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전적 의미
Command Center. 사령부를 뜻하는 영어 단어이다. 사령관을 커맨더(Commander)라 부르는 것도 같은 맥락.2. 게임 용어
2.1.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테란의 건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령부(스타크래프트 시리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령부(스타크래프트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 삼국지 천명 1, 2에 나오는 본진 건물
타이베리안 돈을 베낀 삼국지 천명에서는 MCV랑 똑같은 MCC가 변신하여 되는 컨스트럭션 야드와 같은 건물이며, 이게 없으면 건물을 못 짓는다.삼국지 천명 2에서는 유비군만 MCC와 커맨드 센터를 가진다. 건물을 짓는 기능은 전작과 동일하다.
2.3. 제너럴의 본진 건물
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 기본 건물 | |||
MCV/건설소 | 발전소 | 광물 제련소 | 레이더 |
막사 | 군수공장 | 조선소 | 공군 기지 |
수리소 | 전투 연구소 | 슈퍼무기 | 고급 지원 |
(아이콘은 레드얼럿 2 소련군/연합군) |
"Command Center! we lost Command Center!" 홍위병, 제로아워 중국 캠페인2 中
각 진영의 메인 건물이다. 게임을 시작하면 커맨드 센터와 건물 건설 유닛을 1기 준다. '커맨드 센터'라는 이름은 미국, 중국, GLA가 모두 공유하고 있다. 건물 건설 유닛을 뽑고 제너럴 스킬을 사용할 수 있다. 미국 커맨드 센터는 실제 미국의 정보력을 반영해서 기본적으로 레이더를 장착하고 있다. 중국은 500원으로 옵션 선택. GLA는 군수공장에서 레이더 밴을 생산하는 식이라 커맨드 센터에는 레이더 기능이 없다.
타 게임 유저로서는 희한하게 보이겠지만 메인 건물의 위엄이 무색하게 보통 게임 시작하자마자 팔아서 초반 자금으로 쓴다.(...) 당장 커맨드 센터를 팔아서 얻는 1000원이 아쉬울 정도로 본 게임은 초반 진행이 스피디한 게임이고, 더군다나 건물은 불도저가 있으면 지을 수 있고 자원 채취 시설/유닛은 따로 있으므로 커맨드 센터를 팔아도 서플라이만 있다면 건물 짓고 자원을 채취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대신 불도저를 당분간 더 생산할 수 없으니 잘 지켜야 한다.[1] 특히 GLA는 서플라이에서도 자원 채취/건물 건설을 동시에 담당하는 일꾼을 뽑을 수 있기 때문에 자주 커맨드 센터를 팔아치운다. 아니면 500에 가짜 건물을 지을 수도 있다. 탱장 역시 뒤가 없어서 레이더 없는 불편함을 감수하고 파는 일이 많다.
본래 C&C에서는 건설소가 건설을, 광물 제련소가 자원 채취를 담당하는데 제너럴의 커맨드 센터는 건물 건설의 기능이 없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잉여가 됐다고 할 수 있다.
[1] 실제로 초반 불도저 테러도 본작에서 종종 이루어지는 전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