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colbgcolor=#000><colcolor=#DDDDDD> 이름 | 지강헌(池康憲) |
| 출생 | 1954년 2월 8일 |
| 전라남도 광주시 (現 광주광역시)[1] | |
| 사망 | 1988년 10월 16일 (향년 34세) |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134 세브란스병원 | |
| 국적 | |
| 본관 | 충주 지씨 |
| 신체 | 170cm, 68kg |
| 범죄유형 | 절도 (현금과 승용차등)(556만원), 상해, 탈옥, 인질극 |
1. 개요
대한민국의 범죄자.2. 특징
1988년 10월 8일 영등포교도소에서 충남 공주교도소로 이감되던 25명 중 12명과 함께 집단탈주하고 서울시내로 잠입하여 10월 15일부터 16일까지 서대문구 북가좌동에서 안광술, 강영일, 한의철 등 3명과 더불어 인질극을 벌이다가 강영일은 협상을 위해 나와 있는 상태에서 지강헌의 위협 사격과 함께 내보내졌고 안광술과 한의철은 총을 빼돌려 집 안에서 자살, 본인도 유리조각으로 목을 찔러 자살을 시도했으며 이 때 돌입한 경찰이 쏜 총에 의해 병원으로 이송 뒤 끝내 과다출혈로 숨졌다.사후 벽제 화장장에서 화장되었다.
유전무죄 무전유죄라는 단어를 대한민국 사회 수면 위로 꺼낸 영등포교도소 집단탈옥 사건의 최후의 5인 중 한 명이다.
"유전무죄! 무전유죄!"
- "낭만적인 바람막이 없이 이 사회에서 목숨을 부지하기에는 너무나 살아갈 곳이 없었다"
- " 어머니 나 있잖아요", "사람이 살아가면서 자기의 뜻대로 살순 없지만 내 마지막 만큼은 내 뜻대로 살겠습니다"
- "이 총은 그 누구도 나에게서 뺏을 수 없어 이건 내 마지막 재산이야"
1988년 인질극 중 외친 발언
- "낭만적인 바람막이 없이 이 사회에서 목숨을 부지하기에는 너무나 살아갈 곳이 없었다"
- " 어머니 나 있잖아요", "사람이 살아가면서 자기의 뜻대로 살순 없지만 내 마지막 만큼은 내 뜻대로 살겠습니다"
- "이 총은 그 누구도 나에게서 뺏을 수 없어 이건 내 마지막 재산이야"
1988년 인질극 중 외친 발언
3. 성장 과정
1954년 전라남도 광주시[2]에서 출생한 그는 불우한 집안에서 5남매 중 막내로 자라났다. 어린 시절 장래희망이 시인인 만큼 섬세한 사람이었으나 아버지, 어머니의 무관심으로 초등학교[3]만 졸업하게 되었으며 이후 공부를 할 기회가 없었던 그가 배운 것이라곤 주먹질과 도둑질뿐이었다.결국 상습절도로 공범 2명과 체포돼 총 17년[4]의 징역을 선고받았다. 당시 그는 이미 이전 전과가 잡 전과까지 합해 총 11범이었다.
4. 영등포교도소 집단탈옥 사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영등포교도소 집단탈옥 사건#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영등포교도소 집단탈옥 사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