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30 13:36:16

크로스썬더

[include(틀:포켓몬 기술, 전기=, 물리=,
파일=Fusion_Bolt_VIII.png, 파일2=Fusion_Bolt_VIII_2.png, 파일3=크로스썬더_TVA.gif,
한칭=크로스썬더, 일칭=クロスサンダー, 영칭=Fusion Bolt,
위력=100, 명중=100, PP=5,
효과=거대한 천둥을 내리친다. 거대한 불꽃의 영향을 받아 기술의 위력이 올라간다.,
성질=비접촉)]

1. 개요2. 성능3.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4. 여담

1. 개요

포켓몬스터기술뇌격과 함께 제크로무의 전용기 중 하나다. 큐레무도 블랙큐레무로 합체된 상태일 때에 한해 배우며, 겁나는얼굴과의 늘어난/소모된 PP도 공유한다.

2. 성능

크로스플레임발동된 직후에 사용하면 위력이 2배[1]로 오르며, 연출이 보다 박력있게 변한다.[2] 보통은 이런 상황이 나오는 게 거의 불가능에 가깝지만, 화이트에서 N과 최종 결전을 벌일 때 N의 레시라무는 상대가 제크로무라면 첫 턴에 우선적으로 크로스플레임을 사용하니, 이쪽도 크로스썬더로 공격하면 쉽게 감상할 수 있다.[3]

물론 레시라무와 제크로무를 둘 다 가지고 있을 때 더블 배틀에 내서 동시에 두 크로스 기술을 사용하면 후공한 쪽이 업그레이드된 기술을 상대에게 꽂을 수 있다. 다만, 후공한 기술만 강화되기에 스피드를 일치시키지 않는 한 한 쪽 강화기밖에 볼 수 없고, 이걸 실전에서 구현시키려다 잘못하면 하나지방의 영웅들이 지진 한 방에 쓰러지는 허무한 광경을 보게 될 것이다. 대신 레시라무와 제크로무 중 하나를 큐레무와 합체시켜서 재현시킨다면 어느 정도 보완이 가능하다.

원래는 제크로무의 전용기지만 극장판 배포용 비크티니가 특별히 배우는데, 불꽃 타입 중 유일하게 위력 100 이상의 전기 물리기를 배우고 있는데다 이 비크티니는 V제너레이트도 익히고 있으니 물리형으로 많이 가는 걸 고려했을 때 매우 유용하다.

블랙2/화이트2부터 블랙큐레무도 이 기술을 배울 수 있다. 이쪽은 얼음 타입 포켓몬이 전기 기술을 쓰는 괴이한 포켓몬[4]이 되었다. 자속 보정은 안 받지만, 제크로무보다 공격이 20 더 높다 보니 크게 성능이 떨어지지 않는다. 무엇보다 서브 웨폰이 그 정도 성능이라는 것도 크고.

제크로무의 경우, 뇌격이 아닌 이 기술로도 가이오가를 확정 1방에 잡을 수 있으므로 뇌격과 크로스썬더 중 무엇을 선택할지는 취향 문제다. 물리기면서도 비접촉 판정이라는 것도 장점이다. 다만, 제크로무가 나오는 초전설 환경에서는 워낙 튼튼한 포켓몬이 많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명중률이 85로 조금 불안정해도 위력이 130으로 더 강력하고 20%의 마비 확률이 있는 뇌격이 선호된다.

블랙큐레무 VS 가이오가의 경우, 양쪽 다 레벨 100이고 6V에 스피드 보정 성격이고, 노력치를 공격/특공과 스피드에만 올인했을 시 그냥 때리면 최고난수(1.00; 1/16 확률로 나온다.)로 간신히 1방(341)이 나온다. 물론 생명의구슬을 장착하면 그냥 1방에 퇴갤. 반면, 저쪽은 최고위력 해수스파우팅을 날려도 타입 때문에 반감이 되어 HP를 반도 못 깎아 확정으로 끔살당한다.

게임이나 애니에서의 연출상, 뇌격처럼 전신에 전기를 구형으로 둘러 돌진해 부딪히는 컨셉의 기술이지만 독특하게도 접촉 판정이 없다. 다만 사용 시 제크로무의 모델링이 일시적으로 사라졌다가 공격 후 되돌아오는 기술 연출이나 위의 움짤에서 보이는 애니메이션의 연출로 보아 돌진기가 아니라 스스로 번개가 되어 내리치는 기술이라는 의견도 있다.

3.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에서는 다수 공격기 중에서도 공격 범위가 독특한데, 사용 시 제크로무가 보고 있는 방향을 기준으로 3×3칸의 구역을 공격한다. 이와 비슷한 범위를 가진 기술로는 크로스플레임과 화룡점정이 있다.

포켓몬 고에서는 레이드 기준 1차징 140 위력의 스킬로 등장한다. 제크로무의 성능을 살짝 올려주지만 1차징의 답답함 때문에 와일드볼트와 취향에 따라 갈린다. PVP에서는 위력 90, 에너지 45로 와일드볼트와 비교하면 동일한 에너지에 위력이 10 낮다. 대신 방어 하락 페널티가 없으므로 안정적인 운용을 위한다면 크로스썬더, 확실한 한방을 원한다면 와일드볼트로 취향껏 선택하면 된다.

4. 여담

6세대에 들어서 환골탈태한 4세대 전설의 포켓몬들의 전용기들에 비해, 이 기술과 크로스플레임은 이펙트가 그다지 변하지 않은 편이다.[5]

포켓우드자이언트 여사원 3편의 2컷/4컷에서 거대화한 여친/언니에게 이 기술을 사용할 경우 추가 장면이 있다.


[1] 참고로 강화 크로스썬더를 능가하는 위력을 지닌 전기 타입 기술은 Z기술인 필살피카슛뿐이다. 이조차 제크로무의 공격 종족치(150)가 피카츄의 공격 종족치(55)보다 3배 가까이 높기에 피카츄가 성격을 고집으로 보정하고 노력치를 공격 쪽에 몰빵해도 무보정 제크로무의 강화 크로스썬더보다 약하다.[2] 작은 번개 5개가 추가되며 번개가 더 오래 유지된다.[3] 다만 레시라무의 타입 상성 때문에 대미지가 반감되어 실질적으로는 대미지 1배나 다름없다. 그냥 상징적인 연출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좋다.[4] 크로스플레임과 화이트큐레무의 관계처럼 아예 속성이 상극 수준은 아니지만, 그래도 전기 타입 물리 기술을 배울 수 있는 얼음 타입 포켓몬은 드문 편에 속한다. 테라스탈은 당연히 논외.[5] 서술했던 크로스플레임/썬더 이후의 향상된 이펙트는 볼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