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단방향 투과성 거울
One Way Mirror / Two Way Mirror[1]거울에 붙이는 금속을 통상의 거울보다 얇게 붙인 것. 어느 상황에서나 한쪽에서만 보이는 것은 아니고, 어두운 쪽에서 볼 때는 잘 보이나, 밝은 쪽에서 보면 잘 안보이는 유리. 일반적인 밤시간대의 유리창을 생각하면 된다. 일본에서 유래된 명칭인 매직미러라고도 불리기도 한다. 일방투명경(一方透明鏡), 양방향 거울, 반투명 거울이라고도 한다.
취조실에서 쓰인다.
주로 룸살롱 계열의 유흥업소에서도 사용되는데, 아가씨들이 있는 방에 설치하고 손님이 뒤쪽에서 살펴보며 데리고 놀 아가씨를 결정한다. 당장 저 매직미러라는 단어를 구글 검색창에 치면 나오라는 거울은 안 나오고 아가씨들 전화번호와 삐끼들 연락처만 나온다.
한편 진짜 거울과 매직미러를 구분하는 방법으로 널리 알려진 것으로는, 유리창에 손가락 끝을 대 보았을 때 비친 손가락과 진짜 손가락이 맞닿으면 진짜 거울, 둘 사이에 약간의 갭이 있으면 매직미러라는 속설이 있으나 이는 반만 맞는 말이다.[2] 둘 다 만드는 원리는 똑같고 뒤에 칠한 금속 피막의 두께만 다를 뿐인데 다른 상이 나타난다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다. 당장 두 손가락이 맞닿는 게 매직미러라는, 언급된 저 속설의 정 반대 버전도 많이 돌아다닌다. 모텔, 업소 등의 침실에 있는 거울이 저런 재질이라는 도시전설스러운 이야기도 있다. 뒤에 숨겨진 공간이 없다고 확신할 수 있는 거울들도 손가락이 닿거나 닿지 않을 수도 있다. 진짜 손가락과 닿는 상과 떨어진 상이 겹쳐서 보이는 경우도 있다.
사실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간파할 수도 있는데, 피막의 두께가 얇아 일정량의 빛이 뒤쪽으로 투과되므로 상이 어두운 편이다. 또한 방의 불을 꺼서 반대편과 밝기를 비슷하게 맞춘 다음 지근거리에 flashlight를 비춰 보아도 건너편이 보일 수 있다.
실제로 관음이나 불법촬영 등 범죄에 쓰이기도 하는데, 2021년 12월에 경기도 어느 공장의 사장이 직원 샤워실의 거울을 매직미러로 만들고 뒤에서 샤워하는 외국인 노동자를 불법촬영하다 플래시라이트가 터지면서 들통나 경찰에 체포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해당 공장은 경찰에 신고가 접수되고 나서 14시간 뒤 화재로 인해 건물 전체가 전소되었다. 이 때문에 사장이 불법촬영 증거 인멸을 위해 일부러 방화한 거라는 의혹이 있다.
중국어로는 '쌍면경'(정체: 雙面鏡, 간체: 双面镜)이라고 부른다. 중국 베이징시 하이덴취의 한 집주인이 주택 욕실에 양면경을 설치해 2년 동안 여성 세입자를 엿보았다가 2016년 들켜 경찰에 붙잡혔다. 2018년 베이징시의 한 술집의 남자 화장실에 양방향 거울을 설치했다가 술집 주인이 공개적으로 사과했다. 2021년 광저우시의 한 술집에서도 여자 화장실에 양방향 거울을 설치해 VIP 룸에 있는 남성 고객이 여성들의 모습을 볼 수 있게 한 비슷한 일이 발생해 논란이 되었고 이후 해당 시설은 정부의 개입으로 철거됐다. 2023년 광시 좡족 자치구 구이린시의 맥주 전문점의 남자 화장실에 설치되어 있어서 논란이 되기도 했다.#
2019년 태국의 놀이공원인 드림월드 방콕(Dream World Bangkok)의 남자 화장실에 설치되어 있어서 논란이 되었다.
선글라스에 써지기도 한다.
1.1. 매체
미국 드라마 중 수사물에서는 지겹게 등장한다. 보통 FBI 본부로 끌려와 취조받는 용의자를 옆방에서 요원들이 매직미러로 가만히 쳐다보는 식의 장면으로 많이 나온다.야한 동영상에서 가끔 사용되는 물건이다. 매직미러가 설치된 차량 안에서 성관계를 하는데, 밖에선 거울이지만 안에선 유리라서 마치 외부에서 성관계를 하는 분위기를 연출한다.
- 9부적검찰관
- 나쁜 남자: 김기덕 감독의 영화이며 중요한 장치로 등장한다. 주인공 한기가 자신이 직접 창녀로 만들어버린 여대생 선화를 침대에 설치된 매직미러 너머에서 지켜보는 식이다.
- 유년기의 끝: 지구에 떠 있는 우주선 안에서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유리창 너머로 목소리만 전달하는 오버로드의 모습을 스톰그렌이 비슷한 방법으로 후레쉬를 비춰 잠깐이나마 확인한다.
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에 등장하는 카드인 어둠을 흡수하는 마법 거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어둠을 흡수하는 마법 거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어둠을 흡수하는 마법 거울#|]][[어둠을 흡수하는 마법 거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포켓몬스터의 특성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포켓몬스터/특성/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포켓몬스터/특성/ㅁ#매직미러|매직미러]][[포켓몬스터/특성/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