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9 12:57:21

제왕(유희왕 러시 듀얼)


유희왕 러시 듀얼테마 일람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ㄱ]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가제트(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기동배비 기어 스타트 일러스트.png
가제트]]
[[갤럭티카(유희왕)|
파일:갤럭티카 오블리비언 일러스트.png
갤럭티카]]
[[곤둔인충|
파일:EvasiveChaosNinsectBewitchingFluteAgeha-OW.png
곤둔인충]]
[[괴의|
파일:天堂始終の面妖姫.png
괴의]]
[[기아스(유희왕)|
파일:환영 드라기아스 일러스트.png
기아스]]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ㄴ]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낙오자(유희왕)|
파일:낙오자 모임마 일러스트.jpg
낙오자]]
[[네오 스페이시언(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N・アクア・ドルフィン(RD).png
네오 스페이시언]]
[[네크메이드|
파일:네크메이드 루커 일러스트.png
네크메이드]]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ㄷ]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다이스(유희왕)|
파일:다이스마이트걸 치로리 일러스트.png
다이스]]
[[다이안 켓|
파일:역옥의 신 다이안 켓 일러스트.jpg
다이안 켓]]
[[다크니스(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다크니스 제로로그 일러스트.png
다크니스]]
[[다크매터(유희왕)|
파일:다크매터 엠페러 드래곤 일러스트.png
다크매터]]
[[더☆|
파일:더☆드라기아스타.png
더☆]]
[[데몬(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ArchfiendsIncarnation-DBR-JP-VG-artwork.png
데몬]]
[[드래고닉(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드래고닉 슬레이어 일러스트.png
드래고닉]]
[[드라코(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DracotheTiny-DBR-JP-VG-artwork.png
드라코]]
[[드래곤즈|
파일:드래곤즈 킥베이스 마스터 일러스트.jpg
드래곤즈]]
[[등번호(유희왕)|
파일:C등번호39 구아황 홈플레이트 일러스트.png
등번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ㄹ]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라브(유희왕)|
파일:라브 엔젤 일러스트.png
라브]]
[[라이스테라스|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라이스테라스]]
[[라이온(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슈퍼 워 라이온 일러스트.png
라이온]]
[[라이징 히어로|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라이징 히어로]]
[[라이트닝(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F6ipsbja4AAueBq.png
라이트닝]]
[[레온(유희왕)|
파일:역린화참 일러스트.png
레온]]
[[레전드(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파일:그랜드 레전드 프리스트 일러스트.png
레전드]]
[[로드 매직|
파일:로드 매직-익스플로전 일러스트.jpg
로드 매직]]
[[로얄데먼즈|
파일:로얄데먼즈 헤비메탈 일러스트.jpg
로얄데먼즈]]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ㅁ]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마그넷 워리어(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결속의 전사 마그넷 발키리온 일러스트.jpg
마그넷 워리어]]
[[마장(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마장 야메룰러 일러스트.jpg
마장]]
[[매그넘 오버로드|
파일:초마기신 매그넘 오버로드.jpg
매그넘 오버로드]]
[[메테오(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메테오 블랙 마르스드래곤 일러스트.png
메테오]]
[[몽중|
파일:DeliriumSilbyx-OW.png
몽중]]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ㅂ]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반골(유희왕)|
파일:GSwemjaagAAdYPO.png
반골]]
[[밴드그룹|
파일:기프트타리스트 일러스트.png
밴드그룹]]
[[버스터 블레이더(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버스터 블레이더]]
[[버블리|
파일:올나잇피버 일러스트.png
버블리]]
[[베리프레쉬|
파일:ベリーフレッシュハピネスハーベスト.png
베리프레쉬]]
[[보이드베르그|
파일:보이드베르그 레퀴엠 일러스트.png
보이드베르그]]
[[붉은 눈(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흑룡의 노호 일러스트.jpg
붉은 눈]]
[[블랙 매지션(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파일:흑 마 도 향 탄 일러스트.png
블랙 매지션]]
[[비밀수사관(유희왕)|
파일:F0rWqcqacAIcox6_waifu2x_photo_noise3_scale.png
비밀수사관]]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ㅅ]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사견(유희왕)|
파일:사견무투신 시바 일러스트.png
사견]]
[[사영 다크 루커(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파일:사영 다크 루커 일러스트.png
사영 다크 루커]]
[[사이버(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사이버 러시 드래곤 일러스트.jpg
사이버]]
[[사이버스파이스|
파일:사이버스파이스 퀸시나몬 일러스트.png
사이버스파이스]]
[[사이킥비트|
파일:채광의 프리마기타나 일러스트.png
사이킥비트]]
[[샤먼 밴디트|
파일:풍채의 프로퍼시프레이즈.png
샤먼 밴디트]]
[[샤인(유희왕)|
파일:칠흑 샤인왕G 아크토크 일러스트.png
샤인]]
[[성전기|
파일:악성의 인도 일러스트.jpg
성전기]]
[[세븐즈로드|
파일:마스터 오브 세븐즈로드 일러스트.jpg
세븐즈로드]]
[[세레모니얼|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세레모니얼]]
[[셀레브로즈|
파일:셀레브로즈 럭셔리 매지션즈.png
셀레브로즈]]
[[소서러(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다크 소서러 일러스트.jpg
소서러]]
[[수기계|
파일:수기계의 왕 캐터펄트 데빌콩 일러스트.png
수기계]]
[[스타즈핸드|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스타즈핸드]]
[[스타캣|
파일:FkBAaBqVEAAXOx7_waifu2x_photo_noise3_scale.png
스타캣]]
[[스페이스(유희왕)|
파일:홀로스페이스 위그드라고 일러스트.png
스페이스]]
[[썬더비트|
파일:썬더비트 게인 일러스트.png
썬더비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ㅇ]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아츠엔젤|
파일:아츠엔젤 메탈포지션 일러스트.png
아츠엔젤]]
[[악희|
파일:악희의 배급풍 일러스트.png
악희]]
[[암석(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암석]]
[[앙갱|
파일:GracePrincessKana-DBR-JP-VG-artwork.png
앙갱]]
[[애니매지카|
파일:AnimagicaShooter-OW.png
애니매지카]]
[[액셀원더|
파일:High Magic - Double Acceleration.png
액셀원더]]
[[앤틱 기어(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앤틱 기어 티라노 일러스트.png
앤틱 기어]]
[[양계(유희왕)|
파일:마법양녀 메에~구양 일러스트.png
양계]]
[[어비스(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심연룡신 어비스 포세이도라 일러스트.png
어비스]]
[[어비스카이트|
파일:어비스카이트 미라클걸즈 일러스트.png
어비스카이트]]
[[어시스턴트(유희왕)|
파일:HP 어시스턴트 아치 일러스트.png
어시스턴트]]
[[엑스큐티|
파일:엑스큐티 스크램블! 일러스트.png
엑스큐티]]
[[엘리멘틀 히어로(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E・HERO シャイニング・フレア・ウィングマン(RD).png
엘리멘틀 히어로]]
[[염 마|
파일:염 마의 귀환 일러스트.png
염 마]]
[[용군|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용군]]
[[용기사 가이아(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파일:백전의 패자 가이아.png
용기사 가이아]]
[[음양(유희왕)|
파일:음양극사 쿠즈하 일러스트.jpg
음양]]
[[인조인간(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사이코 쇼커 앰플리파이드 일러스트.png
인조인간]]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ㅈ]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저주받은 하인(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파일:GXWUBZCagAA-FqL.png
저주받은 하인]]
[[저지(유희왕)|
파일:카오스 솔저지 -건조- 일러스트.png
저지]]
[[제라(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파일:ZeratheMant-OW-RUSH.png
제라]]
[[제왕(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엠페러 렐름 일러스트.png
제왕]]
[[조인테크|
파일:조인테크 렉스 일러스트.png
조인테크]]
[[주사위(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주사위의 대천사 일러스트.png
주사위]]
[[주사천사 리리(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파일:GYyrn8pbQAAL2M6.png
주사천사 리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ㅊ]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창구|
파일:선셋리버스 일러스트.png
창구]]
[[천상(유희왕)|
파일:천상루나 키메테라스 일러스트.png
천상]]
[[체어(유희왕)|
파일:쓰론 오브 다크니스 일러스트.png
체어]]
[[초밥천사|
파일:극상초밥천사 아가리브엘 일러스트.jpg
초밥천사]]
[[초시공 전투기(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초시공 전투기]]
[[최강(유희왕)|
파일:최강전기 터프스트라이커 일러스트.png
최강]]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ㅋ]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카오스 솔저(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파일:BlackLusterSoldier-OW.png
카오스 솔저]]
[[카오스(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갤럭티카 카오스 오블리비언 일러스트.png
카오스]]
[[캇파(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캇파대제 리버스라이더 일러스트.png
캇파]]
[[케미스트(유희왕)|
파일:볼카라이징 샐러맨데우스 일러스트.png
케미스트]]
[[케미스펫|
파일:케미스펫 잉코 일러스트.png
케미스펫]]
[[케미칼큐어|
파일:케미칼큐어 퍼플 일러스트.png
케미칼큐어]]
[[코스모스 공주|
파일:PrincessCosmostheTrickster-OW.png
코스모스 공주]]
[[킹스|
파일:킹스 라이트 일러스트.png
킹스]]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ㅌ]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타마(유희왕)|
파일:타마봇 일러스트.png
타마]]
[[투환향|
파일:투환향의 험준 일러스트.png
투환향]]
[[트랜잠(유희왕)|
파일:트랜잠 라이나크-워 투 젠! 일러스트.jpg
트랜잠]]
[[트론(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펨트론 일러스트.png
트론]]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ㅍ]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파랑도(유희왕)|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랑도]]
[[퍼포머(유희왕)|
파일:어뮤지 어노이언스 일러스트 3.png
퍼포머]]
[[푸른 눈(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blue_eyes_vision_dragon_by_orica_cardsbr_dgevqxm-pre.jpg
푸른 눈]]
[[프라임(유희왕)|
파일:트랜잠 프라임 풀아머노바 일러스트.png
프라임]]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ㅎ]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하늘의(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하늘의 가호 일러스트.png
하늘의]]
[[하이브리드라이브|
파일:하이브리드라이브 스크류드라이버 일러스트.png
하이브리드라이브]]
[[하이테크드래곤|
파일:블루 투스 버스트드래곤 일러스트.png
하이테크드래곤]]
[[해피(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HarpieLadyPetMaster-OW.png
해피]]
[[핸디레이디(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파일:핸디레이디 일러스트.png
핸디레이디]]
[[헝그리(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헝그리]]
[[혜뢰|
파일:혜뢰의 정령 일러스트.png
혜뢰]]
[[화면(유희왕)|
파일:화면특인 고기만을 고크부트 일러스트.jpg
화면]]
[[화아(유희왕)|
파일:화아현란 메이카 에트랑제 일러스트.jpg
화아]]
[[환괴|
파일:Fv5_2nnaMAA3dB__waifu2x_photo_noise3_scale.png
환괴]]
[[환인(유희왕)|
파일:환인룡 빌드 드래곤 일러스트.png
환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A~Z, 특수문자]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CAN:D(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파일:CAN-Re:D 일러스트.png
CAN:D]]
[[OTS(유희왕)|
파일:OTS 버스트 오블리비언 일러스트.png
OTS]]
[[P·M|
파일:PlasmaticModelRisingLenoir.png
P·M]]
}}}}}}}}}}}} ||
[ 각주 ]
● 기준은 러시 듀얼 카드 테마 분류에 포함되는 테마 중 공통 효과 시리즈 분류를 제외한 나머지 테마입니다.
● 한국어판 미발매 테마들은 비공식 번역명입니다.
● 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테마의 경우는 미발매 카드 테마 분류를 참조해 주십시오.
게임별 제왕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유희왕 러시 듀얼
제왕
<colbgcolor=#000000> 한국판 명칭 제왕
일본판 명칭 [ruby(帝, ruby=てい)][1] / [ruby(帝王, ruby=ていおう)][2]
영어판 명칭 Monarch (미발매)
속성 종족 관련 카테고리
다양 다양 효과
어드밴스 소환

1. 개요2. 설명3. 역사4. 효과 몬스터
4.1. 레벨 3
4.1.1. 현 제왕가신 추제4.1.2. 현 제왕 근위병4.1.3. 카이저 트리뷰트4.1.4. 룡 제왕가신 드라헤
4.2. 레벨 4
4.2.1. 성 제왕가신 헤베4.2.2. 어드밴스 폼
4.3. 레벨 5
4.3.1. 현 제왕 빌헬4.3.2. 성 제왕 에스트롬4.3.3. 번개 제왕 자보르그 파일:prop3.png4.3.4. 룡 제왕 린드룸
4.4. 레벨 64.5. 레벨 8
4.5.1. 재현 제왕 빌헬4.5.2. 황성 제왕 에스트롬4.5.3. 환룡 제왕 린드룸
5. 마법 카드
5.1. 일반 마법
5.1.1. 제왕의 열선 파일:prop3.png5.1.2. 월경의 제왕5.1.3. 제왕의 개가5.1.4. 어드밴스 임팩트5.1.5. 제왕의 재배
5.2. 필드 마법
5.2.1. 엠페러 렐름
6. 함정 카드
6.1. 제왕의 기재6.2. 제왕의 황탄6.3. 제왕의 등용
7. 참고 카드


1. 개요

유희왕 러시 듀얼의 테마.

2. 설명

OCG의 동명 테마를 모티브로 삼아 OCG 출신 제왕들은 전부 레전드 카드 사양으로 등장하며, 섬광의 오블리비언부터 나오기 시작한 러시 오리지널 제왕들은 환룡족 / 사이버스족 / 갤럭시족이라 유희왕의 시작과 함께하지 않은 종족이다.

OCG 제왕의 어드밴스 소환을 트리거로 효과 발휘 및 제왕의 개선부터는 엑스트라 덱 봉인 등의 컨셉[3]을 공유하고 있다.

러시 듀얼 오리지널 제왕의 경우 능력치가 원본과 다르게 400 포인트 씩 내려가며 필드 마법을 사용하면 OCG와 같아진다. 제왕가신은 800/1000으로 동일. 러시 듀얼은 어드밴스 소환이 쉽기에 소환 자체에 주목하기보다는 최상급의 릴리스 경감, 가신으로 필드를 조정하고 어드밴스해서 파괴 효과를 쓰는 등 필드 컨트롤이 특징이 되었다.

수비력 1000 몬스터라면 테마에 섞을 수 있어 굳이 테마의 추가 지원이 아니라도 조건에 맞는 범용 몬스터를 채용할 수 있다.

유희왕 고 러시!! 코믹스에서는 더☆세츠리가 사이버스족 제왕 시리즈를 사용했다.

정발 번역명은 하필 OCG 제왕 시리즈 중에서도 가장 안 좋은 번역으로 꼽히는 사 제왕 가이우스 형식으로 통일되어 번역되고 있다. 특히 환룡제 라인은 어느 순간부터 번역 통일을 한답시고 두음 법칙조차 안 쓰는 정발 번역 기조에 따라 '룡 제왕' 따위로 번역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3. 역사

현제왕, 성제왕은 OCG 인플레이션의 한 축을 담당했던 원본과는 다르게 적당히 메타에 맞춰진 파괴 효과와 능력치를 지니고 있다. 레벨 5 버전은 다소 심심한 제거 효과를 지니며 레벨 8 버전은 아무 카드나 파괴할 수 있지만 파괴 대상을 자신이 지정할 수 없다. 이 탓에 성능의 한계가 비교적 명확했다.

하지만 제왕의 개선 지원 이후로 사실상 2025년 초반 해피만큼이나 밸런스를 무너뜨리며 압도적 1티어에 올랐다. 대충 돌려도 지나치게 강하다는 평으로, 특히 룡제왕 라인이 상대에게 아드를 주지 않는 회수(가신)&묘지 견제와 약체화를 통한 돌파(룡제)&덱 바운스(환룡제)를 모두 갖추고 있어 정말 강하다. 특히 묘지 견제는 개가도 있기 때문에 묘지에 카드가 남아나질 않는다는 대전 후기가 많다.

4. 효과 몬스터

4.1. 레벨 3

4.1.1. 현 제왕가신 추제

파일:ZusetheWisdomVassal-RDSD0F-JP-C.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현 제왕가신 추제,
일어판명칭=<ruby>賢帝家臣<rp>(</rp><rt>けんていかしん</rt><rp>)</rp></ruby>ツーセ,
영어판명칭=Zuse the Wisdom Vassal <sub>(미발매)<sub>,
속성=어둠, 레벨=3, 공격력=800, 수비력=1000, 종족=사이버스족,
조건=이 카드를 일반 소환한 턴에\, 자신 묘지의 몬스터(수비력 1000) 2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는 자신 묘지의 마법 카드 1장을 고르고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그 후\, 자신은 자신 묘지의 몬스터(레벨 5 이상 / 수비력 1000) 1장을 고르고 패에 넣을 수 있다.)]

헤베와 마찬가지로 상대와 어드벤티지를 교환한다. 마법 카드는 상대의 벽이 되지 않으므로 그 턴에 끝낼 수 있다면 이득만 취할 수 있다. 다만 상대에게 강한 마법 카드를 쥐어 준 채로 턴이 넘어가버리면 역공당할 수 있으니 가능하면 파괴해두자.
수록 시리즈
2023-05-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KP13-JP014 | 閃光のオブリビオン
2025-09-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SD0F-JP010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帝王の凱旋
2023-08-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KP13-KR014 | 섬광의 오블리비언

4.1.2. 현 제왕 근위병

파일:RoyalWisdomGuards-RDKP17-JP-C.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현 제왕 근위병,
일어판명칭=<ruby>賢帝近衛兵<rp>(</rp><rt>けんていこのえへい</rt><rp>)</rp></ruby>,
영어판명칭=Royal Wisdom Guards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속성=어둠, 레벨=3, 공격력=1200, 수비력=1000, 종족=사이버스족,
조건=자신의 덱의 카드가 10장 이상일 경우\, 자신 묘지의 몬스터(공격력 1200 이외 / 수비력 1000) 4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은 1장 드로우한다. 그 후\, 이 카드의 레벨은 턴 종료시까지 2개 올라간다.)]

화염 제왕 근위병의 러시 듀얼 버전. 러시 듀얼화 되면서 현 제왕을 지원하게 됨에 따라 사이버스족으로 변경되었다.

묘지의 본인 이외의 제왕 관련 카드들이 들어가는 공격력 1200이 아닌 수비력 1000 몬스터를 덱으로 돌리고 드로우 한 뒤 레벨을 올려 최상급 제왕들용 더블 코스트 몬스터가 되어 준다.
수록 시리즈
2024-05-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KP17-JP031 | 覚醒のバーストレックス
2025-09-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SD0F-JP013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帝王の凱旋
2024-08-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KP17-KR031 | 각성의 버스트렉스

4.1.3. 카이저 트리뷰트

파일:TributeKaiser-RDSD0F-JP-C.png 파일:TributeKaiser-RDORP2-JP-ORR.png
노멀 오버 러시 레어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카이저 트리뷰트,
일어판명칭=カイザー・トリビュート,
영어판명칭=Kaiser Tribute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땅, 레벨=3, 공격력=800, 수비력=1000, 종족=전사족,
조건=덱 맨 위의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효과 몬스터(레벨 3~8) 1장을 고르고\, 그 레벨을 턴 종료시까지 2 내린다. 그 후\, 자신 묘지의 몬스터(레벨 8 / 공격력 2400 / 수비력 1000) 1장을 고르고 패에 넣을 수 있다.)]

카이저 새크리파이스의 러시 듀얼 버전 리메이크 카드.

상대 몬스터의 레벨을 내리는 것으로 상대 몬스터를 성 제왕 에스트롬의 파괴범위로 끌어들이거나 어드밴스 임팩트의 발동 조건을 완화시키는 한편 최상급 제왕을 회수한다. 다만 정작 회수하는 몬스터들이 레벨 관련 효과가 없어서 효과가 안 맞물리는 감이 있고 효과 발동 조건이 레벨 3~8의 몬스터로 한정되어 퓨전 몬스터가 상주하는 레벨 9, 맥시멈 몬스터가 상주하는 레벨 10, F·G·D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이 있는 레벨 12는 저격할 수 없다는 게 아쉬운 점.
수록 시리즈
2024-04-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ORP2-JP073 | オーバーラッシュパック2
2025-09-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SD0F-JP014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帝王の凱旋
2024-07-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ORP2-KR073 | 오버러시 팩 2

4.1.4. 룡 제왕가신 드라헤

파일:DrachetheDragonVassal-RDSD0F-JP-C.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룡 제왕가신 드라헤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명칭=<ruby>竜帝家臣<rp>(</rp><rt>りゅうていかしん</rt><rp>)</rp></ruby>ドラーヘ,
영어판명칭=Drache the Dragon Vassal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속성=물, 레벨=3, 공격력=800, 수비력=1000, 종족=환룡족,
조건=자신의 엑스트라 덱에 카드가 없을 경우\, 덱 맨 위의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이 카드의 레벨은 턴 종료시까지 2 올린다. 이 턴에\, 자신이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지 않았을 경우\, 추가로 자신 묘지의 "환룡 제왕 린드룸" 또는 "룡 제왕 린드룸" 1장을 고르고 패에 넣을 수 있다.)]

린드룸 휘하의 가신.

앞서나온 가신들과 비교해 특수 소환 관련 제약 및 린드룸만 회수할 수 있는 대신 상대에게 아드를 주지 않고 자체적으로 레벨 5를 달성해 환룡 제왕 린드룸을 비롯한 최상급 제왕을 이 카드만으로 꺼낼 수 있게 해준다.
수록 시리즈
2025-09-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SD0F-JP004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帝王の凱旋
2025-09-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SD0F-JPS04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帝王の凱旋 特典カード

4.2. 레벨 4

4.2.1. 성 제왕가신 헤베

파일:HebetheStarVassal-RDSD0F-JP-C.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성 제왕가신 헤베,
일어판명칭=<ruby>星帝家臣<rp>(</rp><rt>せいていかしん</rt><rp>)</rp></ruby>へーべ,
영어판명칭=Hebe the Star Vassal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속성=빛, 레벨=4, 공격력=800, 수비력=1000, 종족=갤럭시족,
조건=이 카드를 일반 소환한 턴에\, 자신 묘지의 몬스터(수비력 1000) 2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는 자신 묘지의 효과 몬스터(레벨 6 이하) 1장을 고르고\, 자신 필드에 앞면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자신은 자신 묘지의 몬스터(레벨 5 이상 / 수비력 1000) 1장을 고르고 패에 넣을 수 있다.)]

상대와 어드벤티지를 교환하는 효과. 5 레벨의 에스트롬을 가져온다면 상대가 가져온 몬스터를 바로 파괴 가능하고, 8 레벨의 에스트롬 혹은 자보르그를 가져온다면 상대에게 적은 레벨의 몬스터를 던져주는 대신 자신은 상대의 강력한 카드를 파괴하는 것이 가능하다. 관통 계열의 카드와 같이 쓴다면 상대의 강한 몬스터를 돌파 못하는 상황에서 상대를 때릴 곳도 마련할 수 있을 듯.
수록 시리즈
2023-05-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KP13-JP015 | 閃光のオブリビオン
2025-09-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SD0F-JP011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帝王の凱旋
2023-08-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KP13-KR015 | 섬광의 오블리비언

4.2.2. 어드밴스 폼

파일:AdvanceForm-RDKP17-JP-C.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어드밴스 폼,
일어판명칭=アドバンス・フォーム,
영어판명칭=Advance Form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속성=빛, 레벨=4, 공격력=800, 수비력=1000, 종족=갤럭시족,
조건=자신 필드의 카드를 2장까지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묘지의 몬스터를 [이 효과의 조건으로 묘지로 보낸 카드의 수]만큼 고르고 덱으로 되돌린다. 그 후\, 자신 묘지의 "어드밴스 임팩트" 또는 "엠페러 렐름" 1장을 고르고 패에 넣을 수 있다.)]

어드밴스 임팩트 및 엠페러 렐름의 서포트 카드.

쉽게 말해 필드의 카드를 어드밴스 임팩트나 엠페러 렘름으로 치환하면서 그만큼 묘지의 몬스터를 덱으로 돌린다. 어드밴스 임팩트는 사용조건이 워낙 까다롭다보니 보통은 엠페러 렐름 서치 용도로 사용된다.
수록 시리즈
2024-05-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KP17-JP032 | 覚醒のバーストレックス
2025-09-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SD0F-JP012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帝王の凱旋
2024-08-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KP17-KR032 | 각성의 버스트렉스

4.3. 레벨 5

4.3.1. 현 제왕 빌헬

파일:WilheltheWisdomMonarch-RDSD0F-JP-C.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현 제왕 빌헬,
일어판명칭=<ruby>賢帝<rp>(</rp><rt>けんてい</rt><rp>)</rp></ruby>ヴィルヘル,
영어판명칭=Wilhel the Wisdom Monarch <sub>(미발매)<sub>,
속성=어둠, 레벨=5, 공격력=2000, 수비력=1000, 종족=사이버스족,
조건=이 카드를 공격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한 턴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뒷면 표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고르고 확인한다. 그 카드가 마법 카드였을 경우\, 추가로 그 카드를 파괴할 수 있다.)]

후열을 건드릴 수 있는 효과. 함정이라면 파괴 못하지만 정보를 얻었으므로 대책을 세울 수 있다. 마법을 파괴하는 경우에도 다음 턴 상대의 전략을 줄일 수 있으므로 좋다.

이름의 현은 어질 현으로, 현명한 제왕이라는 뜻이다.
수록 시리즈
2023-05-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KP13-JP016 | 閃光のオブリビオン
2024-04-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B241-JP008 | バトルパック2024 Vol.1
2025-09-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SD0F-JP008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帝王の凱旋
2023-08-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KP13-KR016 | 섬광의 오블리비언

4.3.2. 성 제왕 에스트롬

파일:EstrometheStarMonarch-RDSD0F-JP-C.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성 제왕 에스트롬,
일어판명칭=<ruby>星帝<rp>(</rp><rt>せいてい</rt><rp>)</rp></ruby>エストローム,
영어판명칭=Estrome the Star Monarch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속성=빛, 레벨=5, 공격력=2000, 수비력=1000, 종족=갤럭시족,
조건=이 카드를 공격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한 턴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효과 몬스터(레벨 6 이하) 1장을 고르고 파괴한다.)]

효과는 괜찮으나 레벨 7 이상은 파괴 불가능하다. 상대 몬스터의 레벨을 낮추는 카드와 같이 쓰거나, 단순히 최상급 제왕들의 포석으로서 상대의 선택지를 줄이는 용도로 쓰면 좋을 듯.

이름의 성은 별 성으로, 별의 제왕이라는 뜻이다.
수록 시리즈
2023-05-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KP13-JP017 | 閃光のオブリビオン
2024-04-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B241-JP009 | バトルパック2024 Vol.1
2025-09-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SD0F-JP009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帝王の凱旋
2023-08-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KP13-KR017 | 섬광의 오블리비언

4.3.3. 번개 제왕 자보르그 파일:prop3.png

4.3.4. 룡 제왕 린드룸

파일:LindormtheDragonMonarch-RDSD0F-JP-C.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룡 제왕 린드룸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명칭=<ruby>竜帝<rp>(</rp><rt>りゅうてい</rt><rp>)</rp></ruby>リンドルム,
영어판명칭=Lindorm the Dragon Monarch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속성=물, 레벨=5, 공격력=2000, 수비력=1000, 종족=환룡족,
조건=이 카드를 공격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한 턴에\,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 카드가 없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묘지의 카드를 2장까지 고르고 덱으로 되돌린다. 그 후\,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의 효과 몬스터 1장을 고르고 그 공격력 / 수비력을 턴 종료시까지 800 내릴 수 있다.)]

소환 시 상대 묘지의 카드를 덱으로 돌리고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수비력을 낮춘다.

묘지 견제에 더해 타점을 내려 이 카드 단독으로도 2800점까지는 때려잡을 수 있다. 효과 제거는 많치만 타점 싸움을 해야 하면 고전해야 하는 기존 제왕들의 약점을 보완해주는 꽤 좋은 효과이다.

특이하게 기존 버전에서 효과를 강화하거나 조정하는 다른 제왕 진화체와 달리 먼저 공개된 환룡 제왕 린드룸과 상대 카드를 덱으로 돌릴 수 있다는 것 정도를 빼면 효과가 많이 다른데다 이 카드로 타점을 내리고 환룡 제왕을 꺼내면 상대가 높은 확률로 이 카드 때문에 타점이 내려간 카드를 지정할테니 시너지도 썩 좋치 않다.

이름의 룡은 용 룡으로, 용의 제왕이라는 뜻이다.

여담으로 환룡이라는 명칭은 진화체 쪽에 붙는 걸로 설정된 탓에 환룡족이지만 그냥 룡 제왕이다.
수록 시리즈
2025-09-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SD0F-JP003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帝王の凱旋
2025-09-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SD0F-JPS03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帝王の凱旋 特典カード

4.4. 레벨 6

4.4.1. 화염 제왕 테스탈로스 파일:prop3.png

4.4.2. 바람 제왕 라이저 파일:prop3.png

4.4.3. 땅의 제왕 그란마그 파일:prop3.png

4.4.4. 빙제 뫼비우스 파일:prop3.png

4.4.5. 사 제왕 가이우스 파일:prop3.png

4.5. 레벨 8

4.5.1. 재현 제왕 빌헬

파일:WilheltheMegaMonarch-RDSD0F-JP-NPR.png 파일:才賢帝ヴィルヘル(KP13).jpg
패러렐+노멀 오버 러시 레어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재현 제왕 빌헬,
일어판명칭=<ruby>才賢帝<rp>(</rp><rt>さいけんてい</rt><rp>)</rp></ruby>ヴィルヘル,
영어판명칭=Wilhel the Mega Monarch <sub>(미발매)<sub>,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2400, 수비력=1000, 종족=사이버스족,
효과외=이 카드는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5 이상 / 수비력 1000) 1장을 릴리스하고 공격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할 수 있다.,
조건=이 카드를 공격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한 턴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는 자신 필드의 카드 1장을 고른다. 자신은 그 카드를 파괴한다.)]

#!if style="margin:3px 4px; background-color: #000000; border:1px solid #FF0000; color: #FFCE00;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5px; width:90px; text-align: center"
리미트 레귤레이션
#!if OCG
[[리미트 레귤레이션/OCG|{{{#!wiki style=""
'''OCG'''}}}]][[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TCG
[[리미트 레귤레이션/TCG|{{{#!wiki style=""
'''TCG'''}}}]][[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KCG
[[리미트 레귤레이션/KCG|{{{#!wiki style=""
'''KCG'''}}}]][[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마스터듀얼
[[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wiki style=""
'''마스터 듀얼'''}}}]][[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듀얼링크스
[[유희왕 듀얼링크스/금지 및 제한 카드|{{{#!wiki style=""
'''듀얼링크스'''}}}]][[파일:유희왕_제한됨 3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제한됨 3}}}
#!if 리모트듀얼
[[리미트 레귤레이션/TCG#리모트 듀얼|{{{#!wiki style=""
'''리모트 듀얼'''}}}]][[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러시듀얼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wiki style=""
'''러시 듀얼'''}}}]][[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제네시스
[[제네시스 룰|{{{#!wiki style=""
'''제네시스 룰'''}}}]][[파일:유희왕_TCG_Genesys_아이콘_mini.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점}}}

상대가 지정한 카드를 파괴하므로 상대 필드에 카드가 많다면 분명 필요없는 카드를 희생할 것이다. 사전에 상대의 카드를 많이 줄인 다음에 효과를 써보자. 상대 필드에 카드가 1장 뿐이라면 사실상 확정 파괴다.
파일:FvwZndUaAAAKLcq.jpg
설정화

유희왕 고 러시!!에서는 더☆세츠리오도 유히와의 듀얼 중 사용. 현 제왕 빌헬 1장을 릴리스하고 어드밴스 소환된 직후 조인테크 렉스를 파괴시키고[4] 직접 공격했다. 세츠리는 어드밴스 소환 위의 어드밴스를 실행하는 이 카드를 진화하는 어드밴스라 표현했지만, 이를 맞받아치는 유히의 조인테크 히어로에게 파괴당하면서 퇴장, 그리고 나머지 몬스터들의 일제 공격으로 세츠리가 패배하게 되었다.

공격명은 '메가 히트 브레이크(メガヒートブレイク)'. 사용자인 더☆세츠리가 열혈 계열 캐릭터로 나온 탓에 조금 뜬금없는 공격명이 되었다.
수록 시리즈
2023-05-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KP13-JP018 | 閃光のオブリビオン
2025-09-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SD0F-JP007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帝王の凱旋
2023-08-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KP13-KR018 | 섬광의 오블리비언

4.5.2. 황성 제왕 에스트롬

파일:EstrometheMegaMonarch-RDSD0F-JP-NPR.png 파일:煌星帝エストローム(KP13).jpg
패러렐+노멀 오버 러시 레어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황성 제왕 에스트롬,
일어판명칭=<ruby>煌星帝<rp>(</rp><rt>こうせいてい</rt><rp>)</rp></ruby>エストローム,
영어판명칭=Estrome the Mega Monarch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속성=빛, 레벨=8, 공격력=2400, 수비력=1000, 종족=갤럭시족,
효과외=이 카드는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5 이상 / 수비력 1000) 1장을 릴리스하고 공격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할 수 있다.,
조건=이 카드를 공격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한 턴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는 자신 필드의 카드 1장을 고른다. 자신은 그 카드 이외의 자신 또는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고르고 파괴한다.)]

상대가 선택한 것 이외에는 아무거나 파괴 가능하기 때문에 파괴의 범위는 넓다. 다만 분명 상대는 제일 중요한 카드를 지킬 것이기에 파괴의 효력이 크지 않을 수 있음은 주의. 상대 필드에 카드가 1장 뿐이라면 효과를 발동해도 자기 카드만 날아가니 그때는 빌헬을 사용하자.
파일:Fv0FiNjaUAIr3jA.jpg
설정화
수록 시리즈
2023-05-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KP13-JP019 | 閃光のオブリビオン
2025-09-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SD0F-JP006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帝王の凱旋
2023-08-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KP13-KR019 | 섬광의 오블리비언

4.5.3. 환룡 제왕 린드룸

파일:LindormtheMegaMonarch-RDSD0F-JP-C.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환룡 제왕 린드룸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명칭=<ruby>幻竜帝<rp>(</rp><rt>げんりゅうてい</rt><rp>)</rp></ruby>リンドルム,
영어판명칭=Lindorm the Wyrm Emperor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속성=물, 레벨=8, 공격력=2400, 수비력=1000, 종족=환룡족,
효과외=이 카드는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5 이상 / 수비력 1000) 1장을 릴리스하고 공격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할 수 있다.,
조건=이 카드를 공격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한 턴에\,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 카드가 없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는 자신 필드의 카드 2장을 고른다. 자신은 그 중에서 1장을 고르고 주인의 덱으로 되돌린다.)]

러시 듀얼에서 처음으로 OCG의 제왕들의 엑덱 사용 불가 컨셉을 도입했다.

먼저 나온 상급 제왕들처럼 상대에게 선택지를 주고 제거를 한다. 카드 종류 안가리고 덱바운스라는 대응하기 힘든 제거를 하지만 카드가 많이 깔린 상황에선 상대가 가장 타격이 없는 카드들을 선택할테니 사용 타이밍을 잘 잡을 필요가 있다.

룡 제왕 린드룸의 진화 제왕이지만 특이하게 이쪽이 먼저 공개되었다.
수록 시리즈
2025-09-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SD0F-JP002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帝王の凱旋
2025-09-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SD0F-JPS02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帝王の凱旋 特典カード

5. 마법 카드

5.1. 일반 마법

5.1.1. 제왕의 열선 파일:prop3.png

5.1.2. 월경의 제왕

파일:InvasionoftheMonarchs-RDSD0F-JP-C.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월경의 제왕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명칭=<ruby>越境<rp>(</rp><rt>えっきょう</rt><rp>)</rp></ruby>の<ruby>帝王<rp>(</rp><rt>ていおう</rt><rp>)</rp></ruby>,
영어판명칭=Invasion of the Monarchs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조건=없음,
발동효과=자신 묘지의 몬스터(공격력 2000 또는 2400 / 수비력 1000) 1장을 고르고 패에 넣는다.)]

제왕과 같은 능력치의 몬스터를 회수하는 마법 카드. 이 카드와 동시에 출시된 탓에 사 제왕 가이우스에게 턴 제약이 붙었다.
수록 시리즈
2025-09-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SD0F-JP023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帝王の凱旋
2025-09-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SD0F-JPS05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帝王の凱旋 特典カード

5.1.3. 제왕의 개가

파일:TriumphoftheMonarchs-RDSD0F-JP-C.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제왕의 개가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명칭=<ruby>帝王<rp>(</rp><rt>ていおう</rt><rp>)</rp></ruby>の<ruby>凱歌<rp>(</rp><rt>がいか</rt><rp>)</rp></ruby>,
영어판명칭=Triumph of the Monarchs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조건=자신의 엑스트라 덱에 카드가 없을 경우\, 패의 몬스터(공격력 2000 또는 2400 / 수비력 1000)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은 2장 드로우한다. 그 후\, 상대 묘지의 카드를 2장까지 고르고 덱으로 되돌릴 수 있다.)]

제왕 전용 트레이드 인.

상급 위주라서 터질 수 있는 패말림 문제를 해결해주며 드로우에 더해 묘지 견제까지 가능하다.

OCG에서 대응하는 마법, 함정도 없고 최근 지원에선 소외되기까지 했던 어둠 제왕 딜그빛의 제왕 크라이스가 그려져 있다. 효과도 크라이스의 드로우와 딜그의 묘지 견제 효과[5]가 반영된 것이다.
수록 시리즈
2025-09-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SD0F-JP024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帝王の凱旋
2025-09-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SD0F-JPS06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帝王の凱旋 特典カード

5.1.4. 어드밴스 임팩트

파일:AdvanceImpact-RDSD0F-JP-C.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어드밴스 임팩트,
일어판명칭=アドバンス・インパクト,
영어판명칭=Advance Impact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조건=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없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레벨의 합계가 그 몬스터의 레벨과 같아지도록 자신은 패의 몬스터를 묘지로 보낸다. 이 턴에\, 자신이 몬스터를 어드밴스 소환할 경우\,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 대신에 고른 상대의 앞면 표시 몬스터를 릴리스할 수 있다.)]

패에서 묘지로 보낸 카드가 1장이라면, 이 카드까지 합쳐서 2장의 어드밴티지가 소비된다. 여기에 본래 거쳐야 할 릴리스를 상대 몬스터 1장으로 대신한다면 계산상으로는 2:2 교환의 등가교환이 이뤄진다. 다만 레벨이 같아야만 하기에 상황에 따라 여러 장의 패를 소비할 필요가 생길 것이고, 결국 계산상으로는 자신이 손해를 지게 되기도 한다. 그러나 최상급 몬스터나 퓨전 몬스터는 최소 2장 이상의 소비를 들여야 꺼낼 수 있는 만큼 이들을 릴리스한다면 그만큼 상대에게 어드밴티지 손실을 넘길 수 있게 된다. 특히 맥시멈 모드의 맥시멈 몬스터를 릴리스하면 단번에 3장의 카드를 치울 수 있는 셈이 된다.

유희왕 고 러시!! 59화에서 유디아스 벨갸가 사용, 전투와 효과 파괴 내성을 얻은 휘강초룡 데바스타 오케어비스를 이 카드로 초마궤도 매그넘 오버로드의 가운데 파츠를 어드밴스 소환하는 것으로 제거했다. 현실에서는 파괴수 등으로 까다로운 몬스터를 릴리스하는 것으로 제거하는 경우를 심심찮게 볼 수 있지만 보통 높은 공격력으로 오버킬을 달성하는 애니메이션에선 꽤나 드문 제거 방식. 이후 트레몰로가 체포되면서 페이저에게 이 카드의 존재를 알려준 것인지 64화에서 페이저 또한 유디아스와 듀얼을 하면서 자신이 경계한 것은 어드밴스 임팩트라고 독백하기도 했다.
수록 시리즈
2023-05-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KP13-JP046 | 閃光のオブリビオン
2025-09-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SD0F-JP025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帝王の凱旋
2023-08-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KP13-KR046 | 섬광의 오블리비언

5.1.5. 제왕의 재배

파일:CommandoftheMonarchs-RDKP23-JP-OP.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제왕의 재배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명칭=<ruby>帝王<rp>(</rp><rt>ていおう</rt><rp>)</rp></ruby>の<ruby>采配<rp>(</rp><rt>さいはい</rt><rp>)</rp></ruby>,
영어판명칭=By Order of the Monarch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조건=없음,
발동효과=자신 묘지의 효과 몬스터(어둠 속성・빛 속성 / 공격력 800 / 수비력 1000) 1장을 고르고 패에 넣는다.)]

빛 / 어둠 속성의 제왕가신을 회수하는 서포트 카드.
수록 시리즈
2025-11-2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KP23-JP037 | 新星のギアスチャージ

5.2. 필드 마법

5.2.1. 엠페러 렐름

파일:EmperorRealm-RDSD0F-JP-C.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명칭=엠페러 렐름,
일어판명칭=エンペラー・レルム,
영어판명칭=Emperor Realm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조건=이 카드는\, 덱 위에서 카드 2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이 카드가 필드 존에 앞면 표시인 한\, 서로의 필드의 원래의 수비력이 1000인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5 이상)의 공격력은 400 올린다.)]

원래 수비력이 1000인 상급 몬스터의 공격력을 올리는 필드 마법. 제왕 카드군에 해당하는 몬스터를 강화시킬 수 있다. 공격력을 400이나 올릴 수 있는데 이는 러시 듀얼에서 비레전드 제왕의 스탯을 OCG의 제왕 스탯으로 만들 수 있는 수치이다.
수록 시리즈
2023-05-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KP13-JP056 | 閃光のオブリビオン
2025-09-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SD0F-JP026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帝王の凱旋
2023-08-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KP13-KR056 | 섬광의 오블리비언

6. 함정 카드

6.1. 제왕의 기재

파일:MachinationsoftheMonarchs-RDSD0F-JP-C.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제왕의 기재,
일어판명칭=<ruby>帝王<rp>(</rp><rt>ていおう</rt><rp>)</rp></ruby>の<ruby>機才<rp>(</rp><rt>きさい</rt><rp>)</rp></ruby>,
영어판명칭=Machinations of the Monarchs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조건=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5 이상 / 수비력 1000)가 있을 경우\, 상대가 몬스터를 일반 소환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그 일반 소환된 몬스터를 뒷면 수비 표시로 한다. 그 후\, 자신 묘지의 몬스터(레벨 5 이상 / 수비력 1000) 1장을 고르고 패에 넣을 수 있다.)]
수록 시리즈
2023-05-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KP13-JP062 | 閃光のオブリビオン
2025-09-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SD0F-JP031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帝王の凱旋
2023-08-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KP13-KR062 | 섬광의 오블리비언

6.2. 제왕의 황탄

파일:NativityoftheMonarchs-RDSD0F-JP-C.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제왕의 황탄,
일어판명칭=<ruby>帝王<rp>(</rp><rt>ていおう</rt><rp>)</rp></ruby>の<ruby>煌誕<rp>(</rp><rt>こうたん</rt><rp>)</rp></ruby>,
영어판명칭=Nativity of the Monarchs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조건=상대가 몬스터(레벨 8 이하)를 앞면 표시로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때\,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패의 몬스터(레벨 5 이상 / 수비력 1000) 1장을 자신 필드에 앞면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상대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한 그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파괴할 수 있다.)]

상대의 레벨 8이하의 몬스터를 소환할 때 자신의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패의 레벨 5 이상 수비력 1000 즉 제왕 몬스터를 소환하면서 그 상대 몬스터를 파괴한다. OCG의 흑마족 부활의 관처럼 자신과 상대 몬스터 소재로 몬스터를 소환하는 듯한 효과이다.
수록 시리즈
2023-05-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KP13-JP063 | 閃光のオブリビオン
2025-09-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SD0F-JP032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帝王の凱旋
2023-08-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KP13-KR063 | 섬광의 오블리비언

6.3. 제왕의 등용

파일:PerseveranceoftheMonarchs-RDSD0F-JP-C.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제왕의 등용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명칭=<ruby>帝王<rp>(</rp><rt>ていおう</rt><rp>)</rp></ruby>の<ruby>登竜<rp>(</rp><rt>とうりゅう</rt><rp>)</rp></ruby>,
영어판명칭=Perseverance of the Monarchs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조건=상대가 몬스터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묘지의 몬스터(수비력 1000) 3장을 고르고 덱으로 되돌린다. 그 후\,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 카드가 없을 경우\,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파괴할 수 있다.)]

제왕 덱 전용 함정 속으로.

해당 카드와 비교해 코스트가 붙은 대신 특소에도 대응되고 소환한 몬스터가 아니라 다른 몬스터를 터트릴 수도 있다.

특이하게 메인 효과로 회수를 하고 그 뒤 엑스트라 덱이 없으면 파괴 효과를 적용하는 식이다. 효과도 실행할 수 있는 상황이어야 카드를 발동할 수 있기에 묘지 코스트가 필요하다는 점은 변함없다. 일단 엑스트라 덱을 쓰는 구축도 회수용으로 쓸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수록 시리즈
2025-09-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SD0F-JP030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帝王の凱旋
2025-09-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SD0F-JPS07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帝王の凱旋 特典カード

7. 참고 카드

  • 볼로스의 가면
    레벨 6 이하 몬스터의 공격력을 1500으로 고정시키는 트리키한 효과 덕에 특히 미러 매치 덱에서 확실한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 새털라이트솔저
    제왕가신을 비롯한 하급 몬스터를 레벨 5, 6으로 바꿔서 최상급 제왕의 어드밴스 소환을 서포트해준다.
  • 스타 리플레이서
    다른 몬스터가 없는 상태에서 사실상 노 코스트로 하급 몬스터를 되살릴 수 있어 제왕을 꺼내는 데에 큰 도움이 된다. 조건과 발동 후 제약으로 인해 특수 소환이 거의 막히지만, 어드밴스 소환 주축인 본 덱은 큰 영향이 없다는 것이 장점.
  • 스피디 퍼포머
    다른 몬스터에게 400 강화를 부여하고, 조건을 통해 1장 덤핑이 이뤄지니 제왕가신의 효과 서포트가 되어준다.
  • 어메이징 딜러
    조건상 듀얼 극초반에 한정되기는 하지만. 패를 3장 교환해서 덱 회전과 패말림 방지에 도움을 준다. 제왕가신 등으로 묘지 자원을 소모했다면 듀얼 중반 이후라도 효과를 써먹을 기회가 생길 것이다.
  • 을부 고블린
    레벨 6 이하 몬스터의 타점을 올려주는 덕분에 능력치가 아쉬운 제왕들의 전투에 도움을 준다.
  • 프라임 다이안 켓
    릴리스 1장으로 불러낼 수 있는 레벨 8 / 수비력 1000 몬스터로, 1장밖에 릴리스할 수 없는 상황에서 최상급 제왕과 함께 패에 떠도 말리지 않는다는 것이 장점. 그냥 꺼내도 패 코스트 하나로 회복을 시켜주면서 공격력 3500이 되니 전투시에 도움이 되어준다.
  • 트레이드 인, 야마타노츠루기
    전자는 패 말림 방지, 후자는 묘지 재활용과 강화 효과를 어드밴티지 손실 없이 성사시켜준다. 상급 몬스터 비율이 높은 경우 출력은 떨어지겠지만 하늘의 계시도 후보로 꼽을 만 하다.
  • 아룡지옥
    레벨 5 이상의 몬스터를 요구하지만, 상대가 최상급 몬스터를 전개한 직후 타이밍에 제거할 수 있으니 범용성은 높다. 제왕은 어드밴스 소환이 끝나면 사실상 바닐라 신세인 만큼 코스트로 써버려도 아깝지는 않다.

[1] 몬스터 카드의 경우.[2] 마법/함정 카드의 경우.[3] 러시듀얼에서 제왕이 막 등장했을 당시엔 엑덱에 투입되는 게 특정 테마에서만 쓸 수 있는 퓨전 몬스터들이 대부분이라 상관없었지만 매지션 오브 블랙 카오스 등의 준범용 리추얼 몬스터들의 활약을 의식해 도입한 것으로 보인다.[4] 작중에선 자세한 효과 설명이 없었지만 유히의 필드가 렉스뿐이라 선택할 여지가 없었다.[5] 러시 듀얼에는 제외가 없으므로 덱 돌리기로 대체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