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의 위성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5ea152><colcolor=#fff> 위성 | 달 |
준위성 | 2004 GU9 · 2006 FV35 · 2013 LX28 · 2014 OL339 · 카모오알레바 · 2023 FW13 | |
임시 위성 | 1991 VG✝ · 2006 RH120✝ · 2020 CD3✝ · 2024 PT5 | |
✝: 지구의 힐 권(Hill sphere)을 벗어난 임시 위성 |
MPC 지정 번호 순 소행성(Minor Planet) 찾기 | ||||
469218 2016 HE2 | → | 469219 카모오알레바 | → | 469220 2016 HZ5 |
469219 Kamo‘oalewa (2016 HO3)[1] | |
구분 | 준위성 지구 궤도 공유 천체 소행성 근지구천체 |
지름 | 약 40~100m |
태양기준거리 | 1.001248천문단위(AU) |
원일점 | 1.1046777 천문단위(AU) |
근일점 | 0.8978182 천문단위(AU) |
궤도경사각 | 7.78529087° |
이심률 | 0.1033008457 |
공전주기 | 365.9408464일 (1.00년) |
자전주기 | 28.02±0.48분 |
최대 지구 접근 거리 | 0.0345404 천문단위(AU) (5,167,170 km) |
1. 개요
[clearfix]
1. 개요
지구의 준위성.2016년 4월 27일 미국 하와이 천문대에서 발견한 소행성으로, 이름은 하와이어로 지구에서 본 천체의 움직임을 의미하며 2019년 4월 6일 명명되었다.[2]
동년 6월 15일 NASA가 이 천체가 지구 주위를 공전하는 준위성(quasi-satellite)임을 공식 발표하였다. ## 이 소행성은 거의 한 세기 동안 이런 궤도를 따라 움직였고 앞으로도 몇 세기 동안 그러할 것으로 예측된다.
지구의 중력에 의해 끌려온 소행성으로 추정되며, 크기는 달의 1/40000정도 되며, 지구와의 거리는 달보다 38배정도 멀리 떨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다만, 안정적인 위성궤도를 그릴 수 있는 힐 권역 바깥에 있기에 위성이 아니라 준위성으로 인정받았다. 참고 지구의 준위성(quasi-satellite) 중에서는 가장 안정적인 천체라고 하나 두 번째 위성이라는 표현은 과장된 것이다. 위성과 준위성은 다르며 2002 AA29, 2003 YN107 등과 같이 지구의 준위성은 더 있다.
애리조나 대학교 천문 연구팀이 반사하는 태양 빛을 분석한 결과, 달에서 가져온 월석과 일치하는 점 등을 근거로 달의 일부였다는 연구 결과를 얻었다.# 그게 바로 조르다노 브루노 크레이터이다.#
중국 국가항천국에서 탐사선 텐원 2호 발사하여 해당 천체의 샘플을 수집하여 지구로 귀환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1] 아래의 수치는 2018년 4월 16일 기준이다.[2] 출처 : MPC 112429-112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