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 치바 뉴타운 철도 9100형 전동차 Chiba Newtown Railway 9100 Series 千葉ニュータウン鉄道 9100形 電車 | }}} | |||
| |||||
차량 정보 | |||||
열차 형식 |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 8량 1편성 | ||||
운행노선 | 호쿠소 철도 | | |||
케이세이 전철 | | ||||
도영 지하철 | | ||||
케이큐 전철 | | ||||
도입년도 | 1994년 ~ 2000년 | ||||
제작사 | 일본차량제조 | ||||
소유기관 | 호쿠소 철도 치바 뉴타운 철도 | ||||
운영기관 | |||||
운행시기 | 1995년 ~ 현재 | ||||
차량 제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3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전장 | 18,000㎜ | |||
전폭 | 2,780㎜ | ||||
전고 | 3.985㎜ | ||||
궤간 | 1,435㎜ | ||||
차중 | 30.0~34.0t | ||||
급전방식 |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방식 | ||||
운전보안장치 | 1호형 ATS, C-ATS | ||||
제어방식 | 미쓰비시, 도요전기제 VVVF-GTO | ||||
동력장치 | 미쓰비시, 도요전기제 농형 3상 유도전동기 | ||||
기어비 | 85:14 | ||||
제동방식 |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
구동장치 | TD 평행카르단, WN 구동방식 | ||||
주전동기 출력 | 130㎾ | ||||
최고속도 | 영업 | 120km/h | |||
설계 | 130㎞/h | ||||
가속도 | 3.5㎞/h/s | ||||
감속도 | 상용: 4.0㎞/h/s 비상: 4.5㎞/h/s | ||||
MT 비 | 6M2T | }}}}}} |
[clearfix]
1. 개요
케이세이 전철과 호쿠소 철도의 자회사인 치바 뉴타운 철도가 1995년 호쿠소 철도 호쿠소선의 인자이마키노하라역 연장 개업과 동시에 도입된 전동차이다.[1] 2000년 인바니혼이다이역 연장과 동시에 추가 도입이 이루어졌다.도입 당시부터 1999년까지는 주택·도시정비공단, 1999년부터 2004년까지는 도시기반정비공단이 소유하고 호쿠소 개발철도가 차량을 관리하였으나, 같은 해 7월 1일에 도시기반정비공단이 도시재생기구로 개편됨에 따라 공단이 보유한 노선과 차량이 치바 뉴타운 철도에 양도되고, 호쿠소 개발철도 역시 호쿠소 철도로 이름이 바뀌면서 치바 뉴타운 철도가 소유하고, 호쿠소 철도가 관리하는 방식이 되었다.
2. 특징
기술적으로 비슷한 사양을 가진 9800형 열차와는 달리 전면부 디자인이 새끈하며, 도색은 물까치에서 영감을 얻은 검은색과 하늘색으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세이, 호쿠소, 아사쿠사선, 케이큐 구간을 운행하는 통근전동차 중 유일하게 측면이 직각형이 아닌 곡선형이다.인테리어 역시 누리끼리한 내장재가 아닌 밝은 색깔의 내장재를 사용하였으며, 좌석은 세미 크로스시트 방식이다. 현재는 철거되었지만 한 때는 3, 6호차에 공중전화가 설치되어 있었다[2].
도입 당시 자사/타사 차량을 통틀어 최초이자 유일하게 전체 운행 구간에서 자동 방송을 사용하던 차량이었다[3]. 당시에는 호쿠소선, 케이세이선, 아사쿠사선, 케이큐선까지 자동 방송 대응이 가능하였으나, 자동 방송 장치 메모리 용량 부족으로 인해 지속적인 노선 연장 및 운행 계통 복잡화에 따른 방송 장치 업데이트에 어려움이 발생해 2004년경 사용을 중지했다. 전구간 자동 방송이 가능한 차량은 이로부터 13년이 지난 2017년부터 도입되기 시작한 도쿄도 교통국 5500형 전동차가 계승하였다. 현재 9100형 전동차는 케이세이 계열 일부 노선에서만 자동 방송이 송출되며, 그 외 구간에서는 차장에 의한 육성방송만 송출된다.
차량 애칭은 C-Flyer인데, 여기서 C는 Chiba newtown(치바 뉴타운), Comfortable(쾌적), Clean(청결), Culture(문화)을 의미하며, Flyer는 빠른 열차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