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존 E. 로머(John E. Roemer 1945년 2월 1일 ~ )는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정치학자로, 분배 정의와 정치경제학 분야의 연구로 알려졌다. 2000년부터 미국 예일대학교 정치학 및 경제학과의 석좌교수를 지냈으며, 그 이전에는 1974년부터 2000년까지 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경제학 교수로 재직했다로머는 마르크스주의 경제이론을 현대 분석철학과 사회과학기법으로 재구성한 분석적 마르크스주의 학파의 대표적인 인물 중 한명이었으며, 정의론과 분배적 정의, 마르크스주의 경제학, 게임 이론의 응용기법 등 여러 분야를 아우르는 연구를 하였다.
2. 생애
로머는 1945년 워싱턴 D.C.에서 태어나 밀턴 로머와 법학자 룻 로머 사이에서 자랐다. 1966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수학 학사 학위를 취득한 후, 캘리포니아 대학교/버클리 캠퍼스에서 수학으로 대학원 과정을 시작했으나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을 하면서 시위 활동으로 대학에서 일시적으로 정학 처분을 받았다. 이후 전공을 경제학으로 바꾸었으며 1973년 버클리 캠퍼스로 복학하여 1974년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학위 취득 후 1974년부터 캘리포니아 대학교/데이비스 캠퍼스 경제학과 교수로 임용되어 학계 경력을 시작했다. 2000년에는 예일대학교로 자리를 옮겨 정치학과 경제학을 겸하는 석좌교수가 되었으며, 이후 정년퇴임하였다.3. 사상
로머의 연구는 한가지 분야에만 국한되지 않았고 경제학, 정치철학, 정치학을 넘나들며 여러 정치경제학과 분배 정의의 문제를 게임이론 등의 수리경제학적 도구로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3.1. 분석적 마르크스주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석적 마르크스주의#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석적 마르크스주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표저서 중 하나인 《A General Theory of Exploitation and Class》 (1982) 표지 |
로머는 전통적인 노동가치론에 기초한 착취 이론을 배제하고, 자산 분포에 근거한 새로운 착취 이론을 제시한다. 그가 노동가치론을 배제하는 이유는 그것이 역사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착취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대신 로머는 자산 분포와 게임 이론을 활용하여 착취를 설명한다.
로머는 마르크스 경제이론의 핵심 쟁점인 '착취'를 재해석하는 과정에서, 그 근본이 생산물의 가치가 아니라 자산과 소유 구조에서 비롯되는 권력과 선택적 제약의 비대칭성에 있다고 보았다. 그는 경제 주체들이 보유한 생산수단과 여러 재산들의 거래 가능 집합이 비대칭적이고 불균형하게 배분될 때, 생산 가능성과 소득을 점유하게 되는 상태를 착취로 규정했다. 이런 관점에서 로머에게 노동가치론은 더 이상 착취 개념을 지탱하는 중심축이 되지 않았고, 오히려 재산권의 배분과 사회의 시장 메커니즘이 형성되는 구조적 관계가 착취를 설명하는 방식이 되었다, 따라서 여기서 착취 문제는 가치론의 문제가 아니라 소유관계와 분배 규칙의 문제로 전환된다.[1]
이를 통해 사회주의적 착취 개념 또한 정립하였으며, 만약 사회주의 체제라 하더라도 자원의 분배 과정에서 특정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현저히 유리한 위치를 차지한다면 착취가 발생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2]
이런 관점에서 그는 자본주의와 그밖에 다양한 체제들에서 발생하는 착취와 계급 형성의 메커니즘을 분석하며, 노동시장에 참여하는 방식이 계급 구조를 규정하고 그에 상응하는 착취 관계를 낳는다는 '계급–착취 대응 원리'(Class Exploitation Correspondence Principle)를 이론화했다. 이러한 성과들로 로머는 여러 네오마르크스주의 경제학파와 분석적 마르크스주의 진영에서 중요학자 중 한 사람으로 평가받는다.
3.2. 정의론
그는 나아가 사회 정의론 논의에도 천착했는데 그는 존 롤스와 로널드 드워킨 등의 작업에서 자극을 받아 독자적인 기회균등 이론을 발전시켰고, 이는 여러 나라의 불평등 연구와 정책 평가에 응용되었다. 이러한 분배적 정의 연구의 성과는 그의 저서 『분배 정의 이론들』(Theories of Distributive Justice, 1996)에 집약되었다.3.3. 시장사회주의
이런 관점들을 토대로 이후 존 로머는 시장의 경제적 조정 메커니즘을 대부분 유지하면서도, 자본주의적 계급관계를 제거하려는 시장사회주의 이론을 제시하였다.3.4. 정치적 경쟁
로머는 정치적 경쟁 이론에도 기여 하였다. 그는 선거에서 정당이 단순히 득표 극대화만을 추구한다는 기존의 다운스적 가정에 한계를 지적하였다. 대신 정당이 강경파, 온건파, 개혁파 등 서로 다른 목표를 지닌 계파(faction)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함으로써, 정당 내부에 다양한 이념적 성향이 공존한다는 새로운 정치 균형 이론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연구는 2001년 저서 『정치적 경쟁』(Political Competition: Theory and Applications)으로 출간되었다.4. 기타
[1] Roemer, John E. (1982). 《A General Theory of Exploitation and Class》.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2] Roemer, John E. (1982). 《A General Theory of Exploitation and Class》.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