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문관광단지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보문호 동부 |
보문상가 · 우양미술관 · 힐튼호텔 경주 · 경주화백컨벤션센터 · 황룡원(중도타워) · 라궁호텔 · 신라밀레니엄파크 · 더케이호텔 경주 · 씨네Q 경주보문 · 한국대중음악박물관 · 경주루지월드 · 코모도호텔 경주 · 소노캄 경주 · 일성경주보문콘도&리조트 · 라한셀렉트 경주 · 보문GC · 경주신라CC | |
보문호 남부 | |
경주월드(캘리포니아 비치) · 경주엑스포대공원(경주타워 · 경주세계문화엑스포문화센터 · 경주세계문화엑스포기념관 · 천마의궁전 · 솔거미술관) · 강동리조트(강동워터파크 · 강동디아너스CC) · 경주 천군동 사지 | |
보문호 서부·북부 | |
보문호 · 명활성 · 경주동궁원(경주버드파크) · 라원(2025년 예정) · 키덜트뮤지엄 · 경주세계자동차박물관 · 한화리조트 경주 · 켄싱턴리조트 경주 · 경주CC | }}}}}}}}} |
중도타워 中道타워 | Jung-do Tower | |
<colbgcolor=#e2bd62><colcolor=#4d3207> 위치 | <colbgcolor=#fff,#1c1d1f>경상북도 경주시 엑스포로 40 (신평동 719-222) |
연면적 | 5,412㎡ |
구조 | 철골콘크리트조 |
높이 / 층수 | 85m / 9층 |
완공 | 2016년 7월 6일 |
소유자 | 재단법인 중도 |
용도 | 전시관, 연수원, 숙박 시설 등 |
1. 개요
경상북도 경주시 신평동 보문관광단지에 세워진 탑 구조물. 2016년에 완공되었다. 경주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황룡사 실물복원이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실질적인 황룡사 재현 체험장소 역할을 하고 있다. [1]겉모습에서 쉽게 알 수 있듯 신라시대에 지어졌던 목조 건축물인 황룡사 9층 목탑에서 모티브를 딴 타워이다. 탑의 탑륜부까지의 높이는 약 85m, 탑의 본 크기는 68m로 실제 황룡사 추정 높이와 유사하게 지어졌다. 실제 황룡사 목탑의 크기가 본탑 65m(183척), 상륜부 15m(42척) 정도로 80m 정도였기 때문에 실제와 거의 흡사하거나 더 큰 크기라고 볼 수 있다.
하필 비슷한 시기에 진짜 황룡사 9층 목탑도 복원 계획 논의가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몇몇 일반인들은 이 타워가 실제 황룡사 목탑을 복원하는 사업으로 착각하기도 하는데, 세워지는 장소도 황룡사지와는 전혀 다른 보문관광단지이고 건축 주체도 동국산업 장상건 회장이 사재를 출연해 설립한 재단법인 중도에서 지은 것이다.
2016년 이후 경주의 새로운 랜드마크 역할과 실질적인 황룡사 체험관광의 장소로 활용되는 중이다.
겉은 목재로 지어졌지만 순수한 목탑으로 복원된 것은 아니고 내부는 철골로 지었다. 기와는 붉은색 계통의 동기와를 사용하였고, 내부 골조를 지탱하는 A필러 철기둥과 창틀부의 목조가 공존하고 있다. 지하 1층~지상 9층, 연면적 5만4천여㎡에 총탑 85m, 내부는 일반에 공개되었는데 1층 전시공간, 2층 숙소, 3층 명상실, 4∼5층 다목적홀, 6∼7층 VIP 숙소, 8층 전망 스카이라운지, 9층 법당으로 꾸몄다.
주소는 경상북도 경주시 엑스포로 40 (신평동)이다.
2. 기타
|
중도타워의 공포부분은 현대 황룡사 9층 목탑의 표준 복원도와는 달리 하앙공포로 묘사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1] 물론 이 건물은 어디까지나 황룡사 목탑의 외형을 추구한 동국제강 그룹의 연수원 겸 숙박시설로써, 공식적인 복원도 아니고 황룡사지에 위치하고 있지도 않다. 그러나 현재 황룡사의 구체적인 설계 외형을 추론할 만한 자료가 부족하고, 황룡사지의 실제 복원에 많은 논란과 부진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이 건물이 황룡사의 모습을 경주 관광객들에게 각인시키는 역할을 하기에는 충분한 역할이다. 또한 설계나 중수 당시 백제 기술자의 참여를 고려한듯 백제식 건축에 가까운 하앙식 공포 구조를 적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