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최영수(동명이인) 문서 참고하십시오.
천주교 대구대교구장 |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 초대 안세화 플로리아노 주교 (1911~1938) | 2대 문제만 제르마노 주교 (1938~1942) | 3대 하야사카 큐베에 이레네오 주교 (1942~1946) | 4대 주재용 바오로 몬시뇰 (1946~1948) | 5대 노기남 바오로 주교 (1948) |
6대 최덕홍 요한 주교 (1948~1954) | 7대 서정길 요한 대주교 (1954~1986) | 8대 이문희 바울로 대주교 (1986~2007) | 9대 최영수 요한 대주교 (2007~2009) | 10대 조환길 타대오 대주교 (2010~) |
<colbgcolor=#A80045><colcolor=#fff> 9대 천주교 대구대교구장 최영수 사도 요한 崔榮壽 | John Choi Young-soo | ||
출생 | <colbgcolor=#ffffff,#191919>1942년 3월 23일 | |
경상북도 경산군 하양면 대학동 (現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대학리) | ||
사망 | 2009년 8월 31일 06시 20분 (향년 67세) |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 ||
국적 | 대한민국 | |
주교 임명일 | 2001년 2월 보좌주교 임명 | |
2006년 부교구장 임명, 대주교 승품 | ||
재임기간 | 대구대교구 보좌주교 | <colbgcolor=#ffffff,#191919>2001년 2월 27일 ~ 2006년 2월 2일 |
대구대교구 부교구장 | 2006년 2월 3일 ~ 2007년 4월 29일 | |
대구대교구장 | 2007년 4월 30일 ~ 2009년 8월 17일 | |
그리스도와 함께[1] |
[clearfix]
1. 개요
한국 가톨릭교회의 제9대 대구대교구장. 세례명은 '사도 요한'이다.2. 생애
1942년 경상북도 경산군 하양면에서 태어나 경북고등학교, 서울 가톨릭대학교를 거쳐 1970년 사제서품을 받았다.[2] 포콜라레 운동[3]을 우리나라에 도입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가톨릭신문사 사장, 대구평화방송 사장 등을 지냈다. 2001년 2월에 대구대교구 보좌주교(시티피스 명의주교)로 서품되었고, 2007년 4월 대구대교구장에 착좌했다.최영수 대주교는 대구대교구 사제ㆍ부제 서품식을 주례하느라 같은 날인 6월 29일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대축일에 거행된 교황의 팔리움[4] 수여식에 참석하지 못하고, 다음달 교황을 대신한 주한교황대사 에밀 폴 체릭[5] 대주교에게서 팔리움을 받았다.
2009년 6월 27일 건강이 악화되어 중환자실에 입원했고, 베네딕토 16세 교황이 8월 17일 건강상의 이유로 청원한 교구장직 사임서를 수락했다. 그 후 2주 만인 2009년 8월 31일(월) 06시 20분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에서 지병으로 사망했다. 향년 67세. 후에 조환길 대주교가 이문희 대주교 추모 강론에서 이를 언급하며, 최 대주교가 너무 이른 나이에 돌아가셨다고 안타까워했다.
[1] (1코린 1,5)라는 표어는 그리스도와 함께 살고, 그리스도의 뜻에 따라 살며, 그리스도의 정신대로 생각하고 실천할 때 비로소 그리스도와 일치를 이룰 수 있다는 의미이다. 외부윤곽은 대구대교구 주보 루르드의 성모를 푸른 망토를 입은 모습으로 형상화 하였다. 머리 위의 별은 12개의 별이 달린 월계관(요한묵시록 12,1)을 상징한다.[2] 반공 인사로 유명한 예수회 박홍 루카 신부가 최영수 대주교와 같은 날 사제서품을 받았다.[3] 1943년에 시작되어 교황청 인준을 받은 신심단체로, 한국에선 대전 성심당 빵집이 이 운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유명하다.[4] (트라피스트회 수도원에서 키운) 양의 흰털로 만든 띠로, 관구장 대주교의 상징이다.[5] Emil Paul Tscherrig, 1947년생 스위스인 대주교로,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주한교황대사를 역임하였으며, 2021년 현재는 이탈리아 교황대사로 일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