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4 13:12:19

고창군·부안군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고창군/정치
#!if 문서명2 != null
, [[부안군/정치]]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전라북도 휘장_White.svg 전라북도 제19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전주 완산 갑 전주 완산 을 전주 덕진 군산
김윤덕 이상직 김성주 김관영
익산 갑 익산 을 정읍 남원·순창
이춘석 전정희 유성엽 강동원
김제·완주 진안·무주·장수·임실 고창·부안
최규성 박민수 김춘진
선거 결과
}}}
비례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폐지된 국회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고창군·부안군
고창군, 부안군
高敞郡·扶安郡
Gochang―Buan
}}}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99,797명 (2012)
상위 행정구역 전라북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고창군 전역
고창읍, 고수면, 아산면, 무장면, 공음면, 상하면, 해리면, 성송면, 대산면, 심원면, 흥덕면, 성내면, 신림면, 부안면
부안군 전역
부안읍, 주산면, 동진면, 행안면, 계화면, 보안면, 변산면, 진서면, 백산면, 상서면, 하서면, 줄포면, 위도면
신설년도 1973년, 2000년
이전 선거구 고창군, 부안군
폐지년도 1981년, 2016년
이후 선거구 정읍시·고창군
김제시·부안군


1. 개요

전라북도 고창군부안군을 관할했던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고창군 선거구와 부안군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신설되었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전라북도의 선거구 개편이 이루어졌다. 이에 고창군·부안군 선거구는 정읍군·김제군 선거구와 함께 개편이 이루어졌다. 고창군은 정읍군과 함께 정읍군·고창군 선거구를, 부안군은 김제군과 함께 김제군·부안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고창군 선거구와 부안군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신설되었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선거구 개편이 이루어지면서 고창군은 정읍시·고창군 선거구를, 부안군은 김제시·부안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rowcolor=#fff> 대수 당선인 당적 임기
9대 이병옥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
1973년 3월 11일 ~ 1979년 3월 10일
진의종

10대 이호종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
1979년 3월 17일 ~ 1980년 10월 27일
박용기

제16대 정균환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제17대 김춘진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제18대

[[통합민주당(2008년)|
통합민주당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9대

[[민주통합당|
민주통합당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3.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3.1. 제9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제6선거구
고창군 일원, 부안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병옥(李炳玉) 39,684 1위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
34.04% 당선
2 김상흠(金相欽) 23,664 4위


[[신민당(1967년)|
신민당
]]
20.30% 낙선
3 김정기(金正基) 24,655 3위


21.15% 낙선
4 진의종(陳懿鍾) 28,545 2위


24.49% 당선
선거인 수 159,559 투표율
74.79%
투표 수 119,338
무효표 수 2,790

3.2.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제6선거구
고창군·부안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호종(李昊鍾) 36,478 2위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
28.48% 당선
2 진의종(陳懿鍾) 34,831 3위


[[신민당(1967년)|
신민당
]]
27.20% 낙선
3 김일범(金一凡) 5,784 6위


4.51% 낙선
4 김종수(金鍾洙) 7,346 4위


5.73% 낙선
5 박용기(朴龍基) 36,941 1위


28.84% 당선
6 정균환(鄭均桓) 6,675 5위


5.21% 낙선
선거인 수 154,494 투표율
84.28%
투표 수 130,212
무효표 수 2,157

3.3.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고창군·부안군
고창군 일원, 부안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백용(李伯龍) 2,288 5위

[[한나라당|
한나라당
]]
3.17% 낙선
2 정균환(鄭均桓) 50,873 1위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
70.63% 당선
3 김손(金孫) 2,878 4위


[[자유민주연합|
자유민주연합
]]
3.99% 낙선
4 김경민(金京旼) 8,241 2위


11.44% 낙선
5 김종엽(金鍾葉) 5,897 3위


8.18% 낙선
6 오인석(吳寅錫) 1,849 6위


2.56% 낙선
선거인 수 114,266 투표율
64.32%
투표 수 73,491
무효표 수 1,465

3.4.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고창군·부안군
고창군 일원, 부안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준(金埈) 1,221 5위


[[한나라당|
한나라당
]]
1.89% 낙선
2 정균환(鄭均桓) 19,204 2위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
29.85% 낙선
3 김춘진(金椿鎭) 23,328 1위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
36.26% 당선
4 김영두(金榮斗) 563 7위


[[자유민주연합|
자유민주연합
]]
0.87% 낙선
5 김경민(金京旼) 10,575 3위


16.43% 낙선
6 김옥현(金玉鉉) 1,091 6위


1.69% 낙선
7 김주섭(金柱燮) 7,787 4위


12.10% 낙선
8 조민구(趙敏究) 562 8위


0.87% 낙선
선거인 수 106,145 투표율
61.81%
투표 수 65,607
무효표 수 1,276

3.5.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고창군·부안군
고창군 일원, 부안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춘진(金椿鎭) 35,662 1위


[[통합민주당(2008년)|
통합민주당
]]
77.41% 당선
2 김종훈(金鍾勳) 6,571 2위


[[한나라당|
한나라당
]]
14.26% 낙선
6 서동주(徐東柱) 3,833 3위


[[평화통일가정당|
평화통일가정당
]]
8.32% 낙선
선거인 수 100,245 투표율
47.18%
투표 수 47,292
무효표 수 1,226
||<-8><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419639><bgcolor=#419639> 18대 총선 전북 고창군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통합민주당 한나라당 평화통일
가정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김춘진 김종훈 서동주
득표수
(득표율)
17,958
(77.76%)
2,184
(9.46%)
2,953
(12.79%)
+ 15,005
(△64.97)
23,737
(47.73%)
고창읍 72.19% 10.43% 17.38% △54.81 42.40%
고수면 80.33% 9.31% 10.36% △69.97 48.66%
아산면 76.54% 9.95% 13.51% △63.03 47.82%
무장면 79.34% 8.10% 12.55% △66.89 46.72%
공음면 80.83% 6.90% 12.27% △68.56 46.99%
상하면 80.02% 7.98% 12.01% △68.01 49.43%
해리면 71.56% 11.37% 17.06% △50.19 49.97%
성송면 79.54% 9.38% 11.09% △68.45 51.76%
대산면 87.61% 6.34% 6.05% △81.27 47.57%
심원면 79.81% 8.51% 11.68% △68.13 46.01%
흥덕면 79.02% 10.97% 10.01% △68.05 48.27%
성내면 83.24% 8.75% 8.00% △74.49 46.54%
신림면 79.09% 8.23% 12.68% △66.41 48.16%
부안면 81.13% 9.51% 9.36% △71.62 50.48%
후보 김춘진 김종훈 서동주 격차
부재자투표 74.98% 13.25% 11.77% △61.73
||<-8><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419639><bgcolor=#419639> 18대 총선 전북 부안군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통합민주당 한나라당 평화통일
가정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김춘진 김종훈 서동주
득표수
(득표율)
17,704
(77.07%)
4,387
(19.10%)
880
(3.83%)
+ 13,317
(△57.97)
23,555
(46.63%)
부안읍 75.94% 20.74% 3.33% △55.20 40.33%
주산면 79.10% 17.43% 3.47% △61.67 50.53%
동진면 80.01% 16.45% 3.53% △63.56 49.41%
행안면 74.70% 22.53% 2.77% △52.17 50.00%
계화면 81.97% 13.89% 4.14% △68.08 43.92%
보안면 73.75% 22.69% 3.56% △51.05 52.44%
변산면 73.51% 21.59% 4.90% △51.93 42.39%
진서면 71.53% 23.32% 5.14% △48.21 47.24%
백산면 83.00% 14.03% 2.97% △68.97 52.33%
상서면 81.19% 14.59% 4.22% △66.61 49.37%
하서면 78.93% 16.73% 4.34% △62.20 44.16%
줄포면 74.22% 21.72% 4.06% △52.49 49.91%
위도면 74.15% 20.94% 4.91% △53.21 37.16%
후보 김춘진 김종훈 서동주 격차
부재자투표 76.76% 18.83% 3.83% △57.92

3.6.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고창군·부안군
고창군 일원, 부안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2 김춘진(金椿鎭) 23,097 1위


[[민주통합당|
민주통합당
]]
39.34% 당선
6 김만균(金萬均) 15,782 3위


26.88% 낙선
7 김종규(金宗奎) 19,819 2위


33.76% 낙선
선거인 수 99,797 투표율
60.23%
투표 수 60,108
무효표 수 1,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