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4 19:58:29

인피니티 Q60(CV37)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인피니티 Q60
,
,
,
,
,

파일:Infiniti.png
파일:2018-infiniti-q60-coupe-led-daytime-lights-original.jpg
Q60

1. 개요2. 상세
2.1. 프로젝트 블랙 S
3. 제원4. 둘러보기

1. 개요

인피니티 Q60의 2세대 모델이다.

2. 상세

파일:2015 인피니티 Q60 콘셉트_(1).jpg파일:2015 인피니티 Q60 콘셉트_(2).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2015 인피니티 Q60 콘셉트_(3).jpg파일:2015 인피니티 Q60 콘셉트_(4).jpg
}}}}}}}}} ||
Q60 콘셉트

2015년 1월 12일, 미국 국제 오토쇼에서 공개된 Q60 콘셉트를 기반으로 했다.
파일:2017 인피니티 Q60S 레드 스포트 400_(1).jpg파일:2017 인피니티 Q60S 레드 스포트 400_(2).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2017 인피니티 Q60S 레드 스포트 400_(3).jpg파일:2017 인피니티 Q60S 레드 스포트 400_(4).jpg
}}}}}}}}} ||
Q60S 레드 스포트 4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2017 인피니티 Q60S 레드 스포트 400 AWD_(1).jpg파일:2017 인피니티 Q60S 레드 스포트 400 AWD_(2).jpg
Q60S 레드 스포트 400 AWD
파일:2017 인피니티 Q60S 3.0t_(1).jpg파일:2017 인피니티 Q60S 3.0t_(2).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2017 인피니티 Q60S 3.0t_(3).jpg파일:2017 인피니티 Q60S 3.0t_(4).jpg
}}}}}}}}} ||
Q60S 3.0t (2016~2022)
}}}}}}}}} ||
전기형 (2016~2020)

2016년 디트로이트 오토쇼에서 세계 최초로 공개되고 2016년 말부터 순차적으로 판매에 들어갔다. 엔진은 벤츠에서 가져온 직렬 4기통 1,991cc M274형과 닛산의 V6 2,997cc VR30DDTT 가솔린이 있고, 2.0L 모델은 211마력(PS), V6 3.0L 모델은 각각 304마력과 405마력 2가지 엔진이 제공된다.

405마력 레드스포츠 모델의 제로백은 5초이다. 모든 라인업에서 AWD를 선택할 수 있으나 국내에서는 해당이 안되고 변속기는 7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된다. 대부분의 시장에서 2.0L 모델을 먼저 선보였고, 이후에 3.0L 모델을 추가했다. V36에는 컨버터블이 있었지만, V37에는 컨버터블이 없다. 열선 핸들은 여전히 국내에 탑재되지 않았다. 내부모니터 디스플레이가 느리고 불편하다는 평이 많으며, 닛산 답게 인테리어가 한세대 이전의 올드한 느낌이 나는 것도 여전하다.

대한민국인피니티 코리아가 2018년 4월 5일에 출시했으며, 405마력 V6 3.0L 가솔린 트윈터보 후륜구동 사양만 들어온다. 복합연비는 9.6km/L. 가격은 6,870만원으로 V36보다 8백만원 가량 인상됐다. 2020년 6월 국내 재고 판매를 완료했으며, 일본 제품 불매 운동이 한창인 와중에도 닛산의 국내 철수 발표하는날 당일에 Q60이 곧바로 매진이 돼서, 이중적인 세태를 비웃는 뉴스가 나오기도 했다. 아마도 한국에서 판매된 마지막 스카이라인으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

일본에서는 스카이라인 쿠페로 팔리지 않는다. 이유는 불명이나, 정황상 페어레이디 Z와의 판매 간섭으로 추정된다. 다만 일본의 호시노 임풀의 임풀 인터내셔널이라는 업체에서 역수입 방식으로 판매된 적은 있었다.
파일:2021 인피니티 Q60S 레드 스포트 400 AWD_(1).jpg파일:2021 인피니티 Q60S 레드 스포트 400 AWD_(2).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2021 인피니티 Q60S 레드 스포트 400 AWD_(3).jpg파일:2021 인피니티 Q60S 레드 스포트 400 AWD_(4).jpg
}}}}}}}}} ||
Q60S 레드 스포트 400 AWD
후기형 (2020~2023)

인피니티 브랜드의 라인업 쇄신과 Q60의 판매부진을 이유로 2022년형을 끝으로 단종된다. 다만, 재고차량에 한해 2023년까지 판매를 지속한다. #

2.1. 프로젝트 블랙 S

파일:2017 인피니티 Q60 프로젝트 블랙 S_(1).jpg파일:2017 인피니티 Q60 프로젝트 블랙 S_(2).jpg
Q60 프로젝트 블랙 S (2017)
파일:2018 인피니티 프로젝트 블랙 S 프로토타입_(1).jpg파일:2018 인피니티 프로젝트 블랙 S 프로토타입_(2).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2018 인피니티 프로젝트 블랙 S 프로토타입_(3).jpg파일:2018 인피니티 프로젝트 블랙 S 프로토타입_(4).jpg
}}}}}}}}} ||
프로젝트 블랙 S 프로토타입 (2018)
Project Black S

인피니티와 르노 스포트 F1 팀이 협업하여 개발한 콘셉트 카. F1 레이스 카ERS에서 영감을 받아 이중 모터/발전기가 탑재되어 있다. 첫 번째 발전기 모터는 변속기 끝에 부착돼 뒷바퀴에 직접 동력을 공급하고 두 번째 발전기 모터는 터보차저에 부착되어 낮은 엔진 속도에서 터보 랙을 없애기 위해 즉시 스풀링하는 데 사용된다. 높은 rpm에서 배기 가스가 터빈을 통해 전달될 때 터보 랙이 멈추면 전기 에너지 일부를 배터리로 보내는 발전기 역할을 한다.

스펙 구성은 V6 엔진과 2개의 전기 모터로 500마력의 출력을 낼 것으로 추정되며 프로토타입 공개를 예정했었지만 Q60 단종을 앞두고 2021년 취소했다.

3. 제원

Q60/2세대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생산지
[[일본|]][[틀:국기|]][[틀:국기|]] 도치기현 카미노카와마치
코드네임 CV37
차량형태
승차인원 4명
전장 4.685mm
전폭 1,850mm
전고 1,385mm
축거 2,850mm
윤거(전) 1,540mm
윤거(후) 1,540mm
공차중량 1,800kg
연료탱크 용량 76L
타이어 크기 255/35R20
플랫폼
구동방식 FR
전륜 현가장치
후륜 현가장치
전륜 제동장치 V 디스크
후륜 제동장치
'18.4 한국시장용 기준
파워트레인
<rowcolor=#ffffff> 엔진 엔진 형식 흡기 방식 배기량 최고 출력 최대 토크 변속기
VR30
(VR30DDTT)
3.0L V형 6기통 트윈 터보 2,997cc 405ps 48.4kgf·m 7단 자동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090c2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090c2e>
파일:인피니티(자동차 브랜드) 로고.svg파일:INFINITI_Logo_Primary_White.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colbgcolor=#ffffff,#191919> 준중형 - Q30
중형 Q50 G / Q40 · Q60
준대형 - J · I · M · Q70
대형 - Q
소형 SUV - ESQ
준중형 SUV - QX30
중형 SUV QX50 · QX55 EX
준대형 SUV QX60 JX · QX4 · FX / QX70
대형 SUV QX80 QX56
파일:닛산 로고 화이트.svg · 파일:닛산 NMC 로고 화이트.svg
파일:Infiniti_IPL_Logo.jpg
닷선의 차량
}}}}}}}}} ||


파일:Infiniti_IPL_Logo.jpg
인피니티 퍼포먼스 라인


[ S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51327a><rowcolor=#ffffff><width=20%> 차급 ||<width=50%>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중형​차Q50Q60 · G37

[ Red Sport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51327a><rowcolor=#ffffff><width=20%> 차급 ||<width=50%>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중형​차Q50Q60

[ IPL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51327a><rowcolor=#ffffff><width=20%> 차급 ||<width=50%>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중형​차-G 쿠페 · G37 · G25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