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06:31:15

제물이 감춘 폭탄


1. 개요2. 설명
2.1. 원작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2.2.1. 수록 팩 일람
3. 관련 카드

1. 개요

유희왕의 일반 함정 카드.

2. 설명

2.1. 원작

파일:BlastHeldbyaTribute-JP-Manga-DM.png
한글판 명칭 제물 폭탄 (원작)
제물이 감춘 폭탄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일어판 명칭 [ruby(生贄, ruby=いけにえ)]の[ruby(抱, ruby=だ)]く[ruby(爆弾, ruby=ばくだん)]
영어판 명칭 Blast Held by a Tribute
일반 함정
필드의 몬스터 1마리에 폭탄을 장치한다. 그 몬스터를 제물로 소환된 몬스터는 공격하는 순간 파괴되어 그 공격 포인트가 플레이어를 직격한다.

원작 배틀 시티 편 예선전에서 이시즈 이슈타르카이바 세토와의 듀얼 중 사용. 여기서는 지정한 몬스터를 제물로 소환된 몬스터가 공격할 때 발동하며, 공격 몬스터의 공격력 만큼의 대미지를 입히는 카드였다. 파괴할 수 있는 몬스터의 수는 OCG 효과보다 적지만, 피해량은 파괴륜 급으로 흉악하다는 게 차이점.

사용법이 많이 특이한데, 필드에서 발동하기 전에 먼저 대상 몬스터를 지정해놓고, 그 대상으로 제물 소환된 몬스터가 공격 선언을 실행하면 발동할 수 있는 방식이었다. 상대가 이 카드의 효과를 알기 전에 미리 카드의 효과를 사용하는 거라서, 통상적으로 상대도 효과를 볼 수 있는 OCG로는 구현이 힘든 효과.[1][2]

이시즈의 말에 따르면, 이 카드의 폭발은 신이고 뭐고 얄짤없이 터트린다고 한다. 본래 삼환신은 함정 내성이 있어서 어떤 효과라도 통하지 않지만, 이 카드는 어디까지나 삼환신의 제물을 대상으로 한 효과라서 내성을 우회한다는 것이 그 이유. 쉽게 말해서 외부로 들어오는 공격은 먹히지 않으니, 그 내부를 공략해서 터트린다고 보면 된다.

이시즈는 궁지에 몰린 카이바 세토크로스 소울로 자신의 몬스터 3장 이용해 오벨리스크의 거신병을 소환할 것을 예지했고, 미리 세트한 이 카드를 3장 중 하나인 졸가에게 부착하였다. 그렇게 해서 소환된 오벨리스크는 "갓 핸드 크래셔!!!!"를 외치는 순간에 몸에 내장된 폭탄이 기폭하여 장렬하게 파괴되고, 카이바는 효과 데미지 4000을 입고 순식간에 당해버린다는 게 천년 목걸이가 예지한 시나리오였다.

하지만, 한창 듀얼하는 도중에 갑자기 마리크천년 로드가 빛나기 시작했고, 카이바는 그 빛 속에서 자신의 전생으로 추정되는 남자백룡의 석판 앞에서 어떤 여인을 안는 환영을 목격한다.[3] 뜬금없는 이상 현상에 당황한 카이바는 우연히 패에 놀고 있던 백룡 1장을 발견하는데, 그 와중에 백룡이 눈물을 흘리며 울부짖는 환영을 다시 한 번 목격하면서 뭔가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그래서 혹시나 하는 마음에 침묵의 죽은 자로 소생한 가제트 솔저오벨리스크를 통째로 제물로 바치면서, 폭탄의 효과를 무효로 함과 동시에 푸른 눈의 백룡을 제물 소환하여 이시즈를 직접 공격해 역전승하였다.#

이시즈는 자신의 예언을 격파한 모습에 그가 전생의 세토임을 깨닫고 감탄하지만, 이런 전후사정을 알 리가 없었던 유우기 일행은 뜬금없이 신을 제물로 바친 판단에 모두가 당황하는 반응을 보였다. 그도 그럴 것이, 뭘 해도 이기는 상황에서 갑자기 더 약한 놈을 꺼내 농락하는 거나 다름없는 지라...[4]

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파일:card10022042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한글판명칭=제물이 감춘 폭탄,
일어판명칭=<ruby>生贄<rp>(</rp><rt>いけにえ</rt><rp>)</rp></ruby>の<ruby>抱<rp>(</rp><rt>だ</rt><rp>)</rp></ruby>く<ruby>爆弾<rp>(</rp><rt>ばくだん</rt><rp>)</rp></ruby>,
영어판명칭=Blast Held by a Tribute,
효과1=①: 어드밴스 소환된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앞면 공격 표시 몬스터를 모두 파괴하고\, 상대에게 1000 데미지를 준다.)]
어드밴스 소환에 성공한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 앞면 공격 표시 몬스터를 전부 파괴하고 효과 데미지를 주는 효과를 가진 일반 함정.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에 번 효과가 붙은 효과지만, 발동 조건이 까다롭다. 어드밴스 소환 이외의 소환 방법이 환경의 중심이 되어있는 현 상황에서는 사용할 기회가 거의 없고, 어드밴스 소환 위주의 덱을 카운터하고자 한다면 더 직접적인 방해가 가능한 제물봉인 가면이 훨씬 낫다. 게다가 제물봉인 가면은 릴리스 자체를 할 수 없게 만들어서 모든 종류의 릴리스[5]를 막을 수 있다. 반면 이 카드는 어드밴스 소환 성공 후에 공격까지 들어와야 발동할 수 있는데, 빙제 뫼비우스 같이 소환시 발동하는 효과에 휘말려 쓸려나갈 수 있다. 성스러운 방어막이 무제한인 지금 굳이 이 카드를 채용할 이유는 없다.

이름에 제물이 들어가는 건 과거 어드밴스 소환의 이름이 제물 소환이었던 시절의 잔재이다.

2.2.1.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03-02-20 |
[[일본|]][[틀:국기|]][[틀:국기|]] 305-051 | 闇魔界の脅威
2004-09-23 |
[[일본|]][[틀:국기|]][[틀:국기|]] EE1-JP266 | EXPERT EDITION Volume 1
2010-08-03 |
[[일본|]][[틀:국기|]][[틀:국기|]] DT10-JP049 | デュエルターミナル 「インヴェルズの侵略!!」
2016-06-04 |
[[일본|]][[틀:국기|]][[틀:국기|]] DP17-JP036 | デュエリストパック - 王の記憶編 -
2020-12-19 |
[[일본|]][[틀:국기|]][[틀:국기|]] PGB1-JP048 | PRISMATIC GOD BOX SPECIAL PACK
2003-12-01 |
[[미국|]][[틀:국기|]][[틀:국기|]] DCR-104 | DARK CRISIS
2005-03-19 |
[[미국|]][[틀:국기|]][[틀:국기|]] DR1-EN266 | DARK REVELATION Volume 1
2007-12-12 |
[[미국|]][[틀:국기|]][[틀:국기|]] DCR-EN104 | DARK CRISIS (Reprint)
2011-09-29 |
[[미국|]][[틀:국기|]][[틀:국기|]] DT05-EN099 | DUEL TERMINAL 5B
2016-09-16 |
[[미국|]][[틀:국기|]][[틀:국기|]] DPRP-EN034 | DUELIST PACK - RIVALS OF THE PHARAOH -
2019-01-25 |
[[미국|]][[틀:국기|]][[틀:국기|]] SS01-ENB15 | SPEED DUEL STARTER DECK: DESTINY MASTERS
2023-04-21 |
[[미국|]][[틀:국기|]][[틀:국기|]] DCR-EN104 | DARK CRISIS (LC01 25th Anniversary Edition)
2024-12-13 |
[[미국|]][[틀:국기|]][[틀:국기|]] SBC2-ENF21 | SPEED DUEL: BATTLE CITY FINALS
2005-05-02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DCR-KR0104 | 암흑의 위협
2006-05-20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HGP1-KR266 | 하이 그레이드 팩 Vol.1
2008-12-05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ESP3-KR047 | 익스팬션 팩 Vol.3
2016-08-22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DP17-KR036 | 듀얼리스트 팩 - 파라오의 기억 편 -

3. 관련 카드

3.1. 예견자 졸가

3.2. 운명이 감춘 폭탄


[1] 최대한 OCG에 가까우면서도 원작구현도 가능한 식으로 묘사하려면 대략 다음과 같다.
필드의 몬스터 1체를 대상으로 하고 이 카드를 세트한다. 대상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소환한 몬스터는 이하의 효과를 얻으며, 그 효과는 이 카드를 발동한 이후부터 효과처리를 한다.
● 이 카드가 공격 선언을 했을 경우 발동한다. 이 카드를 파괴하고 이 카드의 컨트롤러는 이 카드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받는다.
[2] 다만 OCG는 발동한 카드의 효과는 상대도 열람이 가능하며, 세트한 상태에서 카드를 지정하는 건 이래저래 룰상 힘들기 때문에 여전히 이대로 OCG화 할 순 없다. 컴퓨터가 처리하는 마듀라면 가능할지도. 그렇기 때문에 원작을 최대한 흉내내도 상대도 알도록 지정해서 해당 몬스터의 릴리스를 저지하는 효과로 바뀔 확률이 높다.[3] 이 비전에서 나온 여인이 누군지는 고대편에 밝혀진다. 이때 그 남자가 천년 로드를 들고 있어서 석판에 나오는 신관 확정.[4] OCG에서는 오벨리스크든 푸백이든 제물 소환한 몬스터라면 무조건 적용이 가능하므로, 원작대로 해봤자 멀쩡히 폭탄이 터지면서 산화한다. 카이바의 기행에 경악하느라 발동 타이밍을 놓쳐서 체인을 못 걸었다고 하면 된다.[5] 릴리스하여 효과를 발동하는 각종 마/함/몬스터 효과들과 의식 소환 역시 불가능하고 릴리스로 취급되는 소환 종류는 전부 막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