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22:56:29

최준호(1964)

최준호(공무원)에서 넘어옴
<colbgcolor=#808080><colcolor=#ffffff>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정책협력관
최준호
崔晙鎬 | Choe Jun-ho
파일:choejunho.jpg
출생 1964년 ([age(1964-01-27)]세)
강원도 인제군 남면 염전리
(現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남면 염전리)
거주지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부평길 7
국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학력 소양초등학교 (졸업)
춘천중학교 (졸업)
춘천고등학교(졸업)
강원대학교/영어영문학과 (졸업)
병역 대한민국 육군 병장 전역
가족 배우자 유지향, 슬하 3녀
소속 정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현직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정책협력관
재임기간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정책협력관
2022년 7월 1일 ~ 현재
경력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정책협력관(별정직4급상당)
대한민국 국회 국회의원 보좌관(별정직 4급상당)
춘천발전포럼 창립 및 사무총장
한나라당 강원도의원 후보
SNS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유튜브 | 네이버블로그| 틱톡| 리틀리

1. 개요2. 이력3. 현직4. 경력5. 생애
5.1. 어린시절의 불안과 헌신5.2. 청년시절의 봉사와 리더십
5.2.1. 개관5.2.2. 백합공동체의 특징과 사역5.2.3. 주요 활동가들
5.3. 대학시절 백합공동체 이야기 몇 가지
5.3.1. 공동체 기업 일구기
6. N잡러로서의 끈질긴 도전7. 최준호 관련 뉴스모음

[clearfix]

1. 개요

최준호(Choe Junho)는 강원도 인제군에서 태어나 춘천에서 자란 지역 인재로, 춘천고등학교와 강원대학교를 졸업하며 탄탄한 학문적 토대를 다졌다. 이후 강원대학교 경영대학원(2009년)과 한림대학교 경영대학원(2024년)에서 최고경영자 과정을 이수하며 리더십과 전문성을 한층 강화하였다. 2007년에는 최용호에서 최준호로 개명하며 새로운 시작을 알렸으며, “풋풋한 춘천 남자 주노”라는 별명으로 지역 사회에서 친근한 이미지를 쌓아왔다.

정치와 행정 분야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최준호는 2004년부터 2010년까지 국회의원 보좌관으로 활동하며 입법, 정책 및 정치의 흐름을 직접 체감했고, 2010년 강원도의회 의원으로 출마하여 낙선하였다. 2022년 신경호 교육감 선거캠프 사무장과 교육감직인수위원 등 주요 선거 관련 역할을 수행하며 전략적 실행력을 입증하였다. 현재는 2024년 5월 1일부터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정책협력관(별정직 4급 상당)으로 재직하며, 국회, 의회, 시민사회, 대학, 지자체 간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과 교육정책의 실효성 강화를 위해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더불어, 최준호는 영화 제작 자문위원, 언론, 민간단체, 스포츠 클럽 등 다양한 사회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지역 발전과 문화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그의 풍부한 경력과 다채로운 사회 활동은 강원도와 춘천 지역의 교육, 정치, 문화, 경제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지역 사회의 발전을 선도하는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2. 이력

* 개명전:최용호(崔龍鎬) 개명후 준호(晙鎬)(2007년[1] 11월 20일 허가)
* 닉네임:풋풋한 춘천 남자 주노
* 출생지: 강원도 인제군 남면 염전리 315번지
* 거주지: 강원도 춘천시 부평길 7
* 본관: 청주(淸州) 최씨
* 생년월일: 1964년 0월 00일(음)
* 학력
강원대학교 인문사회대학 영어영문학과. 졸업
춘천고등학교 졸업
춘천중학교 졸업
소양초등학교 졸업(남전초~기린초 경유)
강원대학교 경영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 수료(2009년)
한림대학교 경영대학원 최고경영자 과정 수료(2024년)
* 자격증:일반행정사(2023년 제11회)

3. 현직

* 직위: 정책협력관(별정직4급상당)
* 재임기간: 2024년 5월 1일 ~ 현재

* 장편영화 춘천대첩72시간 작전명 폭풍 제작본부 자문위원장
* 창업경영신문 지역대표
* 강원장애인신문사 편집위원장 및 운영이사
* 춘천직장인선교회 자문위원
*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국제교류협력위원
*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시군의회 교육협력위원
*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강원교육자치추진단 위원
*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강원농어촌지역발전위원
* 강원교육발전특구추진단 위원(대외협력지원)
* 온세대가 살기 좋은 강원특별자치도만들기 추진위원
* (사)더불어사는사람들 자문위원
* 호반피클볼피플리더스클럽 사무처장
* 한림AMP총동문회 의전국장
* 국제로타리클럽3730지구 라일라위워장

4. 경력

*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정책협력관(별정직4급상당)(2024년 5월 1일 ~ 현재)
* 강원도교육청 대외소통관(별정직5급상당) (2022년 7월 1일 ~ 2024년 4월 30일)
* '''교육감당선인 비서실장’‘’
* '''교육감직인수위원‘’‘(2022년 6월 13일 ~ 2022년 7월 14일)
* 제5회전국동시지방선거 춘천시제2선거구(효자동/석사동) 도의원(한나라당) 출마(2010년 6월 2일, 36.61%(9,888표 득표)
[2][3]낙선)
* 제17대 대통령선거 한나라당 강원도 선거대책위원회 조직본부 부본부장(2007년)
* 제17~18대 국회의원 보좌관(별정직4급상당)(2004년 5월 ~ 2010년 6월)
* 춘천시피클볼협회 창립 발기인(2024년 11월)
* 춘천발전포럼 창립(2006년)
* 의암호협동조합 [4]설립 및 사무처장
* 강원미래교육연구원 사무국장
* 아토피제로센터장 [5]
* 스토리웨이 춘천역점주
* 뉴맨투맨영수학원장
* 주간 강원라이프 발행인
* (주)보람산업 업무과장
* 백합종합기획 대표
* 백합공동체(백합회) 창립(1981년)

* 춘천시에너지기본계획수립 용역 자문위원
* 제3기 예산 바로쓰기 국민담시단원
* 수열에너지 융복합클러스터 민관합동 거버넌스 위원
* LH강원협치포럼 위원
* 춘천시성시화운동본부 기획위원장

선거관련 기획 및 캠프 운영
* 1996년 대전광역시 동구을 송천영 국회의원 후보 선거기획
* 2004년, 2008년 춘천시 허천 국회의원 후보 선거기획
* 2010년 강원도의회 도의원 출마(낙선, 36.61% 득표)
* 2014년 춘천시장 정용기 후보 선거 기획
* 2018년 남양주시장 예창근 후보 선거 기획
* 2022년 강원도교육감 신경호 후보 선거기획 및 사무장
* 기타 시의원 및 군의원 등등

가입단체
* 국제피플투피플 춘천챕터
* 국제로타리3730지구 남춘천로타리
* 무궁화배드민턴클럽
* 춘천성시화운동본부
* 춘천직장인선교회
* 춘천피클볼동호회
* 춘천시피클볼협회
* 춘천피클볼리더스클럽

5. 생애

5.1. 어린시절의 불안과 헌신

최준호는 1964년 음력 1월 27일,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남면 남전리에서 아버지 최진환과 어머니 이영순 사이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어린 시절은 순탄치 않은 환경 속에서 시작되었다. 소양강댐 건설로 고향이 수몰되면서 가족은 인제군 기린면으로 피난을 가야 했으며, 그 과정에서 어린 최준호는 가족의 불안과 어머니의 헌신을 몸소 느끼게 되었다.

초등학교 4학년 때 춘천시 우두동의 소양초등학교로 전입한 그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면서도 가난한 집안 형편 속에서 점심 식사를 거르는 날들이 잦았다. 그러나 친구들의 작은 배려로 빵과 우유로 한 끼를 때우며, 그 속에서 인간미와 상생의 가치를 배우게 되었다. 어려서부터 취로사업으로 끼니를 벌어야 하는 어머니를 돕기위해 모래모으기, 흙나르기 등 노동현장에 나가 일을 거들었다.

중학교에 들어서면서는, 부족한 학용품을 대신해 담임 선생님께서 공책을 지원해 주시는 등 주변의 따뜻한 배려를 경험하였다. 졸업식 날, 친구들과 함께 찍은 기념사진은 단순한 추억을 넘어, 어려운 이웃을 돕겠다는 굳은 다짐으로 그의 마음에 깊이 새겨졌다.

춘천중학교와 춘천고등학교 시절, 최준호는 학업에 매진하는 한편,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백합회’라는 사회봉사 단체를 창립하며 ‘순결, 희생, 사랑, 봉사’의 가치를 실천하고자 했다. 고등학교 2학년 여름에는 유네스코 주최 강원학생 영어 웅변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는 등,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꿈과 희망을 잃지 않고 자신의 능력을 키워나갔다.

이처럼 최준호의 유년 시절은 경제적 어려움과 환경 변화라는 도전을 겪으면서도, 주변 사람들의 따뜻한 격려와 자신의 굳은 의지로 극복해 나간 성장의 이야기로, 그가 앞으로 사회에 기여하고자 하는 봉사정신과 리더십의 밑거름이 되었다.

5.2. 청년시절의 봉사와 리더십

1983년, 최준호는 강원대학교 인문사회대학 영어영문학과에 전액 장학생으로 입학하며 새로운 시작을 열었다. 힘든 여건 속에서도 현 춘천 열린교회 담임목사로 활동 중인 신성균 교수님의 따뜻한 상담과, 교수실 청소를 통해 받은 장학금 덕분에 학업을 이어갈 수 있었다. 당시 어머니께서는 날품을 팔아 가정을 꾸려나가셨고, 수업 중 미국 교수님으로부터 "영어 원서를 읽는 발음이 참 훌륭하다"는 칭찬을 받으며 그의 가능성이 빛나기 시작했다.

고등학교 시절 창립한 백합회는 대학에서도 그 정신을 잃지 않고 이어졌다. 강원대학교 동아리 ‘백합공동체’로 활동하며, 사회 변혁의 선구자 김진홍 목사님의 자서전 『새벽을 깨우리로다』가 큰 화제를 모은 시기, 학생들은 공병, 휴지, 고철 등 폐품을 모아 고물상에 판매하며 봉사활동비를 마련하는 등, 나눔과 사랑을 실천했다.

이러한 최준호의 청춘 이야기는 어려움을 딛고 주변의 따뜻한 손길과 함께 꿈을 향해 나아간 감동적인 여정으로, ‘춘천기독교 120년사’https://buly.kr/APtW6vI에 수록된 기록처럼 많은 이들에게 희망과 친근한 울림을 전하고 있다.

5.2.1. 개관

춘천을 기반으로 한 백합공동체는 1981년 9월 최준호 대표를 중심으로 창립되었다. 창립목적은 사회봉사 및 가난한 이웃돕기로 사회의 빛과 소금의 역할을 감당하는 것이었다. 창립 정신으로는 순결, 희생, 사랑(백합의 꽃말)이었다.

5.2.2. 백합공동체의 특징과 사역

백합회가 정식으로 창립되기 1년 전인 1980년에 남궁창성, 이상덕, 이순모, 최준호 등 4명이 개인당 월 300원, 매월 1,200원을 모아 당시 춘천시 중앙 로터리에 있었던 서울신탁은행에 적립식 목적신탁에 예치(3년 약정 60,000원)하며 공동체의 꿈을 꾸었다. 1981년 9월 백합회라는 이름으로 공식 창립하였으며, 창립회원으로 이상덕, 이순모, 최호성, 최준호, 노영만, 김성래, 이상덕 등 7명이 참여하였다. 1983년 강원대학교 동아리로 등록(등록명:백합공동체)하였고, 강원명진학교 학생들과 함께 합주단 봉사도 시작된다. 이어 춘천 소년원생들과 함께 하는 체육활동, 미술활동, 야외 합동 수련회(전국 최초)를 시작하였고, 오순절보육원 유아들과 함께 하는 놀이 봉사활동도 시작되었다. 재활용품 수거 및 판매 수익활동으로 봉사활동비 마련하고, 두레마을공동체, 예수원 등 국내 공동체 현장 답사하기도 하였다. 세계 애수 공동체 연구활동, 공동체훈련 수련회(연 2회)도 개최하였다.
1987년 춘천간호보건전문대학에 백합공동체의 지회를 설립하였으며(초대회장 유지향), 1990년에는 백합공동체 기업모델인 백합종합기획(인쇄, 기념품, 우유배달 등)을 창업하였다. 또한 1992년에는 강원라이프[6](생활정보신문)를 창간한다.

5.2.3. 주요 활동가들

최준호를 비롯한 159명이 활동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수록된 개별 이름은 생략한다.)[7]

5.3. 대학시절 백합공동체 이야기 몇 가지

강원대학교 재학 시절, 최준호는 백합공동체 활동에 깊이 빠져 매 순간 땀 흘리며 헌신적으로 참여했다. 그는 동아리 활동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거리에서 폐품을 모아 고물상에 판매하는 등, 실질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또한, 강원명진학교, 춘천소년원, 오순절보육원, 애민원 등 다양한 지역 기관을 방문해 체육, 음악, 미술 등 여러 분야에서 학생들과 함께 활동하며 지역 공동체의 회복에 힘을 보탰다.

대학 1학년 때는 직접 나무 십자가를 만들어 동료들이 메고 춘천 시가지를 행진하며, 예수의 고난을 기리고 사랑과 정의 실천의 다짐을 새기는 의미 있는 행사를 치렀다. 이어진 대학 2학년 때에는, 최준호와 백합공동체 회원들이 춘천소년원 학생들을 위해 홍천의 한 계곡에서 야외 캠핑을 진행했다. 2박 3일 동안 밤낮 없이 불침번을 서며 캠프 운영에 힘쓴 그는, 수련회 후 소년원 학생들이 모범적인 태도를 보였다는 교도관님의 칭찬을 받기도 했다.

매년 여름 진행되던 공동체 수련회는 마치 유격훈련처럼 혹독했지만, 함께 어려움을 극복하며 선후배 간의 끈끈한 유대감을 다지는 소중한 시간이 되었다. 이러한 열정적인 경험들은 최준호가 앞으로 지역 사회에 기여하고자 하는 봉사정신과 공동체 의식을 굳건히 다지는 밑거름이 되었다.

5.3.1. 공동체 기업 일구기

대학교에 입학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최준호의 어머니는 후평동 토우시장에서 신발 가게를 열었다. 이 소식에 자극받은 최준호는 동대문시장에서 통가죽을 도매로 구매해 신발과 악세사리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그는 최남용 후배 등과 함께 신발 염색과 수선 작업에 몰두하며, 공동체 생활의 꿈을 키워 나갔다.

또한, 후배들과 함께 백합종합기획을 설립해 복사, 인쇄, 기념품 제작, 출판 등 다양한 사업에 도전했으며, 연세우유 배달까지 병행했다. 때로는 2층 월세 사무실의 책상 위에서 잠을 청하며 아침 일찍 연세우유를 배달하는 등, 모든 활동을 무보수로 진행하며 젊은 열정과 도전 정신을 보여주었다.

한편, 당시 국민일보 강원지사를 운영하던 김은준 지사장이 이끄는 강원라이프를 인수하여 주간 생활정보 신문을 시작했지만, 결국 춘천교차로에게 큰 참패를 당하며 사업은 실패로 돌아갔다. 이로 인해 그는 큰 빚더미에 앉게 되어, 부득이하게 물러설 수밖에 없었다.

6. N잡러로서의 끈질긴 도전


최준호는 강원라이프 도산 이후 큰 빚에 시달리게 되자, 인쇄, 기념품, 출판 대행 업무를 이어가며 간판 제작에 도전하기 시작했다. 후평동 419-1에 위치한 부안떡방앗간 지하의 어두운 지하실에서, 이곳 저곳 어깨 너머로 배운 방식대로 형광등을 조립하고 설치하며 간판을 만들어냈다. 사다리에 올라 돌출 간판을 설치하는 위험한 순간들도 많았지만, 돈을 벌어야 한다는 절박한 마음에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열심히 일한 날들이었다.

1992년 겨울, 현재의 아내와 결혼한 후, 최준호는 백합종합기획을 아내에게 맡기고 보람산업(주)라는 건설회사에 입사했다. 새벽부터 밤늦게까지 조립식 건축과 일반 주택 건설 현장에서 일하며, 철근, 콘크리트, 거푸집 등 무거운 자재들을 다루는 힘든 노동을 견뎌냈다. 이러한 막노동 현장에서의 고단함은 결혼 생활에 어려움을 주기도 했지만, 가족을 위해 꾸준히 최선을 다했다.

보람산업(주)에서 퇴사한 후, 최준호는 백합기획도 접고 신북읍의 허름한 농가로 들어가 고철과 폐지를 수집하는 생계 활동을 시작했다. 매일 고철과 폐지를 주워 집 마당에 쌓아두었다가 팔면서 생활의 터전을 마련한 그는, 이후 화천 아바공동체로 이주하여 공동체 생활을 경험하기도 했다. 생계를 위해 상서면의 달래 농사 일을 하였고, 아내는 춘천으로 출퇴근하며 보험 업무에 종사했으며, 세 딸은 상승초등학교에 다녔다.

어느 날, 아내로부터 롱제비티(주)에 관한 이야기를 듣고 그 회사 제품의 매력에 빠진 최준호는 다단계 영업으로 전국 각지에서 사업 설명을 진행하며 조직을 키워나갔다. 이 과정에서 그는 아바공동체를 떠나 다시 춘천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롱제비티 사업이 점차 어려워지자, 최준호는 홍천의 감자 납품 회사에 입사했다. 매일 감자를 하나하나 선별하고 껍질을 벗기며 상자를 오르내리는 육체노동에 몸이 지칠 정도로 힘들었지만, 그는 대학 시절 우두동 동방제사 공장에서 누에고치 푸대를 다루던 기억이나 서린주류에서 소주병과 맥주병, 음료수병을 선별해 포장했던 경험, 그리고 건축 현장에서 시멘트 포대를 나르며 콘크리트를 치던 날들을 떠올리며 버텨냈다. 이 모든 경험은 비록 고되고 힘들었지만,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최준호가 포기하지 않고 계속해서 도전해온 흔적이자, 그의 끈질긴 노력과 도전 정신을 잘 보여준다.

7. 최준호 관련 뉴스모음


||강원교육청 정책협력관 최준호||
[강원도민일보] [신경호를 만든 사람들] 최광익 전 예비후보 지지선언 중원 확장 핵심 역할 https://vo.la/fTBmmb
[노컷뉴스]신경호 강원교육감 "학력 신장에 온 힘 기울일 것"https://buly.kr/3YBxpJu
[노컷뉴스] 신경호 강원도교육감 참모진 구성 속도 https://vo.la/kRGvuG
[강원도민일보] 신경호 교육감 체제 첫 비서실장 김익중 내정… 참모진 윤곽 https://buly.kr/EdrheYs
[교육플러스]강원교육청, 대내외 협력 강화...최준호 정책협력관 4급 승진https://buly.kr/9iEU9bR
[노컷뉴스]강원도교육청, 간부진 대폭 교체 예고https://buly.kr/A4407xV
[강원일보]최준호 정책협력관 4급 승진 https://buly.kr/A4407yl

||지역 거버넌스 구축 및 지역 사회 소통||
  • 시군의회 교육협력위 전국 최초 구축
  • 강원도건축사회와 간담회 추진
  • 더존비즈온과 업무협약 추진,‘디지털마이스터고’전환 협력

    • [정보통신신문]더존비즈온-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디지털마이스터고’ 추진 https://buly.kr/5UGId98
      [조세금융신문]더존비즈온-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디지털마이스터고’ 추진 업무협약 https://buly.kr/D3csoHM
      [파이낸셜뉴스]더존비즈온, 화천정보고의 마이스터고 지정위해 협력 https://buly.kr/DEXdn70
      [택스워치]더존비즈온-강원교육청, '디지털마이스터고' 추진 업무협약 https://buly.kr/7mA9Npo
      [세정일보]더존비즈온-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디지털마이스터고’ 추진 업무협약 https://buly.kr/C08KvQN
      [비지니스플러스]더존비즈온-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디지털마이스터고' 추진 업무협약 https://buly.kr/jXq9VE
      [로이슈]더존비즈온-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화천정보산업고 지정 위한 업무협약 https://buly.kr/Edrhdh5
      [뉴스핌]더존비즈온-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디지털마이스터고' 추진 업무협약 https://buly.kr/5UGIdHi
      [일간 NTN]더존비즈온-강원교육청, ‘디지털마이스터고’ 추진 업무협약 https://buly.kr/AEyl7K9
      [데이터뉴스]더존비즈온, 강원교육청과 ‘디지털마이스터고’ 추진 업무협약 https://buly.kr/FLWjYzc
      [스마트투데이]더존비즈온-강원도교육청, ‘디지털마이스터고’ 협약 https://buly.kr/GkqnPX2
      [조세금융신문]더존비즈온-강원교육청, '디지털마이스터고' 추진 업무협약 체결 https://buly.kr/D3csoHM
      [데이터넷]더존비즈온·강원도교육청, ‘디지털마이스터고’ 추진 업무협약 https://buly.kr/GE6WT7r
      [이지경제] 더존비즈온, 강원교욱청과 ‘디지털마이스터고’ 추진 업무협약 가져 https://buly.kr/2Jmeygx
      [이투데이] 더존비즈온-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디지털마이스터고' 추진 업무협약 https://buly.kr/EI2BgBZ
      [아주경제] 강원도교육청-더존비즈온, 화천정산고 교육부 디지털마이스터고 추진 업무협약 https://buly.kr/3j6ipc3
      [신아일보] 강원도교육청, 더존비즈온과 미래 기술인재를 육성 협약 https://buly.kr/HSVpLGF
      [위클리오늘]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더존비즈온 화천정산고 교육부 디지털마이스터고 추진 업무협약 https://buly.kr/28ru0IU
      [이뉴스투데이] 강원교육청·㈜더존비즈온, 화천정산고 마이스터고 추진 협약 https://buly.kr/1GI76Fb
  • 제2한민고 유치 추진
  • 강원농어촌교육발전정선협의회 발족

    • [뉴스핌]강원농어촌교육발전정선협의회, 인구소멸위기·특성화고 추진 논의 https://buly.kr/5fB3cfS
  • 온세대가 살기 좋은 강원특별자치도 만들기 추진위원회 위원, 최준호 정책협력관
  • 경동대학교와 우수 해외학생 유치 업무협약 추진

    • [아주경제]도교육청-경동대학교, 국제교육협력사업 및 해외교육지원사업 관련 업무협약 체결 https://buly.kr/C08KwAl
      [스포츠서울]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경동대학교와 국제교육협력사업 및 해외교육지원사업 관련 업무협약 체결 https://buly.kr/7bFOPmt
      [NSP통신]강원도교육청-경동대, 국제교육교류분야 공동협력 MOU https://buly.kr/58QmgON
      [강원일보]도교육청-경동대, 우수 해외유학생 유치 협약 https://buly.kr/EomSdHD
      [신아일보]도교육청-경동대학교, 국제교육협력사업 및 해외교육지원사업 관련 업무협약 https://buly.kr/DlHukOb
      [MS투데이]강원교육청-경동대, 해외유학생 유치 협력 https://buly.kr/6XkqWxN
      [강원타임즈]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경동대학교, 업무협약 체결 https://buly.kr/H6gJO5h

|| 해외 교육협력 강화 ||
  • 2024.한베페스티벌 참여

    • [뉴스1]강원교육청, 베트남 다낭서 개최된 한베페스티벌 참여https://buly.kr/BITIzKt
      [스포츠서울]강원교육청, 2024 한베페스티벌(한국-베트남) 참가https://buly.kr/DlHuinF
      [위클리오늘]강원도교육청, 2024 한베페스티벌 참가로 글로벌 교육 협력 확대 https://buly.kr/9iEUA31
      [전국매일신문]강원교육청, 한국-베트남 페스티벌 참가...글로벌 교육 협력 확대https://buly.kr/GP1HR53
  • 해외 우수 학생 유치를 위한 베트남 방문단장 최준호

||시민사회단체 활동||
  • 의함호협동조합, 창립총회
  • 춘천발전포럼 활동

    • [강원도민일보] "유니버설 스튜디오 춘천 유치 땐 100년 보장받는 국제도시로 부상" https://vo.la/mGAfig
      [칭찬신문] 의암호, 소양호에 춘천의 꿈을 띄우다 https://vo.la/YRxXEg
      [울산제일일보] 울산 태화강 생태하천복원 성공사례 설명 간담회 https://vo.la/kVOVHc
      [울산매일] 울산시의회 안수일 의원 태화강 복원 성공사례 간담회 개최 https://vo.la/JMKqPM
      [춘천사람들] ‘의암호 생태 하천 복원’ 해야 한다? https://vo.la/qflCdO
      [칭찬신문] 의암호는 매일 꿈을 꿉니다. https://vo.la/bNUvrq
      [강원일보] ''“춘천 강을 통해 정체성 형성 … 천혜환경 활용 관광자원 발굴”https://vo.la/BtJQEB
      [뉴시스] 춘천시, '강' 관광 자원으로 개발한다 https://vo.la/nRgTMe
      [파이낸셜포스트] 우리에겐 ‘강 자원’ 있어요 https://vo.la/LLcCLf
      [매일일보] 강원대 춘천호수연구센터·춘천새로운백년포럼, ‘춘천호수포럼’ 개최 https://vo.la/LERIrl
      [환경과조경] ‘춘천 국가호수정원’ 포럼, 27일 개최 https://vo.la/hDoyKM
      [대학저널] 대학-지역사회, ‘춘천 국가호수정원’ 유치 힘모은다 https://vo.la/CrZXCy

|| 전자칠판 사업 추진 관련 ||
[KBS]전자칠판 사업 질타 잇따라…“감사 요청해야” https://buly.kr/APtW5dc
[KBS]전자칠판 사업 질타 잇따라…“감사 요청해야”https://buly.kr/BpDZwB8
[KBS] 강원도교육청 “전자칠판사업 감사 ‘혐의없음’ 결론”https://vo.la/uBLekL
[강원도민일보]특혜 의혹 벗은 전자칠판 사업 “내년 새학기 보급 완료”https://vo.la/sosdUS
[MBC강원영동]강원도, 교육청 전자칠판 사업 특혜 의혹 '혐의없음' https://vo.la/azgwZk
[불교방송]강원도감사위, 교육청 전자칠판 사업 특혜의혹 '혐의없음' https://vo.la/YGkxhd
[연합뉴스] 강원도, 교육청 전자칠판 사업 특혜 의혹 '혐의 없음' 결론 https://vo.la/uaQJeo
[헬로TV뉴스] '특혜 의혹' 벗은 강원도교육청, 전자칠판 사업 재추진 https://vo.la/QNzccj
[뉴스1] 강원교육청 전자칠판 특혜의혹 ‘혐의 없음’ 결론…재추진 시사 https://vo.la/xYsHSn
[강원도민일보] 도교육청 전자칠판 사업 '특혜 의혹' 벗었다… 논란 종지부 https://vo.la/AVTJaG
[춘천MBC] 교육청 전자칠판 도입 사업 '훈계처분' 취소 https://vo.la/ponAoj
[강원도민일보] 강원도교육청 전자칠판 특혜의혹 등 무혐의 “강원교육 미래 응원” https://vo.la/jpiXsF

|| 각종 포럼 및 토론 활동||
  • 제9회 리버티 환경포럼 토론
  • 제5회 강원문화산업포럼 토론

    • [스포츠서울] [제5회 강원문화산업포럼] “과거 전쟁역사를 미래 문화자산으로 만들자” 열려 https://buly.kr/15NM7VY
      [MTN뉴스]강원문화산업포럼 “전쟁역사를 미래 문화자산으로” https://buly.kr/2qWvvjJ
  • 교회의 비전과 역할 토론

    • [노컷뉴스]"전 교회가 전 복음을 전 시민에게" 2023춘천성시선교대회 개막 https://buly.kr/BpDZxTx
      [강원도민일보] “마음 정화시키는 축복의 가을 되세요” https://vo.la/BSQIFN
  • 의과대 강원지역 인재 확대 방안 토론

    • [더에듀] 강원도의 지역 의대 정원 확대 대응책은?..."입시결과 공개·수능 대비 교사 역량 강화" 제안 https://vo.la/RINFrG

|| 각종 행사 ||
[강원일보]춘천기독교 120년사 출판기념회 성황리에 열려 https://buly.kr/APtW6vI
[뉴스제이]제5회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기도회 축사 https://vo.la/LCqyQj
[기독일보]''강기총,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기도회’ 개최 https://vo.la/MQfuFd
[강원일보]오스트리아 대표 문화예술 작품, 춘천·평창서 만난다https://buly.kr/6Mq5WPr
[국민일보] [신복음의 향토 순례] 서춘천감리교회 ‘제자사역훈련원’ https://vo.la/UndXVc

||강원도의원 출마||
[강원도민일보]“머물고 싶은 도시 춘천 만들 것” https://vo.la/YaJFLb
[뉴시스] [6·2지방선거]한나라당 공천후보 선거사무소 잇따라 개소 https://vo.la/UPtURA
[강원일보] [출마합니다] 최준호 도의원(춘천) 입지자 https://vo.la/vPTPHq
[강원도민일보][6·2지선 표심이 보인다] 화려한 경력… 박빙 승부 https://vo.la/DcLKkq
[강원도민일보] 6·4지선 광역·기초의원 입지자 https://vo.la/gONjBf
[강원일보]국회의원 전현직 보좌관 `속앓이' https://vo.la/RmYMex
[뉴시스] 춘천 광역의원 출마예상자 한나라당 전성시대 [[https://vo.la/AWdpuP]
[강원도민일보] [6ㆍ2 지선 도의원 누가뛰나] 춘천 2선거구 https://vo.la/QdLkKw
[강원일보] 춘천 도의원···4명 선출에 19명 도전 https://vo.la/srHwlD
[강원도민일보]6·2지선 도의원 출마 예상자 https://vo.la/akvNAy

||국회의원 보좌관 활동 ||
[강원도민일보] 도출신 의원 보좌관 누구? https://vo.la/HCWqNh
[강원일보]춘천~서울고속도로 통행료 인하 "중앙인맥 활용해야" https://vo.la/cnjWtI
[강원일보]`수도권화·고속화 시대, 춘천!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 https://vo.la/nVJXeE





[1] 허천 국회의원 보좌관으로 재직하였을 때임[2] 천안함사건 북풍의 역효과로 선거 막판에서 뒤집혔음. 한국정치학회 회보에 등재된 서울대학교 이상신씨의 연구 초록을 참고하세요.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17862[3] 도의원 후보 출마 포스터https://vo.la/iWLNAg[4] 앞서 춘천발전포럼 최준호 사무총장(의암호협동조합 이사)은 지난해 12월 9일, 청류마당을 소양강호수정원으로 전환하자는 시민제안을 했었다. 조류서식지와 버드나무를 가꾸고 숲·생태수변 오솔길 등을 조성해 강과 호수를 되살리자는 제안이었다.http://www.chunsa.kr/news/articleView.html?idxno=50673[5] 파일:atopy.png[6] 당시 국민일보 강원지사를 운영하고 있던 이은준씨가 창간했고 이듬해 넘겨 받았다.[7] 춘천성시화운동본부에서 발행한 춘천기독교120년사 2권에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