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6 10:08:13

정읍군·김제군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김제시/정치
#!if 문서명2 != null
, [[정읍시/정치]]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폐지된 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정읍군·김제군
정읍군, 김제군
井邑郡·金堤郡
Jeongeup―Gimje
}}}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상위 행정구역 전라북도
관할 구역 [[정읍시|{{{#373a3c,#ddd 정읍군}}}]] 전역, [[김제시|{{{#373a3c,#ddd 김제군}}}]] 전역
신설년도 1973년
이전 선거구 정읍군, 김제군
폐지년도 1981년
이후 선거구 정읍군·고창군, 김제군·부안군
1. 개요2.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역대 선거 결과

1. 개요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정읍군 선거구김제군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신설되었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전라북도의 선거구 개편이 이루어졌다. 이에 정읍군·김제군 선거구는 고창군·부안군 선거구와 함께 개편이 이루어졌으며 정읍군고창군과 함께 정읍군·고창군 선거구를, 김제군부안군과 함께 부안군·김제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다만 부안군-고창군으로 선거구가 획정된 것에 대해 민주공화당 내에서 부안군 출신 국회의원이면서 무임소장관을 역임한 이병옥의 존재와 민주공화당 내에서 김제군 출신 국회의원이면서 국회부의장을 역임한 다른 거물 장경순의 존재로 인하여 생활권 측면에서 더 타당한 방안인 김제군-부안군, 정읍군-고창군으로 하지 않았다는 내 논에 물대기 격인 행위이자 자의적 선거구 획정이라는 비판이 있었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역대 선거 결과

<rowcolor=#fff> 선거 당선인 당적 임기
9대 김택하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장경순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
10대 장경순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
1979년 3월 17일 ~ 1980년 10월 27일
김원기

[[신민당(1967년)|
신민당
]]

2.1. 제9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제5선거구
정읍군 일원, 김제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장경순(張坰淳) 38,096 2위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
22.83% 당선
2 은종숙(殷鍾淑) 12,497 5위


[[신민당(1967년)|
신민당
]]
7.49% 낙선
3 유갑종(柳甲鐘) 37,397 3위
[include(틀:민주통일당)] 22.41% 낙선
4 김택하(金鐸河) 44,319 1위


26.56% 당선
5 송정덕(宋正德) 9,197 6위


5.51% 낙선
6 정영환(丁永煥) 25,337 4위


15.18% 낙선
선거인 수 234,530 투표율
72.00%
투표 수 168,866
무효표 수 2,023

2.2.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제5선거구
정읍군·김제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장경순(張坰淳) 51,632 1위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
28.02% 당선
2 김원기(金元基) 45,703 2위


[[신민당(1967년)|
신민당
]]
24.81% 당선
3 김기옥(金基玉) 5,896 8위


3.20% 낙선
4 김택하(金鐸河) 29,824 3위


16.19% 낙선
5 김형수(金炯洙) 17,159 4위


9.31% 낙선
6 유창열(柳昌烈) 4,631 9위


2.51% 낙선
7 이원배(李元湃) 11,358 6위


6.16% 낙선
8 이의관(李義官) 6,135 7위


3.33% 낙선
9 이낙도(李洛道) 11,867 5위


6.44% 낙선
선거인 수 225,645 투표율
83.07%
투표 수 187,453
무효표 수 3,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