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14 20:19:13

최삼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김병화* 신광호 장룡식 채주혁 구승해*
리경숙 리종오* 리면상* 허문영 김정녀
리진혁 김주혁 최기혁* 현송월 황진영
김광숙* 전혜영 리분희 조금화 윤혜영
렴청 문경진* 조청미 최삼숙 서은향
*사망
}}}}}}}}} ||
최삼숙
崔三淑| Choe Sam Suk
파일:최삼숙.jpg
출생 1951년 6월 15일 ([age(1951-06-15)]세)
개성시
국적
[[북한|]][[틀:국기|]][[틀:국기|]]
전직 영화 및 방송음악단 가수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 성악학부 교원
주요서훈 인민배우, 국기훈장 1급, 국기훈장 2급, 국기훈장 3급
거주지 평양시 동대원구역 신리동
현직 연로보장(정년퇴직)
가족 아버지 최창도, 이복오빠,[1] 이복언니, 배우자 이철민[2] 딸 이은경[3]

1. 개요2. 생애3. 대표곡

[clearfix]

1. 개요

1970~1980년대 북한에서 김옥선과 함께 최고의 위상을 가졌던 여가수.
영화 및 방송음악단 가수였다.

2. 생애

파일:최삼숙2015.jpg
1951년 개성에서 최창도의 딸로 태어났으며, 사촌에 남인수가 있다고 한다. 2016년 최삼숙은 평양 동대원구역에 거주하는게 확인되었다. 이런 배경으로 알 수 있지만, 이산가족이다. 1983년 '조선예술' 이라는 잡지에서 두 언니가 남한에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평양방직공장에서 방직공으로 일하면서 예술 소조원으로 활동하다가 전국노동자예술축전에서 1위로 입상, 1971년 영화 및 방송음악단에 가수로 입단했다.

이후 70~80년대 긴 전성기를 누리며 북한 최고의 여가수라는 명성을 지녔었다. 물론 그 시기동안 인기를 끈 가수가 없던 것은 아니었지만 최삼숙은 활동기동안 2800여곡을 독창곡으로 형상화했고 북한 영화음악 부문에서 많은 족적을 남겼다.

당시 북한 영화 주제가의 절대다수를 차지했으며, 90년대 들어 새로운 가수들이 어느정도 자리를 잡았지만 90년대까지 영화음악에서 우위를 차지한 유명가수였다.

이 당시 태동한 보천보전자악단도 최삼숙의 노래들을 많이 커버했다.

1982년 인민배우 칭호를 받았으며, 1995년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 성악지도교원으로 발탁된게 알려졌다. 그리고 아무소식 없다가 2015년 추억의 노래에 출연했다.

2016년 그녀의 딸 이은경(1979년생)씨가[4] 해외 북한식당 종업원으로 근무했다가 류경식당 종업원 집단탈북의 종업원 중 한 명임이 드러났다.#

3. 대표곡

파일:ㅕ.jpg
최삼숙의 솔로앨범[5]
  • 목란꽃(1971, 영화 '목란꽃' 주제가)
  • 꽃파는 처녀(1972, 영화 '꽃파는 처녀' 주제가)
  • 아버지의 축복(1974, 영화 '금희와 은희의 운명' 주제가)
  • 이세상 끝까지 우리 가리라(1977, 영화 '이세상 끝까지' 주제가)
  • 기쁨의 노래안고 함께 가리라(1978, 영화 '이름없는 영웅들' 주제가)
  • 봄을 먼저 알리는 꽃이 되리라(1980, 영화 '열네번째 겨울' 주제가)
  • 당은 나의 어머니(1981, 영화 '한 당일군에 대한 이야기' 주제가)
  • 나는 알았네(1982, 영화 '월미도' 주제가)
  • 아 내조국(1985, 영화 '은비녀' 주제가)
  • 그대밖에 내 몰라라(1987, 영화 '보증' 주제가)
  • 어머니조국에 남아있으리(1988, 영화 '자신에게 물어보라' 주제가)
  • 심장에 남는 사람(1989, 영화 '심장에 남는 사람' 주제가)
  • 생의 흔적(1989, 영화 '생의 흔적' 주제가)
  • 이 마음 나라를 지켜(1991, 영화 '하랑과 진장군' 주제가)
  • 달리는 못살아(1991, 영화 '효녀' 주제가)

[1] 당시 외조카와 함께 남한에 거주하고 있었다.[2] 1947년생, 원유공업부 소속[3] 1979년생, 2016년 탈북했다[4] 2023년 기준으로 현재는 이지안으로 개명한 듯 하다.[5] 1992년에 발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