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4 03:16:09

전국기능경기대회


국가별 기능경기대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국기능경기대회
파일:북한 국기.svg
기능공경기대회
파일:일본 국기.svg
기술경기대회
파일:중국 국기.svg
청년 직업기술경기대회
파일:대만 국기.svg
전국기능경기대회
}}}}}}}}} ||
<colbgcolor=#0048a8><colcolor=#fff> 전국기능경기대회
全國技能競技大會 | National Technical Skills Competition
<bgcolor=#fff,#1c1d1f> 파일:Worldskills Korea.png
시작 연도 1966년 전국기능경기대회
([dday(1966-11-14)]일, [age(1966-11-14)]주년)
주최 위원회 고용노동부, 한국산업인력공단
최근 대회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차기 대회 제61회 전국기능경기대회

1. 개요2. 역사3. 목적4. 운영5. 성과 및 의의6. 국제 연계7. 지역별 개최 및 순회8. 시상 및 특전9. 개최 현황10. 관련 대회11. 비판 및 과제

1. 개요

고용노동부가 주최하고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주관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기능인 경기 대회. 약칭은 전국기능대회 또는 전기기대. 전국 17개 시도를 중심으로 우수 기능 인재를 발굴하고 기능 수준 향상을 목적으로 개최되며, 국제기능올림픽대회 한국 국가대표 선발전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

2. 역사

전국기능경기대회는 1966년 11월 14일,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제1회 전국기능경기대회라는 이름으로 처음 열렸다. 당시 대회는 기능 인력 양성과 기술 수준 향상을 목적으로 노동청[1]이 주최하였으며, 이후 매년 개최되며 규모와 위상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었다.

1970년대부터는 산업 고도화에 발맞춰 다양한 직종이 추가되었고, 1973년에는 국제기능올림픽대회에 대한민국이 정식으로 참가함에 따라, 전국기능경기대회 입상자는 국가대표 선발의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3. 목적

- 기능 인력의 사기 진작 및 사회적 인식 제고
- 우수 기능 인재 발굴 및 육성
- 기능인의 자긍심 고취 및 기술 향상 유도
- 산업현장의 기술 경쟁력 강화
- 국제기능올림픽 출전 선수의 선발 및 훈련

4. 운영

전국기능경기대회는 매년 개최되며, 고등부(특성화고, 마이스터고 등)와 일반부(대학생, 직장인 등)로 나뉘어 참가가 가능하다. 대회 직종은 약 50여 개 이상이며, 기계, 전기, 정보통신, 미용, 조리, 용접, 디자인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있다.

시도별로 지역 기능경기대회를 거쳐 우수 입상자들이 전국대회에 참가하게 되며, 각 직종별로 1, 2, 3위 입상자에게는 금, 은, 동메달과 상금, 국가기술자격시험 면제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또한 일부 수상자는 국제기능올림픽대회 대표로 선발되기도 한다.

5. 성과 및 의의

- 국내 산업계에 숙련기술인력의 중요성을 알리는 계기 마련
-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기술인력 육성 정책과 연계
- 기능인에 대한 사회적 위상 제고 및 진로 모범사례 창출
- 지역 기능 인재들의 상향 평준화 및 지역 간 교류 활성화

6. 국제 연계

전국기능경기대회는 국제기능올림픽대회의 국가대표 선발전 성격을 갖고 있다. 대한민국은 1973년 스페인 마드리드 대회를 시작으로 국제대회에 참가해, 이후 지속적으로 우수한 성적을 거두며 기능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

7. 지역별 개최 및 순회

전국기능경기대회는 매년 개최지를 달리하는 순회 개최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지역 기술 인프라 확대와 지역 기능인들의 사기 진작, 기술 교류를 도모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이다.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경기도, 전북특별자치도 등 전국 각지에서 골고루 개최되었다.

8. 시상 및 특전

- 대통령상, 국무총리상, 고용노동부장관상 등 주요 정부포상 수여
- 상금 지급 (직종별 금, 은, 동)
- 국가기술자격 시험 면제 혜택
- 국가대표 후보자 선발
- 산업체 채용 시 우대사항 부여

9. 개최 현황

2023년 제58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충청남도에서 개최
2024년 제59회 전국기능경기대회: 경상북도에서 개최
2025년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광주광역시에서 개최
2026년 제61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인천광역시에서 개최 예정

10. 관련 대회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전국대회에서 1, 2등을 수상한 선수는 국가대표 선발전을 거쳐 국가대표로 선발된다.
지방기능경기대회: 전국대회의 예선 격으로 시도별로 연 1회 개최
장애인기능경기대회: 장애인의 직업 능력 향상과 사회 참여 유도

11. 비판 및 과제

- 일부 직종 간 편중된 인기와 지원 격차
- 산업현장과 대회 직종 간 괴리 발생 우려
- 대회 준비 비용 및 참가자 부담 과중
- 지속적인 직종 조정과 기술 트렌드 반영 필요
[1]고용노동부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