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5 01:54:43

제주시 공영버스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 버스 회사
공영버스
(제주·서귀포)
관광지순환버스 극동여객
금남여객 동복리사무소 동진여객
삼영교통 삼화여객 서귀포운수
우도사랑
협동조합
제주여객 제주특별자치도관광협회
추자교통
제주시 교통행정과(공영버스)
<colbgcolor=#555555><colcolor=#FFF> 설립일 2003년 8월 23일
업종명 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 고석건
보유 대수 55대
주소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수목원서길 17(노형동)

1. 개요2. 역사3. 특징4. 보유 차고지5. 면허 체계6. 운행 노선7. 현재 보유 차종8. 과거 보유 차종

1. 개요

파일:705사기도색똥차.jpg 파일:옵서버스.jpg
지선버스
705번
지선버스
791번

제주특별자치도버스 회사이다. 2000년대 초반에 한일여객과 대화여객이 운행을 중단하자 제주시 시내버스를 운행하기 시작한 회사이며 제주시 교통행정과에서 직접 관리한다.

2. 역사

  • 2003년 8월 23일 면허 등록.
  • 2003년 9월 20일 제주시 공영버스 17대 운행.
  • 2005년 5월 8대 증차.
  • 2007년 8월 3대 증차.(초저상 버스 BS110 도입)
  • 2017년 8월 26일 제주특별자치도 시내버스 개편에 따라 제주시내 운행 노선 철수[1]와 읍면지선 운행.
  • 2024년 8월 1일 도심급행버스 300번, 301번 삼영교통, 극동여객으로 이관 후 차량 잔여분으로 705번 신설.

3. 특징

주로 민영 회사들이 운행을 꺼리는 읍면지선 노선을 운행 중에 있다. 또한 공영버스 기사들은 시간선택제 임기제 공무원 신분이 거의 절반에 육박하며, 그 다음으로 공무직원, 기간제 노동자 순으로 분포하고 있다.

4. 보유 차고지

  • 차고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수목원서길 17 (노형동 568)

5. 면허 체계

  • 제주 79자 60##, 72## , 74##

6. 운행 노선

  • 701번 조천체육관 - 교래리 - 조천체육관
  • 702번 조천체육관 - 와흘리(전원마을) - 조천체육관
  • 704번 조천체육관 - 선흘2리 - 조천체육관(704-1, 2)
    조천체육관 - 선인리(멍중내) - 조천체육관(704-3)
    조천체육관 - 덕천리 - 송당리(704-4)
  • 705번 신사동 - 조천 - 첨단 - 제주대 - 월평
  • 711번 김녕리 - 비자림 - 세화리 - 해녀박물관(711-1)
    김녕리 - 만장굴 - 세화리 - 종달리 - 종달항(711-2)
  • 771번 고산환승정류장 - 조수1리 - 동광환승정류장(771-1)
    고산환승정류장 - 산양리 - 동광환승정류장(771-2)
  • 772번 고산환승정류장 - 저지리사무소 - 신창환승정류장 - 고산환승정류장(순환)
  • 783번 한림체육관 - 금악리 - 동광환승정류장(783-1)
    한림체육관 - 이시돌단지 - 동광환승정류장(783-2)
  • 784번 한림체육관 - 저지리 - 동광환승정류장(784-1)
    한림체육관 - 청수리 - 동광환승정류장(784-2)
  • 785번 한림체육관 - 저지리 - 조수리 - 한경면사무소
  • 791번 성수동 - 하귀하나로마트 - 항몽유적지 - 고성1리사무소 - 유수암단지 - 하귀하나로마트 - 성수동
  • 792번 성수동 - 하귀하나로마트 - 장전리사무소 - 유수암단지 - 하귀하나로마트 - 성수동
  • 793번 애월하나로마트 - 장전초등학교 - (유수암리) - 광령리 - 하귀하나로마트(793-1)
    애월하나로마트 - 수산리사무소 - 하귀하나로마트 - 성수동(793-2)
  • 794번 애월하나로마트 - 납읍리 - 어음2리사무소(794-1)
    애월하나로마트 - 납읍리 - 어음1리사무소 - 애월하나로마트(794-2)
  • 795번 하귀하나로마트 - 하귀초등학교 - 애월하나로마트 - 금성리경로당 - 애월하나로마트 - 하귀초등학교 - 하귀하나로마트

7. 현재 보유 차종

7.1. 현대자동차

7.2. 자일대우버스

7.3. 우진산전

8. 과거 보유 차종

8.1. 자일대우버스

8.2. 현대자동차


[1] 제주시내 지역으로 들어가는 노선은 운행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