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4 01:02:31

작살(도구)

🥏 {{{+1 투척 무기 {{{#fff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888> 투석기 <colcolor=#000,#fff>틀:투석기
종류 부메랑 · 수리검 · 수류탄 · 작살(도구) · 짱돌 · 차크람 · 투석구 · 프랑시스카 · 표창(무기) · 화염병
기술 나이프 스로잉 · 창던지기(투창) · 카드 던지기 · 투석 · 투포환 · 해머던지기 }}}}}}}}}

Harpoon

1. 개요2. 상세3. 언어별 명칭

[clearfix]

1. 개요

물고기를 잡기 위해 작대기 끝에 뾰족한 쇠를 박아 만드는 도구.

용도에 따라 여러개의 쇠꼬챙이를 박은 것도 있다. 다만 고래잡이용을 비롯한 대형 어종을 사냥할 용도의 작살은 관통력이 제일 중요하므로 처럼 한 개만의 쇠꼬챙이를 가진다.

2. 상세

과 함께 인류 역사를 함께 해 온 유서깊은 사냥도구. 총기가 등장한 이후 육상 사냥 도구는 총으로 거의 통일된 반면, 물 속에서는 총이 썩 효용을 보지 못하는 터라 물고기를 잡을 때는 여전히 작살이 유효한 사냥 도구로서 활용되고 있다.

투창이 기본적인 사용법이며, 작살에 쓰기 위해 만들어진 투창기로 투척하는 식으로도 사용되었다. 화기가 발전한 중세 이후는 아예 머스킷 등에 작살을 물려 화약의 힘으로 발사하는 방법으로도 사용되었는데, 단순한 임기응변 방식을 넘어서 아예 작살만을 발사하기 위해 설계된 작살총들이 등장했으며, 현대의 작살총은 압축공기나 고무의 탄성을 이용해 작살을 사출하는 방식이다.

어업 기술이 엄청나게 발전한 현대에도 그물로 잡기 힘든 대형 어종은 작살로 잡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역시 가장 대표적인 건 참치. 대형 참치 같은 경우 반드시 작살로 잡는데, 정확히 등에 꽂아 끌어올릴 수 있게는 하되 죽이면 절대 안 돼서 매우 난이도가 어려운 작살질로 꼽힌다.

현대적인 작살 발사기가 등장하기 이전까진 모비 딕에서 묘사된 것처럼 포경선의 숙련된 투창꾼인 작살잡이들이 백병전용 창 수준의 커다란 작살을 직접 던져서 고래를 잡았다. 모비 딕이 마초로 점철된 남자의 로망이었던 게 바로 이 때문. 현실에서도 가장 겁없고 힘센 사내들만이 지구상 최대의 생물인 고래를 잡을 수 있었다. 근대 시대에는 작살에 폭약, 총탄, 황산병 등을 달아 위력을 증가시키는 작살들이 포경업에 사용되었으며, 박히는 순간 뇌관이 작동하면서 터진다. 다만 이런 걸로도 상어나 고래를 잡는다는 건 보통 일은 아니었다. 무려 130살 된 고래가 120년 동안 폭약 작살을 매단 채 살아온 케이스도 있으니...

날이 달린 사냥도구라는 점에서 떠올릴 수 있듯이, 작살 역시 전쟁무기로 사용되기도 했다.[1] 삼지창이 바로 어업용 작살과 농사용 쇠스랑이 무기화한 것으로, 본래는 용도가 달랐던 도구들이 전투용 무기로 용도가 변화하면서 하나로 수렴하게 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현대의 네덜란드에서는 작살 대포도 등장했다.

쿠 훌린의 무기인 게 볼그도 작살이다. 전설의 무기 중에서 유일한 작살이다.하지만 매체에선 죄다 창으로 나온다

원시적인 도구인 만큼 만들려면 쉽게 만들지만, 일단 대한민국에서는 원칙적으로 불법이기 때문에 쓸 수 없는 도구이다. 지자체의 허가를 받으면 배스 잡이등에 쓸 수 있다.

3. 언어별 명칭

<colbgcolor=#f5f5f5,#2d2f34> 언어별 명칭
한국어 작살
한자 섬(銛), 어차(魚杈), 착()
바스크어 arpoi(알포이)

한자 어차(魚杈)는 물고기 어에 작살 차 이므로, 차 한 글자만 써도 의미는 통한다.

바스크어로 arpoi(알포이)는 빨리 죽이다, 뾰족한 돌끝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1] 사냥도구나 농기구, 공구 등을 약간의 변형을 가하거나, 아에 그대로 전쟁무기로 사용하는 경우는 문화권을 막론하고 상당히 많이 이루어진 행위이다. 일반 평민들을 징집해서 병사로 훈련시킬 경우 직업군인들에 비해 절대적으로 훈련량이 부족한 채로 전투에 투입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본 적도 없는 생소한 병장기를 들게 하는 것보다 평소에 쓰던 것과 유사한 형태와 쓰임새의 도구를 무기로써 사용하게 만드는 것이 훈련 기간도 짧아지고 개개인의 전투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