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23:52:56

챌린저 카드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colbgcolor=#000> 챌린저 카드
Challenger Card
파일:퀘지주 챌린저 카드.jpg
정체
[스포일러]
인간
특성
[스포일러]
퀘스트
활동 시기 불명[1]

1. 개요2. 상세3. 작중 행적4. 능력5. 인간관계6. 여담

[clearfix]

1. 개요

네이버 웹툰퀘스트지상주의》의 등장인물

2. 상세

카드 등급중 가장 높은 등급으로 기존 카드들과 다르게 매우 거대하고 말을 할 수 있다.

3. 작중 행적

18화에서 아직까지 획득한적은 없고 영접 카드를 통해 대화를 나눴다. 대화를 통해 여러 가지 질문을 하였지만 '그 분'이라고 불리는 사람을 연결해주고 사라졌다.

76화에서 김수현에게 강해졌다고 말한 후 궁금한 게 있냐고 물어본다. 김수현은 '그 분'을 다시 불러달라고 하자 '그 분'을 연결시켜준다.

최종전에서 김수현이 영접 카드로 다시 한 번 접선한다. 하지만 과거랑은 달리 보상은 주지 않았지만 초월 다음 경지에 대한 힌트를 알려준다.

이후 나머지 이야기들은 회상으로 등장하는데 구름이가 조윤에게 잡혀 소멸되어갈 때 김수현의 회상에서 복사구름은 카드일 뿐이니 생명력을 잃으면 소멸될 거라는 이야기, 그리고 거래 카드를 자신에게 쓰게 된다면 타인에게 썼을 때처럼 효과는 같을 것이고, 그 상태에서 엘릭서가 적용된다면 소멸되었던 잠재력, 두뇌가 원상복구된다는 답변을 들었다.

조윤 편에서도 조윤이 영접 카드를 쓸 때 등장한다. 꽤나 친절했던 김수현과의 첫만남과는 다르게 조윤을 경계하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이후 조윤이 마지막 퀘스트가 뭐냐는 말을 했을 때 일단 강북을 통합하고 나면 알려주겠다고 하는 것을 보아 강북통합이 최종 퀘스트가 아님이 밝혀졌다. 이후 조윤은 강북통합 퀘스트를 진행하지만 김수현에게 패배하여 모두 몰수당하고 자살로 생을 마감한다. 결국 마지막 퀘스트는 조윤이 아닌 김수현이 받게 되었으나 정작 영접 카드가 없어서 챌린저 카드를 만나지 못해 곤란해져버린다.

이후 서브 퀘스트로 강석으로 쓰러트리며 김수현이 영접 카드를 획득하였고 마지막 대화를 시작한다.

[스포일러]

챌린저카드는 자신도 사람이라고 말하며 퀘스트를 진행하다가 이젠 퀘스트를 주는 사람이 되었다고 밝힌다. 그리고 왜 조윤이 선택됐는지 언급하는데 똑똑하고 자신만의 플레이로 정점에 올랐기에 골랐다고 했다. 하지만 너무 악했고 김수현은 조윤을 막기위해 선택한 것이라고 한다.[2] 그리고 곧 자신을 만날수 있다고 말한다.

4. 능력

기본적으로 조윤과 김수현의 퀘스트를 통한 초능력들은 모두 챌린저 카드에게서 오는 걸로 보인다.

다만 조윤으로부터 능력을 빼앗지 않고 굳이 김수현이라는 새로운 능력자를 탄생시켜 그를 막으려 드는걸 보면 이미 지급한 능력을 퀘스트 실패외에 다시 빼앗는 것은 불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아무리 신적 존재라 해도 한계는 있는셈.

챌린저 카드도 싸움에 사용할 수 있는 카드라는 추측이 있다. 의문의 목소리가 첫만남때 싸움을 두려워하는 김수현을 현혹하면서 다이아, 마스터 카드와 함께 챌린저 카드도 함께 언급되었기 때문. 만약 사실이라면 능력치를 흡수하거나 원하는 카드를 구입할 수 있는 마스터 카드보다 압도적인 성능을 자랑하는 터무니없는 카드일 것으로 추측된다.
==# 정체에 관한 추측 #==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챌린저 카드의 정체가 인간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지며 댓글 및 커뮤니티 등지에서 여러 추측들이 생겨나기 시작하게 되었다.
  • 김갑룡이라는 설. 챌린저 카드의 정체가 김갑룡이라는 설이다. 이 경우 김갑룡의 비현실적인 신체능력과 이해할 수 없는 기술들이 퀘스트의 영향이었다는 식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다만, 그렇다면 어째서 퀘스트의 대상지가 하필 강북이었는지, 왜 퀘스트의 대상자가 하필 조윤이었는지가 해명되지 않으며, 김갑룡의 선한 성격과 반대로 퀘스트의 능력은 충분히 악용될 여지가 넘쳐나는데 이 역시 맞아떨어지기가 힘들다.
  • 야마자키 신겐이라는 설. 사망한 야마자키 신겐이 사실 챌린저 카드의 정체라는 설. 야마자키 신겐이 깁갑룡 주먹패를 혼자서 상대했다는 점, 무의식, 흑골 등 각종 사기적 특성들을 보유했었다는 점 등으로 인해 사실 퀘스트의 덕을 봐서 강해질 수 있었던 게 아니냐는 추측이 있으며, 이 경우 유전자가 같은데도 신타로와의 차이가 극명했던 이유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시로오니 에피소드에서 보여진 야마자키 신겐은 퀘스트와 일절 연관이 없었으며, 만약 대한민국을 침탈하고 김갑룡주먹패와 전쟁했던 야마자키 신겐이라면 왜 조윤을 막으려 하고 최총보스를 막으려 하는 등 선한 면모를 보였는지, 왜 강북에 관심을 가지는지가 해명되지 않는다. 또한 정체가 신겐이라면 얼라이드를 도울 이유가 없기도 하다.
  • 큰형석의 본래 의식이라는 설. 누군가가 오고 있으며 이를 막아야 한다고 언급한 점, 둘 다 의식으로만 등장한 점, 주인공의 조력자라는 점으로 인해 큰형석의 본래 의식과 챌린저 카드의 의식이 동일한 인물이 아니냐는 추측이다. 이 경우 큰형석의 육체가 비현실적인 능력을 가진 점, 체형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점, 약물이 통하지 않는 점도 해명될 수 있으나, 이 역시 육체에 잠재적으로 갇혀 있는 의식이 어떻게 강북에 영향을 가지고 어떻게 신적인 능력을 행사할 수 있는지에 대한 부분이 설명되지 않는다.
  • 제 3의 인물이라는 설. 현재 가장 유력한 설이며, 과거 퀘스트를 수행하던 누군가가 퀘스트 보상을 통해 신적인 존재에 오른 것이 아니냐는 설이다. 4개의 가설 중 유일하게 설정오류가 없으며, 현재까지 가장 가능성이 높은 가설 중 하나이다.

5. 인간관계

  • 조윤 - 또 다른 거래 관계. 김수현과 마찬가지로 그에게 퀘스트 능력을 주고 그가 강해질 수 있게 도와주었다.[3] 하지만 김수현과는 달리 조윤에게 가시 돋힌 말을 하는데다가, 그가 강북북고를 제압하고 김수현과 대립하게 되자, 조윤을 제지해서 김수현을 직접 공격하지 못하게 막는다. 132화에서 드디어 조윤이 편애가 끝났다고 말하며 강북통합 퀘스트가 뜨면서, 김수현을 없애기 위해 직접 나선다. 그러나, 갑자기 왜 챌린저 카드가 조윤에 대한 제지를 멈춘지는 불명.[4]

6. 여담

  • 김수현을 조윤에게서 지키려는 행보를 보인다. 19화에선 아예 다른 퀘스트 사용자가 있으나 네가 걱정하는 일은 없을 거라며 확정시켰고, 조윤은 끈질기게 지킨다며 독백하는 등[5] 조윤을 도태시키고 김수현을 밀어주려는 모습이 보인다.
  • 퀘스트지상주의의 최종보스라는 추측이 있다. 유누니 작가가 조윤이 최종보스가 아니라고 언급하며, 김수현과 조윤에게 퀘스트를 준 이유가 무엇인지, 어째서 퀘스트를 통해 얻는 카드가 싸움과 관련된 카드인지, 왜 조윤에게 흡성대법같은 위험한걸 주는지 등등 의문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챌린저카드가 최종보스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추후 챌린저카드가 김수현의 몸에 빙의하거나 다른 육체를 사용해 적이될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folding [ 스포일러 펼치기 · 접기 ]
그러나 172화에서 강석이 김수현을 배신하고 김수현과 싸우게 되면서 그 최종보스는 강석으로 밝혀졌다.}}}
  • 챌린저 카드가 김수현에게 연결시켜준 의문의 목소리에 대한 떡밥이 있는데 아마 퀘스트를 만든 신적인 존재로 추측된다.

[1] 0세대라는 추측이 있다.[2] 이때 김수현은 자신이 착하고 호구여서 선택된 거냐고 물어보기도 하는데 챌린저카드는 너무 솔직하게 그렇다고 한다.[3] 조윤은 챌린저가 김수현을 편애했다고 했으나, 사실 진짜 편애받은것은 오히려 조윤쪽이다. 초반부터 흡성대법, 이세계 수련장같은 강력한 카드를 퍼다주어서 단기간내에 정점에 오를 수 있게 해주었기때문.[4] 챌린저카드의 의도대로라면 김수현이 죠윤과 싸울 수 있을 정도까지의 성장을 위해 마지막까지 막았을 수도 있지만 어느 정도 한계점이 있는듯 하다.[5] 현재 조윤은 본인이 직접 나서서 강북서고를 공격해선 안된다는 내용의 퀘스트를 받고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