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ax-width:1000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font-size:0.88em; margin: 5px 0px 13px" | |
[[그루트(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그루트 프로필.png]()
그루트
]][[닥터 스트레인지(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닥터 스트레인지 프로필.png]()
닥터 스트레인지
]][[매그니토(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매그니토 프로필.png]()
매그니토
]][[베놈(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베놈 프로필.png]()
베놈
]][[씽(마블 라이벌즈)|![파일:마블 라이벌즈 씽 프로필.png]()
씽
]][[안젤라(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안젤라 프로필.png]()
안젤라
]][[엠마 프로스트(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엠마 프로스트 프로필.png]()
엠마 프로스트
]][[캡틴 아메리카(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캡틴 아메리카 프로필.png]()
캡틴 아메리카
]][[토르(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토르 프로필.png]()
토르
]][[페니 파커(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페니 파커 프로필.png]()
페니 파커
]][[헐크(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헐크 프로필.png]()
헐크
]]| |
[[네이머(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네이머 프로필.png]()
네이머
]][[데어데블(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데어데블 프로필.png]()
데어데블
]][[매직(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매직 프로필.png]()
매직
]][[문 나이트(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문 나이트 프로필.png]()
문 나이트
]][[미스터 판타스틱(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미스터 판타스틱 프로필.png]()
미스터 판타스틱
]][[블랙 위도우(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블랙 위도우 프로필.png]()
블랙 위도우
]][[블랙 팬서(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블랙 팬서 프로필.png]()
블랙 팬서
]][[블레이드(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블레이드 프로필.png]()
블레이드
]][[사일록(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사일록 프로필.png]()
사일록
]][[스칼렛 위치(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스칼렛 위치 프로필.png]()
스칼렛 위치
]][[스쿼럴 걸(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스쿼럴 걸 프로필.png]()
스쿼럴 걸
]][[스타로드(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스타로드 프로필.png]()
스타로드
]][[스톰(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스톰 프로필.png]()
스톰
]][[스파이더맨(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스파이더맨 프로필.png]()
스파이더맨
]][[아이언맨(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아이언맨 프로필.png]()
아이언맨
]][[아이언 피스트(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아이언 피스트 프로필.png]()
아이언 피스트
]][[울버린(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울버린 프로필.png]()
울버린
]][[윈터 솔져(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윈터 솔져 프로필.png]()
윈터 솔져
]][[퍼니셔(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퍼니셔 프로필.png]()
퍼니셔
]][[피닉스(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피닉스 프로필.png]()
피닉스
]][[헬라(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헬라 프로필.png]()
헬라
]][[호크아이(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호크아이 프로필.png]()
호크아이
]][[휴먼 토치(마블 라이벌즈)|![파일:마블 라이벌즈 휴먼 토치 프로필.png]()
휴먼 토치
]]| |
[[갬빗(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갬빗 프로필.png]()
갬빗
]][[땅상어 제프(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땅상어 제프 프로필.png]()
땅상어 제프
]][[로켓 라쿤(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로켓 라쿤 프로필.png]()
로켓 라쿤
]][[로키(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로키 프로필.png]()
로키
]][[루나 스노우(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루나 스노우 프로필.png]()
루나 스노우
]][[맨티스(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맨티스 프로필.png]()
맨티스
]][[아담 워록(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아담 워록 프로필.png]()
아담 워록
]][[울트론(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울트론 프로필.png]()
울트론
]][[인비저블 우먼(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인비저블 우먼 프로필.png]()
인비저블 우먼
]][[클록 앤 대거(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클록 앤 대거 프로필.png]()
클록 앤 대거
]]}}}
||<|2><tablewidth=100%><tablealign=center><height=10px><#343346>
}}}}}}자세한 내용은 공식 사이트 참고
||| 마블 라이벌즈 최초의 33 영웅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최초의 33 영웅 | → | 미스터 판타스틱, 인비저블 우먼 | ||
| <nopad> | ||||
탠디 보언과 타이론 존슨은 동전의 양면처럼 한 시도 떨어지지 않는다. 빛과 어둠이 교차하는 클록 앤 대거는 전장에 치유와 파멸을 불러올 것이다. | ||||
| 클록 앤 대거 | ||||
| <colbgcolor=#343346><colcolor=#fff> 본명 | Tyrone Johnson & Tandy Bowen 타이론 존슨 & 탠디 보언 | |||
| 성우 | 하킴 이사과이어[1] & 잰시 후인[2] | |||
| 난이도 | ||||
1. 개요2. 스토리3. 능력 정보
3.1. 클록3.2. 대거3.3. Q - 빛과 그림자(Eternal Bond)3.4. 협공 스킬
4. 평가5. 역사6. 패치 노트7. 전시8. 기타3.4.1. 패시브 - 서로를 비추는 빛(From Shadow to Light)
1. 개요
| <nopad> |
| 소개 영상 |
TPS 게임 마블 라이벌즈의 등장 히어로. 클록 & 대거의 주인공 콤비인 타이론 존슨과 탠디 보언이다.
2. 스토리
| 텐디 보언과 타이론 존슨은 우연히 실험용 약물을 접한 후 특별한 능력을 얻게 된 가출 청소년이다. 텐디는 치유와 파멸을 불러오는 라이트 대거를 던지고, 타이론은 어둠의 망토를 통해 자신과 팀원들을 어디든 전송할 수 있다. 손에 빛의 단검을 등고 어깨에 검은 로브를 두른 두 사람은 함께 클록 앤 대거로 변신하여 뉴욕의 가장 어두운 구석을 밝힌다. 클록 앤 대거가 어둠의 차원을 여행하는 동안, 타임 스트림 카오스가 뉴욕을 휩쓸었다. 현실로 돌아와 보니 뉴욕은 드라큘라와 그의 하수인들이 점령한 도시가 되어 있었다. 이들은 곧 히어로 레지스탕스에 합류하여 이터널 나이트 제국 무너뜨리기 위해 움직이게 되었다. |
- [ 잠깐의 이별 ]
- ||<(><table 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fff,#1c1d1f> 내용||
- [ 🔒 필름 과다 노출 ]
- ||<(><table 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fff,#1c1d1f> 미구현||
- [ 🔒 흑백 영화 ]
- ||<(><table 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fff,#1c1d1f> 미구현||
3. 능력 정보
3.1. 클록
| 클록 기본 능력 정보 | |
| <colcolor=#fff> HP | <colbgcolor=#ffffff,#1c1d1f><colcolor=#000,#fff>250 |
| 이동 속도 | 6m/s |
근접 공격 시 망토를 번갈아서 펄럭인다. 특이사항으로는 다른 히어로들보다 공격 속도가 빠르다.
3.1.1. 일반 공격
3.1.1.1. 좌클릭 - 어둠의 망토(Darkforce Cloak)
| <colcolor=#000,#fff>피해: 초당 80 사정 거리: 20m 탄약: ∞ 치명타 판정: 없음 | |
광선 공격이다. 20 m 내 단일 대상에게 초당 75의 피해를 입힌다. 판정이 후한 편이고, 공격 중 에임이 안 맞을 경우 바로 광선이 끊기는지라 에임이 안 맞고 있다는 걸 파악하기 쉽다.
3.1.2. 스킬
3.1.2.1. 우클릭 - 어둠의 포탈(Dark Teleportation)
| | |
| <colcolor=#000,#fff>지속 시간: 2초 범위: 반경 10m 쿨타임: 12초 | |
시전 시간 이후에 공허 상태로 변해 이속과 은신 효과를 얻고, 범위 내에 있는 아군 역시 같은 효과를 부여한다. 클록이 듀오 또는 팀과 함께 움직일 때 성능이 최대로 발휘되게 설계된 스킬로 은신 상태의 판정은 공격을 받지 않으며, 대상 지정이 안 되는 무적 판정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공격을 막을 수 있다.
적 히어로의 궁극기를 막는 등 활용할 여지는 많다. 대신 대거 상태에서 곧바로 위장을 사용하려면 변신 동안 약간의 선딜레이가 발생하기에 전황을 예측해서 미리 클록으로 변신해두는 센스가 필수다. 또, 점프 키를 눌러 공중으로 떠오를 수 있다. 그렇기에 대거가 물렸을 때 시프트-우클릭으로 탈출하는 용도로도 쓰인다.
허나 클록이 아군을 은신시키는 중에 아군이 공격 수단이나 치유 수단을 쓰면 은신 상태가 빨리 풀리는 점은 주의해야 한다.
3.1.2.2. 좌 Shift - 빛의 포옹(Light's Embrace)
| | 대거로 변경합니다. |
| <colcolor=#000,#fff>쿨타임: 없음 | |
기본 설정을 바꾸지 않는 한 Shift나 마우스 휠을 누르면 대거로 변신한다.
3.1.2.3. E - 공포의 망토(Terror Cape)
| | 어둠의 장막을 펼쳐 접촉한 적에게 피해를 입히고 실명 효과를 부여하고 시야 범위를 축소시킵니다. 또한, 적을 약화 상태에 빠뜨립니다. |
| <colcolor=#000,#fff>피해: 55 실명 시간: 1.5초 범위: 가시 거리 10m 약화 상태: 28% 약화 지속 시간: 3초 범위: 폭 6m, 높이 4.5m 장막 속도: 20m/s 사정 거리: 25m 쿨타임: 12초 | |
클록의 주력기. 비관통 논타겟팅 스킬로 시야 제한, 군중 제어기, 포킹 등 여러 가지로 활용할 수 있다.
적 영웅이 맞으면 시야 범위가 좁아져서 대부분의 스킬을 사용하기 힘들어지고, 애초에 보이질 않으니 공격의 적중률이 낮아진다. 맞추는 순간 적은 1.5초간은 이동을 제외하곤 무력화된다고 봐도 된다.
28% 피해 증가 효과도 있어 자신을 물러 온 적 상대로 던져 역관광을 선사하거나 포커싱 할 대상에게 묻혀 폭딜을 유도할 수 있다.
3.2. 대거
| 대거 기본 능력 정보 | |
| <colcolor=#fff> HP | <colbgcolor=#ffffff,#1c1d1f><colcolor=#000,#fff>250 |
| 이동 속도 | 6m/s |
근접 공격 시 서머솔트 킥을 날린다.
3.2.1. 일반 공격
3.2.1.1. 좌클릭 - 라이트 대거(Lightforce Dagger)
| <colcolor=#000,#fff>유형: 비행 물체 피해: 발당 18 치유: 10(대상), 18(범위) 범위: 반경 8m 사격 속도: 초당 2.27회 탄약: 12 치명타 판정: 없음 비행 물체는 유도 효과를 가지고 있어, 조준선에 가장 가까운 대상에 발사되고 충돌 시 영역을 생성합니다. 이 영역은 치유 효과를 제공합니다. | |
부딪힌 대상에 치유 영역을 생성하며 본인도 치유 영역 안에 있으면 회복할수 있다. 단발적인 회복량은 28 정도이지만, 유도 성능과 빠른 사격 속도로 커버한다.
3.2.2. 스킬
3.2.2.1. 우클릭 - 대거 스톰(Dagger Storm)
| | |
| <colcolor=#000,#fff>치유: 초당 55 지속 시간: 6초 범위: 5m 피해: 50 쿨타임:12초 | |
지속적인 치유를 시켜주는 영역을 생성한다.
한 영역을 굳건히 붙들고 싸워야 할 때 그 영역에 던져 주는 식으로 사용하며, 대거 자신이나 아군이 물렸을 때 발 밑에 깔고 버틸 수도 있다.
3.2.2.2. 좌 Shift - 그림자의 포옹(Shadow's Embrace)
| | 클록으로 변경합니다. |
| <colcolor=#000,#fff>쿨타임: 없음 | |
Shift나 기본 설정을 바꾸지 않은한 마우스 휠을 누르면 클록으로 변신한다.
3.2.2.3. E - 생명의 빛(Veil of Lightforce)
| | 빛의 장막을 펼쳐 접촉한 팀원을 치료하고 치료 증가 상태를 부여합니다. |
| <colcolor=#000,#fff>치료: 45 치료 버프: 15% 지속 시간: 4초 범위: 폭 6m, 높이 4.5m 장막 속도: 20m/s 사정 거리: 25m 쿨타임: 12초 | |
치료와 치료 증가 상태로 만들어 대거의 힐량을 좀 더 증가시켜준다. 대거의 단일 대상 HPS는 약간 아쉬운 면모가 있기에 꽤나 도움이 되는 스킬.
특정 아군에게 화력이 집중될 때 E를 미리 시전하고 평타나 우클릭으로 순간 폭힐을 주는 형태.
3.3. Q - 빛과 그림자(Eternal Bond)
| | 전방으로 4번 돌진하여 경로상의 캐릭터에게 치료 또는 피해를 부여합니다. |
| <colcolor=#000,#fff>피해: 초당 30 치료: 초당 250 범위: 폭 4m, 길이 15m 지속 시간: 8초[3] 에너지 비용: 4500 | |
||<table 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fff,#1c1d1f>"Us against the world"
(빛과 그림자가 교차하며 종횡무진하지!)
"Co-op time!"
(연합해서 움직여!)
(빛과 그림자가 교차하며 종횡무진하지!)
― 적군 또는 본인 사용
"Co-op time!"
(연합해서 움직여!)
― 아군 사용
||4회 돌진하여 경로상에 아군에게는 치료를, 적에게는 도트 딜을 주는 장판을 남긴다.
통상적인 세이브형 궁극기와 다르게 특정 거점에서 비벼야 할 때 시전하여 아군에게 유리한 지역을 만드는 용도로 사용된다.
3.4. 협공 스킬
#!if 리스트 == null
{{{#!html 영웅 간 협공하게 된 배경}}}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 == null
[[마블 라이벌즈/영웅]]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마블 라이벌즈/영웅#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마블 라이벌즈/영웅#|]]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2 == null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3 == null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4 == null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5 == null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6 == null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7 == null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8 == null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9 == null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0 == null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을}}}}}}#!if 리스트 != null
한시적 넘겨주기로 연결되는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영웅 간 협공하게 된 배경: }}}{{{#!if 같은문서1 == null
[[마블 라이벌즈/영웅]]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마블 라이벌즈/영웅#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마블 라이벌즈/영웅#|]]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if 같은문서2 == null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if 같은문서3 == null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if 같은문서4 == null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if 같은문서5 == null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if 같은문서6 == null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if 같은문서7 == null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if 같은문서8 == null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if 같은문서9 == null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if 같은문서10 == null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3.4.1. 패시브 - 서로를 비추는 빛(From Shadow to Light)
| | 클록 앤 대거는 문 나이트와 블레이드에게 빛과 어둠의 에너지를 주입하여 문 나이트와 블레이드가 투명 상태가 되고 시간 경과에 따른 치유를 얻을 수 있는 빛과 어둠의 영역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블레이드는 지정된 적을 향해 스위프트 스트라이크를 발동할 수 있습니다. |
| <colcolor=#000,#fff>협공 보너스: +15% 치유 지원 영웅: | |
팀에 클록 앤 대거가 있으면 문 나이트와 블레이드가 은신 스킬을 사용할 수 있다.
본인은 15%의 치유 증가를 부여 받아서 대거의 부족한 단일 힐량을 보충할수 있고 문나이트와 블레이드도 은신 장막에 치유 효과가 있어서 나쁘지 않은 팀업으로 평가된다.
4. 평가
클록 앤 대거는 어둠의 포탈로 인한 변수 창출력과 공포의 망토로 적들을 약화시키는 클록, 유도 힐과 다양한 힐 스킬로 아군을 치유하는 대거가 결합된 유틸리티 힐러로 평가받는다.기본적으로 기본 공격에 기반한 힐링이라는 면에서 다른 힐러들과 유사하지만, 힐링, 시야 감소, 광역 은신 및 이속 버프, 궁극기의 광역기 등 각종 아군을 서포트할 수 있는 요소를 여럿 갖추고 있어 서포터라는 역할에도 충실한 히어로다.
4.1. 장점
- 폭넓은 스킬 구성
한 영웅 안에 두 영웅이 들어가 있고 클록 앤 대거의 본질은 결국 서포터라서 서포팅에 특화된 스킬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공포의 망토의 피해 증가 및 시야 감소, 어둠의 포탈의 광역 은신과 회피 및 이속 버프, 대거의 치료 증가 버프와 지속 치료. 더불어 장판을 깔면서 이동하며 피해+힐을 하는 궁극기는 서포팅의 정수. 덕분에 클록 앤 대거는 일반적인 딜링형 서포터와 다르게 아군을 서포트하는 능력 역시 뛰어나다.
- 간편한 근거리 대응 능력(클록)
클록의 일반 공격은 조준 보정을 갖고 있다. 덕분에 적군의 무빙에 애먹을 필요가 없으며, 에임의 중요성도 낮은 편이다. 공포의 망토는 광역 방해기로 견제와 지원에 유용하다. 거기다 그림자 망토로 적의 공격이나 궁극기를 회피가 가능해 팀을 보호하는 역할도 용이하다.
- 라이트 대거의 긴 사정거리와 유도 기능(대거)
라이트 대거는 힐량도 준수하고 사거리도 긴데다 유도 기능이 있어서 멀리 있거나 공중에 있는 아군도 쉽게 치유할 수 있다. 루나 스노우, 로키같은 힐러들이 비교적 높은 조준 실력을 요구한다는 점을 생각하면 꽤나 큰 메리트. 탄약도 12발로 넉넉하기 때문에 치유 공백도 짧고 안정적이다. 여기에 대거 스톰이라는 보조 치유 수단도 갖추었으며, 생명의 빛의 치료 증가로 치유 능력을 극대화시킬 수도 있다.
- 빛과 그림자의 지역 장악 능력
빛과 그림자는 힐 + 피해가 섞인 강력한 장판기 덕에 아군의 유지력을 강화시키고 적진을 밀어내는데 특화되어 있다. 지속시간도 길고 적이 장판을 파괴할 수도 없어서 거점과 화물을 두고 일어나는 난전에서 최고의 성능을 보여준다.
또한, 평타와 스킬들 대부분이 전부 광역기다 보니 게이지를 채우는 데도 매우 수월하다. 체력이 까인 아군 여럿 상대로 치유 스킬을 날려대다 보면 빠르게 궁극기를 다시 채울 수 있다.
4.2. 단점
- 빈약한 단일 치유량
치유 스킬이 전부 광역기인 메리트를 대가로, 한 대상 상대로 단일 치유량은 미묘한 편이다. 라이트 대거(좌클릭)의 단일 대상 HPS는 고작 63.56으로 로켓 라쿤의 라이트 볼 하나보다도 낮은 수준이라 좌클릭만으로는 공격받는 아군을 살리기가 힘들다. 그렇기에 클록 앤 대거는 나머지 스킬을 적재적소에 조합하여 치유량을 끌어올리는 센스가 요구된다.
4.3. 상성
- 클록 앤 대거가 상대하기 어려운 히어로
- 순식간에 클록 앤 대거를 처치할 수 있는 히어로: 어둠의 포탈로 회피할 수 있긴 하지만 보통 궁극기 등으로 클록 앤 대거를 노릴 때에는 일반적으로는 클록 앤 대거가 궁극기를 사용할 때 노리기 때문에 회피하기가 까다롭다.
- 클록 앤 대거가 상대하기 쉬운 히어로
4.4. 궁합
5. 역사
- S1
시즌 1 밸런스 패치로 궁극기의 돌진 회수가 하나 증가하며 이를 겹쳤을 시 무적 수준의 폭힐을 뽑아낼 수 있는데, 특히 궁극기가 지원가 영웅 중에서 가장 빨리 준비된다는 특징 덕에 0시즌 1티어 지원가였던 루나 스노우를 재치며 밴까지 고려할 정도로 고평가받지만 매그니토가 궁극기를 사용하여 궁극기를 사용 중인 클록 앤 대거를 한 번에 처치할 수 있어서 함께 주가가 상승한다. 1.5 시즌에서 강력했던 부분을 조정하여 이전보다 약해졌지만 장판을 남길 때 정지해있던 시간이 많아 카운터 당하는 일이 많았던 부분을 조정하여 궁극기 사용시 쉽게 죽는 일이 줄었다. 전체적으로는 너프라는 평가를 받았다.
- S2
캡틴 아메리카와 아이언 피스트가 크게 버프 받고 다이브 메타가 떠오르면서 생존력이 크게 감소한다. 페어힐러와 서로 떨어져 있으면 클록 앤 대거가 케어해주기가 어렵고 스킬 쿨타임 영향을 크게 받아 계속 붙어서 집요하게 공격하는 근접 영웅에게 특히 취약했다. 2.5 시즌은 근접 영웅들이 대거 너프 당하고 여러 비행 영웅의 상향과 울트론의 출시로 날파리 메타가 떠오르게 된다. 특히 강력했던 스톰과 땅상어 제프의 궁극기 연계는 힐러의 궁극기를 무시하고 적을 광역으로 쓸어버리는 것이 가능해서 클록 앤 대거도 휩쓸리는 일이 많았으며 울트론의 공격에 자주 표적이 되곤 했다.
- S3
별 다른 변경점은 없지만 여전히 고평가 받는 힐러 자리를 고수 중이다. 다만 루나 스노우와 로키 조합이 가장 안정적인 힐러 조합으로 평가 받아 탑티어 픽은 아니었으나, 생존력이 떨어지는 루나와 비교해서 안정적인 면이 있었고 루나와 로키 둘 다 숙련도가 필요한 영웅들이어서 랭크에 따라서는 클록 앤 대거가 훨씬 자주 보였다.
6. 패치 노트
- 2025년 1월 10일
- 대거 스톰(대거) (
)
- 버프: 재사용 대기 시간이 15초에서 12초로 감소
- 빛과 그림자 (Q)
- 버프: 돌진 횟수가 3번에서 4번으로 증가
- 신규
- 서로를 비추는 빛 (협공 스킬): 협공 보너스
- +15% 치유
- 2025년 2월 21일
- 공포의 망토(클록) (E)
- 버프: 약화 상태 효과가 20%에서 28%로 증가
- 빛과 그림자 (Q)
- 버프: 각 장판의 치유량이 초당 220에서 초당 250으로 증가
- 버프: 각 돌진당 정지 시간이 1초에서 0.67초로 감소
- 너프: 각 장판의 치유 효과가 중첩되지 않게 변경
- 너프: 에너지 비용이 3400에서 4000으로 증가
- 너프: 지속 시간이 10초에서 8초로 감소
- 조정: 빛과 그림자가 활성화하는 동안 카메라 제어가 잠금 해제 되도록 변경
- 2025년 3월 14일
- 라이트 대거(대거) (
)
- 버프: 치유량이 10에서 16으로 증가
- 너프: 범위 치유량이 18에서 16으로 감소
- 2025년 4월 11일
- 빛과 그림자 (Q)
- 조정: 각 장판이 마지막 장판 지속시간이 끝날 때 함께 사라짐
- 2025년 4월 30일
- 어둠의 망토(클록) (
)
- 버프: 피해량이 초당 75에서 80으로 증가
- 라이트 대거(대거) (
)
- 버프: 피해량이 15에서 18로 증가
- 2025년 8월 8일
- 빛과 그림자 (Q)
- 너프: 에너지 비용이 4000에서 4300으로 증가
- 서로를 비추는 빛 (협공 스킬)
- 조정: 추가로 블레이드를 강화
- 2025년 10월 10일
- 빛과 그림자 (Q)
- 너프: 에너지 비용이 4300에서 4500으로 증가
7. 전시
7.1. 코스튬
7.1.1. 기본
7.1.1.1. 클록 앤 대거
| <nopad> | |
| 아이콘 | 클록 앤 대거 |
클록 앤 대거의 기본 스킨.
클록은 원작 코믹스와 거의 차이가 없지만 대거는 미디어 믹스를 통틀어 최초로 바디슈트 위에 크롭트 재킷을 걸친 모습이 되었다. 원작 코믹스를 비롯한 기존 매체에서 대거는 입고 있는 바디슈트의 상체에 특유의 상징적이되 가슴골이 드러나는 탓에 꽤나 선정적인 단검 모양의 컷아웃(가슴트임) 혹은 그러한 형태의 문양을 덧새긴 복식이 줄곧 유지된 바 있다.
7.1.2. 희귀
7.1.2.1. 라임과 레몬
| <nopad> | 파일:클록 앤 대거 라임과 레몬.webp |
| 아이콘 | 클록 앤 대거 |
| "일본 여행에서 돌아온 탠디와 타이론은 각각 레몬과 라임에 반했지만, 서로 다른 취향 때문에 다투게 되었어. 하지만 그들의 유대감은 겨우 취향 따위로는 흔들리지 않아." | |
| <colcolor=#000,#fff><마블 라이벌즈> S0에서 첫 등장 | |
레몬과 라임 풍의 스킨.
7.1.3. 특급
7.1.3.1. 빛과 어둠
| <nopad> | |
| 아이콘 | 클록 앤 대거 |
| "그거 알아? 위대한 자연계에는 항상 균형이 존재해. 창조와 파괴, 질서와 혼돈, 생장과 부패. 이것들을 서로 분리할 수 없어. 절대로." | |
| <colcolor=#000,#fff><마블 라이벌즈> S0에서 첫 등장 | |
7.1.3.2. 황혼의 듀오
| <nopad> | |
| 아이콘 | 클록 앤 대거 |
| "찬란한 햇살이 고풍스러운 석조를 물들이는 시칠리아의 거리, 코끝을 자극하는 감귤의 달콤한 향기가 보이지 않는 피의 냄새를 감추고 있다. 이 땅은 가문의 명예가 깊게 뿌리내린 한편, 그 이면에는 은밀한 거래가 숨어있다. 이곳에는 빛과 어둠이 서로 의지하며 한데 어우러져, 수수께끼와 전설이 가득한 땅을 지켜가고 있다." | |
| <colcolor=#000,#fff><마블 라이벌즈> S1에서 첫 등장 | |
7.1.4. 전설
7.1.4.1. 댄스 파트너
| 헬파이어 갈라 | ||
| 블랙 팬서「다미사-사르키」 클록 앤 대거「댄스 파트너」 토르「위풍당당한 의복」 블랙 위도우「붉은 런웨이 베일」 울버린「안대」 캡틴 아메리카「성조기 스타일」 헐크「조 픽싯」 | → | 미정 |
| <nopad> | |
| 아이콘 | 클록 앤 대거 |
| "타이, 이거 진짜야? 우리가 헬파이어 갈라에 초대받다니! 우리가 빛을 발할 때가 온 거라구! 그곳에서 우린 가장 잊을 수 없는 한 쌍이 될 거야! 오늘 밤 나와 춤출 거지?" | |
| <colcolor=#000,#fff><마블 라이벌즈> S2에서 첫 등장 | |
7.1.4.2. 폴라리티 본드
| 심연의 불꽃 | ||
| 블레이드「폴라리티 엣지」 윈터 솔져「폴라리티 솔저」 클록 앤 대거「폴라리티 본드」 베놈「검은 왕의 귀환」 | → | 미정 |
| <nopad> | |
| 아이콘 | 클록 앤 대거 |
| "살아있는 심연의 검은 이카르 위에서 두 젊은 영웅이 우아하게 춤을 춘다. 각 발걸음은 피닉스 포스와 네크로 파워의 힘이 깃들어 있다. 널의 악의적인 심비오트들은 이 새로운 힘에 경외감을 느끼며 더 이상 한 발자국도 나아가지 못한다." | |
| <colcolor=#000,#fff><마블 라이벌즈> S3에서 첫 등장 | |
7.2. MVP
7.2.1. 기본
| <nopad> |
클록 앤 대거의 기본 MVP.
7.2.2. 특급
7.2.2.1. 흥망성쇠
| <nopad> |
| <colcolor=#000,#fff>코스튬 「빛과 어둠」 전용 |
7.2.2.2. 마피아 어택
| <nopad> |
| <colcolor=#000,#fff>코스튬 「황혼의 듀오」 전용 |
7.2.3. 전설
7.2.3.1. 이중성의 이중주
| <nopad> | |
| "은빛 달 아래서 반짝이는 크라코아의 바다, 어둠과 빛이 어우러지며 하나 되는 춤을 춥니다. 한 바퀴 돌 때마다 영원한 존재의 멜로디를 속삭입니다." | |
| <colcolor=#000,#fff>코스튬 「댄스 파트너」 전용 | |
7.2.3.2. 그림자 불꽃 듀엣
| <nopad>파일:클록 앤 대거 그림자 불꽃 듀엣.gif | |
| "잘 봐라! 이것이 심연 위에서 펼치는 우리의 춤이다!" | |
| <colcolor=#000,#fff>코스튬 「폴라리티 본드」 전용 | |
8. 기타
- 서명은 클록은 그래피티 느낌의 글씨체, 대거는 농도가 적은 붓글씨이다.
- 대거와 인비저블 우먼의 외형이 너무 비슷하게 생겨서 상대로 만날 때마다 자꾸 헷갈린다는 불만이 속출하고 있다. 둘 다 외형상의 차이는 확실히 존재하지만, 문제는 정신없는 난전과 먼 거리에서는 식별이 어렵다보니 가까이 만나봐야 겨우 알 수 있다는 점. 여기에 둘 다 힐러라 역할까지 겹치는 탓도 크다.
[1] 클록[2] 대거[3] 돌진 간격은 0.67초[4] 가장 유명한 카운터. 클록 앤 대거가 궁극기를 사용 중 돌진 후 잠깐 멈추는 그 순간이 무방비해지기 때문에 그냥 맞궁으로 응수하면 클록 앤 대거는 쉽게 죽는다.[5] 이쪽은 궁극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클록 앤 대거를 헤드샷 한 방에 잡아낼 수 있다. 가까운 적을 조준하여 패시브를 충전하고 클록 앤 대거를 헤드샷으로 쏴서 맞춰야 하기 때문에 어느정도 숙련도가 필요한 테크닉이긴 하지만 이게 가능한 정도가 된다면 클록 앤 대거는 궁극기를 통해 쉽사리 전진하지 못하게 된다. 아니면 그냥 같이 궁극기를 켜도 호크아이의 패시브 충전이 상시 100이 되어서 헤드샷만 성공하면 쉽게 잡는다.[6] 퍼니셔와 매우 가깝게 접근하면 샷건을 헤드샷으로 맞고 한 방에 죽는 경우가 있고 궁극기의 화력이 워낙 강력한 탓에 점사하면 힐량을 뚫고 잡아내는 경우도 있다.[7] 빈틈이 큰 편이긴 하나, 아이언맨 역시 궁극기를 사용 중인 상태인, 빈틈이 큰 클록 앤 대거를 노리기 때문에 아군이 커버해주지 않으면 궁극기를 쓰기가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