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중세 가톨릭 신학자이자 스콜라 철학자인 안셀무스 대주교가 고안한 하느님 존재증명의 한 가지. 본체론적 증명이라고도 한다.2. 상세
안셀무스는 하느님을 "그것보다 더 위대한 것을 생각할 수 없는 가장 위대한 어떤 것"이라고 정의했다.[1] 그런데, 그것보다 더 위대한 것을 생각할 수 없는 어떤 것은 실제로 존재해야 한다. 왜냐하면 '그것보다 더 위대한 것을 상상할 수 없지만 존재하지 않는 것'보다 '그것보다 더 위대한 것을 상상할 수 없지만 존재하는 것'이 더 위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것보다 더 위대한 것을 생각할 수 없는 어떤 것이 하느님이라면, 하느님은 그 본성상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이것이 안셀무스의 하느님 존재증명의 대략적인 논의이다.이것을 단순하게 도식화한다면,
- 전제1: 하느님은 가장 위대한 것이다.
- 전제2: 가장 위대한 것은 실제로 존재해야 한다.
- 결론: 따라서 하느님은 존재한다.
3. 비판
안셀무스의 증명이 나오자마자 안셀무스와 동시대의 사람인 프랑스 마르무티에의 수도자 고닐로(Gaunilo)는 다음과 같이 안셀무스의 증명을 패러디해서 비판하기도 했다. 이 논증은 '완벽한 섬' 논증이라고 불린다.- ① 그보다 더 근사한 섬을 상상할 수 없는 가장 근사한 섬을 상상해 보라.
- ② 그런 섬은 상상할 수 있으므로 적어도 상상 속에 존재한다.
- ③ 그런데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근사한 섬'보다 '실제로 존재하는 근사한 섬'이 더 근사하다.
- ④ 그렇기 때문에 그보다 더 근사한 섬을 상상할 수 없는 가장 근사한 섬은 실제로 존재해야 한다.
- ⑤ 따라서 가장 근사한 이 섬은 실제로 존재한다.
당시 신학자들 사이에서도 이에 대해 비판을 종종 했다. 가톨릭 신학과 스콜라 철학의 거장인 토마스 아퀴나스조차 "지성은 신의 본성(완전성)에 대한 선험적 인식을 가지고 있지 않다"라고 지적하며 사람들이 '그보다 더 위대한 것을 생각할 수 없는 존재'로 하느님을 생각하는 것은 아니라고 비판한다. 그리스도교는 하느님을 육화하시는 하느님으로 인정하기 때문에, 추상적 개념으로 하느님을 규정하는 것 자체가 부적절하다는 것이다. 이는 설혹 우리가 안셀무스의 논증을 논리적으로 수용한다 해도 이렇게 증명된 신이 정말 그리스도교의 하느님일까라는 물음이 떠오르게 한다.[3]
흄은 존재를 선험적으로 증명할 수는 없다며 비판했고, 러셀의 경우 잘못된 걸 찾아내는 것보다 틀렸다는 걸 알아채는 게 빠르다고 비꼬았다. 칸트의 경우 '존재'는 실체의 '속성'이 아니기 때문에[4] 논리 자체가 넌센스라고 평가하기도 했다.[5] 이후 고틀로프 프레게가 이를 이어받아 언어학적으로 넌센스임을 재차 증명한다. 다만, 근대 철학자들 중에서도 데카르트와 라이프니츠 같은 대륙 합리론 철학자들과 헤겔 같은 경우는 안셀무스의 논증을 지지했다.[6]
오스트레일리아의 철학자 더글라스 개스킹은 '가장 위대한 존재가 하느님이라면, 존재하면서 천지를 창조하는 하느님보다 존재하지도 않으면서 천지를 창조하는 하느님이 더 위대할 것이다. 따라서 하느님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반대의 주장을 하기도 했다.[7]
[1] 여기서 '위대하다'라는 말은 '우월하고 좋은 속성과 능력을 가졌다'라는 의미로 이해하면 된다.[2] 참고로 이에 대해 안셀무스는 "사유 안의 실재에서 실제적 실재성을 추론할 수 있는 경우는 '그것 이상으로 더 큰 것이 없는 존재(완전한 존재)'만이 유일하다"라고 하며 해당 비판이 부당하다고 재반박했다. 쉽게 말해, 실제로 존재한다는 것을 사유를 통하여 증명하는 방법은 신에 대해서만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자신이 신에 대해 적용한 논리는 고닐로가 비유한 섬처럼 경험적이고 한정적인 현실세계가 아닌, 가지적(可知的)이며 절대적인 이데아에만 적용될 수 있다는 말이다. 하지만 오늘날 안셀무스의 재반박은 그다지 성공적인 반박이라고 여겨지지 않는다.[3] 『처음 읽는 중세철학』박남희 외 5명, 동녘(2021), p.174[4] 예를 들어 '100개의 동전'이라는 개념은 상상 속에 있든 실재하든 다를 바가 없으며, 이 '100개의 동전'이 실재한다고 해서 '100개의 동전'이 더욱 완전해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5] 많은 경우 이 중 칸트의 비판을 가장 결정적인 것으로 본다. 중세 시대에는 존재를 속성에서 명확히 구분하지 않았으며 토마스 아퀴나스 역시 부활에 관한 문제를 다룰 때 존재를 속성처럼 취급했다. 다르게 말해 칸트의 비판은 그때까지 상식적으로 통용되던 철학적 개념을 논박한 것으로 철학사적 의의 또한 크다.[6] 현대에도 이 논증을 지지하거나 재해석하려는 시도는 소수이기는 하나 있다.[7] 20년 넘는 시간동안 고작 7번 인용된 논문이라 학계에서 가치있게 여겨지는 주장은 아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