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폴로 소행성군 Apollo asteroid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0.8px" | 1566 이카루스 | 1620 | 1685 토로 | 1862 아폴로 |
2063 바커스 | 3200 파에톤 | 4179 투타티스 | 4486 미트라 | |
4660 네레우스 | 6478 골트 | 25143 이토카와 | 29075 1950 DA | |
65803 디디모스 | 69230 헤르메스 | 101955 베누 | 136795 타츠노킨고 | |
143649 2003 QQ47 | 162173 류구 | 415029 2011 UL21 | 436724 | |
469219 | 671294 | 1991 VG | 2007 RR9 | |
2007 WD5 | 2011 MD | | ||
2016 WF9 | 2019 OK | 2020 BX12 | 2020 CD3 | |
| | 2020 QG | ||
| 2023 FW13 | 2024 PT5 | 2024 YR4 | |
C: 지구와의 충돌로 소멸 B: 궤도 변경으로 인해 아텐 소행성군으로 편입 | }}}}}}}}} |
MPC 번호 순 소행성(Minor Planet) 찾기 | ||||
1684 이과수 | ← | 1685 토로 | → | 1686 드 시터 |
<colcolor=#fff> 토로 1685 Toro | |
<nopad> 파일:토로2.png | |
임시 명칭 | <colbgcolor=#fff,#1c1d1f><colcolor=#000,#ddd>1948 OA |
발견 일시 | 1948년 7월 17일 |
칼 알버 위르타넨 | |
물리적 특징 | |
구분 | 금성 공명 소행성 (5:13 궤도 공명) 지구 공명 소행성 (5:8 궤도 공명) 아폴로 소행성군 화성 횡단 천체 |
지름 | 3.810 km (±0.049 km) |
자전 주기 | 10.1847-10.2033시간 |
절대 등급 | 13.90-15.13 |
반사율 | 0.198-0.71 (기하학적) |
지구 MOID | 0.0510 AU (762만 9491 km) |
궤도적 특징 | |
궤도 장반경 | 1.368 AU (2억 463만 km) |
원일점 | 1.964 AU (2억 9385만 km) |
근일점 | 0.771 AU (1억 1539만 km) |
궤도 경사각 | 9.382° |
이심률 | 0.4360 |
공전 주기 | 1.60년 |
모천체 | 태양 |
1. 개요
1948년에 발견된 소행성이자 지구접근천체.2. 명명
1948년 7월 17일, 미국 천문학자 칼 A. 위르타넨이 미국 캘리포니아의 릭 천문대에서 발견한 소행성. 이름은 천문학자 새뮤얼 헤릭의 아내인 베툴리아 헤릭의 혼전성에서 따온 것이며, 1966년 다른 소행성인 베툴리아와 같이 공식적으로 이름이 지정되었다.3. 특징
지름 4 km의 S형 소행성. 이심률은 0.44로 꽤 높은 편이며, 지구와 궤도 공명을 하고 있고 금성과도 공명하고 있다. 이와 같이 궤도가 매우 불안정한데 수천년만 지나도 지구와 공명을 멈추고 금성과의 공명 횟수도 바뀔 거라고 한다. 또한 8년마다 지구에 근접 접근하며, 2152년엔 0.074 AU까지 접근할 것으로 보인다.4. 여담
- 실리코가 운석과 궤도가 비슷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