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3:36:54

이중원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2011 K리그 승부조작 가담자}}}에 대한 내용은 [[이중원(1989)]]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이중원(1989)#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이중원(1989)#|]]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이터널 시티 3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이중원(이터널시티3)]]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이중원(이터널시티3)#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이중원(이터널시티3)#|]]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2011 K리그 승부조작 가담자: }}}[[이중원(1989)]]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이중원(1989)#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이중원(1989)#|]]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이터널 시티 3의 등장인물: }}}[[이중원(이터널시티3)]]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이중원(이터널시티3)#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이중원(이터널시티3)#|]]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이중원의 수상 및 영예
{{{#!folding [ 펼치기 · 접기 ] KBL 챔피언결정전 우승 반지
2009
}}} ||
대한민국의 농구인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중원.jpg|width=100%]]
<colbgcolor=#eeeeee,#191919> 이중원
출생 1983년 5월 6일 ([age(1983-05-06)]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92cm|체중 90kg
직업 농구선수(포워드/ 은퇴)
학력 매산초등학교 (졸업)
삼일중학교 (졸업)
삼일상업고등학교 (졸업)
중앙대학교 (졸업)
현역시절 등번호 21
병역 국군체육부대 농구단 (2009~2011)
소속 전주 KCC 이지스 (2006~2012)

1. 개요2. 대학 시절3. 선수 시절4. 관련 문서

1. 개요

前 농구선수로 선수 시절을 모두 전주 KCC에서만 보낸 선수였으나 안타깝게도 부상 등으로 인해 커리어를 쌓지 못한 선수였다.

2. 대학 시절

파일:중앙대 시절 강창수 감독, 윤병학, 이중원, 김광원, 함지훈, 정병국, 김영래 코치.jpg
중앙대학교 시절에는 탄력이 좋고 3점슛도 갖춘 포워드로 대학시절 4년간 주전과 식스맨을 넘나들며 활약했으나, 정작 4학년때 동기 허효진[1]과 후배 윤호영 등에 밀려 벤치로 밀리는 바람에 2006 KBL 드래프트에서 모든 팀들의 외면을 받아버리지만 다행히 주전들의 노쇠화로 리빌딩에 들어갔던 전주 KCC 이지스와 수련선수로 계약하게 된다.[2]

3. 선수 시절

파일:기량발전상을 수상한 이중원.jpg
시즌 중반까지는 엔트리에 조차 끼지 못할 정도의 취급을 받았지만, 훈련 시 성실한 태도 및 향상된 기량을 보여주며 팀 선배인 이상민추승균의 적극적인 추천을 받아 시즌 막판 5경기에는 아예 선발 주전멤버로 출장하여 평균 11.2득점을 올렸고, 이 활약 덕분에 정식으로 계약을 맺게 되며 짧은 출전시간에도 과감한 공격과 집요한 대인수비능력을 보여주었다. 이상민이 삼성으로 이적하고 서장훈이 FA 계약으로 새로 합류한 2007-08 시즌에는 정훈 등을 제치고 팀의 핵심인 식스맨 자리를 차지했고, 특히 외국인 선수가 1명만 뛸수 있는 2쿼터에는 토종 빅맨 서장훈과 함께 주전 3번으로 출장해 평균 4.6득점-1.4리바-0.7어시를 기록하며 전시즌 꼴찌팀 전주 KCC가 07-08 시즌 정규리그 2위에 오르는데 공헌한다. 드래프트에 지명되지 못한 수련선수에서 팀의 핵심 식스맨으로 환골탈태하며 너무도 당연하게 스포츠토토 한국농구대상에서 07-08 시즌 기량발전상을 차지했고, 바로 다음 시즌에는 하승진-강병현이 합류한 뒤에도 여전히 팀의 중심 식스맨으로 활약해 챔피언을 차지하는데 크게 기여한다.

시즌을 마친 뒤에는 상무에 입대해 2010 세계 군인농구선수권 대회에서 활약하며 대한민국의 사상 첫 우승을 따내는 등 우승청부사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었으나, 제대 후 복귀한 2011-12 시즌에는 정민수김태홍 등 젊은 포워드들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던 데다 발목 부상까지 겹치며 군 입대전보다 그만큼의 활약은 보여주지 못했고 회복도 불가능해지면서 임의탈퇴가 결정되며 선수 생활을 마감하고 만다.

은퇴한 뒤에는 모교 삼일상고와 여수화양고에서 코치를 맡고 있다가 현재는 중앙대학교 코치로 근무하고 있다.

4. 관련 문서



[1] 부상 치료 때문에 1년 휴학했다.[2] 그로부터 1년 뒤, 수련선수였다가 정식선수로 등록된 동부-KCC 출신의 정의한도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