할 때 입는 컴뱃 셔츠 같은 형태의 피복 위에다가 각종 장비를 덧붙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드라마처럼 방탄복이 명찰을 어정쩡하게 가리면서 전투복 칼라까지 친절하게 접어 놓는 경우는 드물다. 아직 한국군에 ACS가 도입되지 않았으니 아주 재현성이 떨어지는 건 아니지만, 육군 특전사해군 UDT 등은 이를 직접 구매해 일선에서 많이 입는다.다만 과거 회상신 유시진 고문신에서 유시진이 컴뱃 셔츠를 입고있다.

낙후화된 장비와는 큰 연관성이 없지만 유시진 대위가 9회에서 송혜교가 세수하는 장면을 저격총을 이용해 쳐다보는 장면에 나오는 M40 저격소총은 미해병대 저격수가 사용하는 저격총으로 아쉽지만 한국군 부대에서는 사용하는 부대가 없는 드라마 상 설정 총기이다.

3. 기타

이에 예산 이야기를 하면서 시청자들이 잘 모르는 개인장비 재현성은 비용 대비 효율이 안 좋으니 할 필요가 없다는 옹호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국내에서도 인터넷 쇼핑몰에 들어가 보면 FAST 헬멧 레플리카를 8~9만원대에, JPC 레플리카를 10~15만원대에 구입할 수 있다. 게다가 컴뱃 셔츠류는 좀 규모있는 마크사나 쇼핑몰에서도 판다. 한국군 등장 인물들 중 카메라에 잘 보이는 인원들에게 제식 소총이면서 현지 상황에도 잘 맞는 K-1, K-2 기관단총 에어소프트건만 컬러 파트를 도장해 들려 주었어도 재현이 훨씬 좋았을 것이다.[3] 에어코킹식 에어소프트건은 정당 7-8만원 밖에 하지 않는다. 10정 정도만 준비했어도 드라마 내내 쓸 수 있는데, 결국 예산 문제가 아니라 신경을 안 쓴 것이다. 해외 로케 하고 스타 배우 갖다 쓰는 제작비를 감안해보면 좀 더 그럴듯하게 맞추는 데 생각보다 얼마 안 든다.[4]

하다못해 한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특수부대 대원들의 생김새가 어떤지를 참고했더라면 좋았을 것이다. 대부분 정예 부대로서 육성되는 특수부대 대원들은 문외한이 봐도 그럴싸해보이는 멋진 장비들을 주렁주렁 차고 있다. 십수년전에 만들어진 "신고합니다"가 방송되었을 때도 군대가 장난이냐고 욕을 먹은 적이 있는데, 작중 육군 재현성 면에서는 훨씬 훌륭했었다.

물론, 신고합니다의 경우 육군의 입김이 매우매우 많이 들어간 병영 홍보 드라마였다는 것은 감안할 수 있다. 진짜 사나이와 비슷한 맥락. 실제로 등장한 배우들 중에 당시 현역병으로 복무하던 차인표 등이 출연했다. 그렇지만 이 태양의 후예도 장비 지원보면 육군에서 지원을 빠방하게 해준 티가 난다. 거기다 협찬에 당당히 국방부가 올라와 있다.

국방부가 참여한 김에 감수를 좀 잘해줬으면 하는 아쉬움도 남지만 원래 육군이 재현성 문제로 딱히 관여를 안 하는 편이다.[5] 게다가 기본적으로 반영성은 작가가 전문가를 찾든 자료 조사를 하든 하는 것이고, 애초에 작가가 현실성에 관심이 없으면 국방부 할애비가 협찬을 해줘도 의미가 없다.


[1] 병과장을 병에게도 달아주어 형평성을 보장해주자는 이야기는 틀린 거 없고 육군 내외에서 계속 나오는 얘기지만, 채택되지 않는 한 그냥 반영을 안 한 것일 뿐이다. 미 육군이 전투복의 경우 BDU를 입던 시기까지 장교만 한쪽 칼라에 병과장을 달았고, 사병은 계급장만 달았으므로 병과장을 개정해 부사관도 장교와 동일한 병과장을 다는 한국 육군이 부사관을 더 우대하는 선진적인 요소라는 주장도 있으나, 내막을 보면 마냥 그렇지도 않다. 미 육군은 부사관이 병과 동일한 사병용 병과장을 정복에만 패용해 왔기 때문에 그런 것이고, 이는 간부 문서에 있듯 병과 부사관을 떼어놓는 그다지 바람직하지 못한 국군식 신분 체계와 대조된다. 심지어 한국 육군은 근무복을 지급받을 경우 병이 패용할 수 있었던 사병용 병과장을 없애는 등, 병과 부사관 사이를 자꾸 갈라놓는 불필요한 차별을 일삼고 있다. 도리어 현재는 전투복 뿐 아니라 근무복에도 장교건 사병이건 병과장을 달지 않는 미 육군이 선진적이다.[2] K100탄을 사용할 경우 유효사거리가 400m이다.[3] 발사 장면은 그것만 프롭건을 쓰거나, 효과음을 넣고 총구 화염을 안 보이는 각도로 찍든지 CG로 넣어 때우면 된다. 사전 제작이기 때문이다.[4] 자잘한 드라마 촬영소품들은 제작진이 직접 준비하는 것이 아니라 전문 소품 업체에 외주를 준다. 그리고 이러한 업체들은 대부분 규모가 매우 작다. 밀덕 직원이 넘쳐나는 회사가 아닌이상 밀리터리 장비를 이미 다량으로 마련하고 있을리가 없을 뿐더러, 영세한 업체 사정상 한 세트당 수십만원 정도의 소품을 여러개 구입하는 것만해도 예산에 빠듯할 것이다. 게다가 드라마에 이미 나온 소품 정도를 준비하는데만 해도 몇명 안되는 직원들이 밤샘 작업을 해야 한다. 한마디로 꿈은 높은데 현실은 시궁창. 앞으로 밀리터리 드라마가 꾸준히 나오고 계속 밀덕들이 재현적인 문제로 까다보면 차차 개선이 될 듯.[5] 해군공군이 현실성 부분에 신경을 많이 쓰는 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83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83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