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전주·완주 | 군산·이리·옥구·익산 | 진안·무주·장수 | 남원·임실·순창 |
| 유기정 | 채영철 | 김광수 | 설인수 | |
| 정읍·김제 | 고창·부안 | |||
| 장경순 김원기 | 박용기 이호종 | |||
| 선거 결과 | ||||
| * 군산·이리·옥구·익산 김현기 사망 (1979.8.16.) * 전주·완주 이철승 사퇴 (1980.7.4.) * 남원·임실·순창 손주항 사퇴 (1980.7.4.) * 진안·무주·장수 최성석 사망 (1980.8.8.) * 전주·완주 유기정 사퇴 (1980.10.4.) | ||||
| ◀ 제9대 제11대 ▶ | }}} }}}}}} | |||
1. 개요
본 항목은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의 전라북도 지역구 선거 결과를 정리하는 항목이다. 선거구는 가나다순이 아니라 지역 선거관리위원회가 설치된 순서로 한다. 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쓰는 공식 발표법이기 때문이다.2. 결과
| 정당 |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 | [[신민당(1967년)| 신민당 ]] | | 무소속 | 합계 |
| 득표 수 | 286,024 | 301,349 | 80,796 | 303,603 | 971,772 |
| 득표율 | 29.43% | 31.01% | 8.31% | 31.24% | 100% |
| 당선자 | 6 | 4 | 0 | 2 | 12 |
| 1위 | 3 | 2 | 0 | 1 | 6 |
| 2위 | 3 | 2 | 0 | 1 | 6 |
-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정말 신기하게 민주공화당 4, 신민당 4, 무소속 4의 황금비율[1]을 완성한 전라북도였으나, 이번엔 민주공화당 6, 신민당 4, 무소속 2를 당선시켰다.
2.1. 전라북도 제1선거구 (전주시·완주군)
| 전라북도 제1선거구 전주시 일원, 완주군 일원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유기정(柳琦諪) | 52,533 | 2위 |
|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 | 27.21% | 당선 | |
| 2 | 이철승(李哲承) | 100,404 | 1위 |
| [[신민당(1967년)| 신민당 ]] | 52.01% | 당선 | |
| 3 | 유충성(柳忠成) | 12,980 | 3위 |
| | 6.72% | 낙선 | |
| 4 | 양윤모(梁潤模) | 10,375 | 5위 |
| | 5.37% | 낙선 | |
| 5 | 임광순(林廣淳) | 12,148 | 4위 |
| | 6.29% | 낙선 | |
| 6 | 조형익(趙馨翼) | 4,573 | 6위 |
| | 2.36%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251,651 | 투표율 78.11% |
| 투표 수 | 196,576 | ||
| 무효표 수 | 3,563 | ||
|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 | [[신민당(1967년)| 신민당 ]] | |
| 유기정 | 이철승 | |
| 결과 | 27.21%(당선) | 52.01%(당선) |
| 전주시 | 22.43%(2위) | 57.10%(1위) |
| 완주군 | 36.76%(2위) | 41.85%(1위) |
2.2. 전라북도 제2선거구 (군산시·이리시·옥구군·익산군)
| 전라북도 제2선거구 군산시·이리시·옥구군·익산군 일원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채영철(蔡榮喆) | 57,779 | 2위 |
|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 | 25.37% | 당선 | |
| 2 | 김현기(金顯基) | 62,622 | 1위 |
| [[신민당(1967년)| 신민당 ]] | 27.50% | 당선 | |
| 3 | 강근호(姜根鎬) | 53,913 | 3위 |
| | 23.67% | 낙선 | |
| 4 | 김중석(金中石) | 8,402 | 6위 |
| | 3.68% | 낙선 | |
| 5 | 오승엽(吳承燁) | 13,594 | 5위 |
| | 5.96% | 낙선 | |
| 6 | 채영석(蔡映錫) | 23,532 | 4위 |
| | 10.33% | 낙선 | |
| 7 | 최기창(崔棋昌) | 7,871 | 7위 |
| | 3.45%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291,640 | 투표율 79.18% |
| 투표 수 | 230,919 | ||
| 무효표 수 | 3,206 | ||
|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 | [[신민당(1967년)| 신민당 ]] | | | |
| 채영철 | 김현기 | 강근호 | 채영석 | |
| 결과 | 25.37%(당선) | 27.50%(당선) | 23.67% | 10.33% |
| 군산시 | 24.11%(2위) | 23.21% | 32.61%(1위) | 8.26% |
| 이리시 | 27.60%(2위) | 33.37%(1위) | 16.93% | 7.64% |
| 옥구군 | 24.97%(2위) | 14.68% | 33.41%(1위) | 16.14% |
| 익산군 | 25.32%(2위) | 36.43%(1위) | 12.76% | 10.34% |
2.3. 전라북도 제3선거구 (진안군·무주군·장수군)
| 전라북도 제3선거구 진안군 일원, 무주군 일원, 장수군 일원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김광수(金光洙) | 33,026 | 1위 |
|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 | 35.66% | 당선 | |
| 2 | 최성석(崔成石) | 23,475 | 2위 |
| [[신민당(1967년)| 신민당 ]] | 25.35% | 당선 | |
| 3 | 이복동(李福同) | 737 | 9위 |
| | 0.79% | 낙선 | |
| 4 | 김덕규(金德圭) | 7,446 | 5위 |
| | 8.04% | 낙선 | |
| 5 | 김봉관(金奉官) | 4,605 | 6위 |
| | 4.97% | 낙선 | |
| 6 | 오상현(吳上鉉) | 13,362 | 3위 |
| | 14.42% | 낙선 | |
| 7 | 이상옥(李相玉) | 1,503 | 8위 |
| | 1.62% | 낙선 | |
| 8 | 이상옥(李相玉) | 5,953 | 4위 |
| | 6.42% | 낙선 | |
| 9 | 허재송(許在松) | 2,496 | 7위 |
| | 2.69%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106,660 | 투표율 87.99% |
| 투표 수 | 93,847 | ||
| 무효표 수 | 1,244 | ||
|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 | [[신민당(1967년)| 신민당 ]] | | ||
| 김광수 | 최성석 | 김덕규 | 오상현 | |
| 결과 | 35.66%(당선) | 25.35%(당선) | 8.04% | 14.42% |
| 진안군 | 27.15%(1위) | 12.81% | 5.25% | 26.17%(2위) |
| 무주군 | 52.64%(1위) | 16.43% | 17.49%(2위) | 5.81% |
| 장수군 | 30.59%(2위) | 51.96%(1위) | 2.47% | 6.52% |
이 선거구에는 이름, 출생지, 출생연도, 심지어 한자까지 똑같은 두명의 이상옥 후보가 출마해 화제를 모았다.
2.4. 전라북도 제4선거구 (남원군·임실군·순창군)
| 전라북도 제4선거구 남원군·임실군·순창군 일원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설인수(薛仁洙) | 54,576 | 1위 |
|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 | 37.33% | 당선 | |
| 2 | 양해준(梁海焌) | 34,314 | 3위 |
| [[신민당(1967년)| 신민당 ]] | 23.47% | 낙선 | |
| 3 | 오연근(吳演根) | 1,486 | 7위 |
| | 1.01% | 낙선 | |
| 4 | 강인원(姜仁遠) | 8,600 | 4위 |
| | 5.88% | 낙선 | |
| 5 | 소병남(蘇秉南) | 4,245 | 6위 |
| | 2.90% | 낙선 | |
| 6 | 손주항(孫周恒) | 37,631 | 2위 |
| | 25.74% | 당선 | |
| 7 | 신순원(申淳元) | 5,331 | 5위 |
| | 3.64%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170,850 | 투표율 87.26% |
| 투표 수 | 149,091 | ||
| 무효표 수 | 2,908 | ||
|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 | [[신민당(1967년)| 신민당 ]] | | |
| 설인수 | 양해준 | 손주항 | |
| 결과 | 37.33%(당선) | 23.47% | 25.74%(당선) |
| 남원군 | 25.89%(2위) | 41.03%(1위) | 15.91% |
| 임실군 | 25.65%(2위) | 8.33% | 56.49%(1위) |
| 순창군 | 71.57%(1위) | 5.82% | 12.08%(2위) |
2.5. 전라북도 제5선거구 (정읍군·김제군)
| 전라북도 제5선거구 정읍군·김제군 일원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장경순(張坰淳) | 51,632 | 1위 |
|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 | 28.02% | 당선 | |
| 2 | 김원기(金元基) | 45,703 | 2위 |
| [[신민당(1967년)| 신민당 ]] | 24.81% | 당선 | |
| 3 | 김기옥(金基玉) | 5,896 | 8위 |
| | 3.20% | 낙선 | |
| 4 | 김택하(金鐸河) | 29,824 | 3위 |
| | 16.19% | 낙선 | |
| 5 | 김형수(金炯洙) | 17,159 | 4위 |
| | 9.31% | 낙선 | |
| 6 | 유창열(柳昌烈) | 4,631 | 9위 |
| | 2.51% | 낙선 | |
| 7 | 이원배(李元湃) | 11,358 | 6위 |
| | 6.16% | 낙선 | |
| 8 | 이의관(李義官) | 6,135 | 7위 |
| | 3.33% | 낙선 | |
| 9 | 이낙도(李洛道) | 11,867 | 5위 |
| | 6.44%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225,645 | 투표율 83.07% |
| 투표 수 | 187,453 | ||
| 무효표 수 | 3,248 | ||
|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 | [[신민당(1967년)| 신민당 ]] | | ||
| 장경순 | 김원기 | 김택하 | 김형수 | |
| 결과 | 28.02%(당선) | 24.81%(당선) | 16.19% | 9.31% |
| 정읍군 | 20.77%(2위) | 35.25%(1위) | 8.22% | 15.37% |
| 김제군 | 36.55%(1위) | 12.53% | 25.56%(2위) | 2.18% |
2.6. 전라북도 제6선거구 (고창군·부안군)
| 전라북도 제6선거구 고창군·부안군 일원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이호종(李昊鍾) | 36,478 | 2위 |
|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 | 28.48% | 당선 | |
| 2 | 진의종(陳懿鍾) | 34,831 | 3위 |
| [[신민당(1967년)| 신민당 ]] | 27.20% | 낙선 | |
| 3 | 김일범(金一凡) | 5,784 | 6위 |
| | 4.51% | 낙선 | |
| 4 | 김종수(金鍾洙) | 7,346 | 4위 |
| | 5.73% | 낙선 | |
| 5 | 박용기(朴龍基) | 36,941 | 1위 |
| | 28.84% | 당선 | |
| 6 | 정균환(鄭均桓) | 6,675 | 5위 |
| | 5.21%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154,494 | 투표율 84.28% |
| 투표 수 | 130,212 | ||
| 무효표 수 | 2,157 | ||
|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 | [[신민당(1967년)| 신민당 ]] | | |
| 이호종 | 진의종 | 박용기 | |
| 결과 | 28.48%(당선) | 27.20% | 28.84%(당선) |
| 고창군 | 34.43%(2위) | 35.10%(1위) | 18.58% |
| 부안군 | 21.54%(2위) | 17.97% | 40.83%(1위) |
[1] 그것도 1등 당선자와 2등 당선자까지 모두 각각 2명 씩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