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가 | 가 | 나 | 나 | 다 | 다 | |||||
강상태 | 이덕수 | 박주윤 | 이군수 | 김선임 | 박명순 | ||||||
라 | 라 | 마 | 마 | 바 | 바 | ||||||
구재평 | 박기범 | 고병용 | 황금석 | 안광림 | 윤혜선 |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 사 | 사 | 사 | 아 | 아 |
안극수 | 조우현 | 추선미 | 이준배 | 박종각 |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 자 | 자 | 차 | 차 | 카 | 카 |
정연화 | 김보석 | 박경희 | 이영경 | 최현백 | 김종환 |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 타 | 타 | 타 | 파 | 파 |
최종성 | 박은미 | 서희경 | 서은경 | 김장권 |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 하 | 하 | 비례 | 비례 | 비례 | 비례 |
조정식 | 정용한 | 성해련 | 김윤환 | 김보미 | 민영미 | }}}}}}}}} |
<colbgcolor=#808080><colcolor=#fff> 제9대 경기도 성남시의원 이영경 李瑛卿 | Lee Young-Kyung | |
| |
출생 | 1980년 11월 15일 ([age(1980-11-15)]세) |
학력 | 용인대학교 (무용학과 / 학사) |
현직 | 성남시의회 의원 |
소속 정당 | [[무소속(정치)| 무소속 ]][1] |
의원 선수 | 1 |
의원 대수 | 9 |
지역구 | 성남시 차선거구 (서현1동, 서현2동) |
약력 | 국민의힘 분당갑 차세대 여성위원장 국민의힘 중앙 홍보위원 서현동 110번지 주민범대책위 위원장 지하철 8호선 연장 추진위 오분서판 대표 서현초등학교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 위원 서현초등학교 학부모회장 |
링크 |
1. 개요
성남시의회 소속 대한민국 정치인입니다.이영경(李英京) 의원은 경기도 성남시의회 소속 시의원으로, 서현1동과 서현2동을 포함하는 차 선거구를 대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자녀의 학교폭력 사건과 그에 따른 대응으로 논란의 중심에 서 있습니다.
1. 자녀 학교폭력 사건
- 2024년 4월부터 6월까지 성남시 분당구의 한 초등학교에서 학생 4명이 동급생 1명을 상대로 모래와 과자를 섞어 먹게 하고, 게임 벌칙을 이유로 신체적 폭력을 가하는 등 학교폭력 사건이 발생하였습니다. 이 사건의 가해 학생 중 한 명이 이영경 의원의 자녀로 알려졌습니다.
2. 이영경 의원의 대응 및 논란
• 초기 대응 및 탈당: 사건이 알려진 후, 이영경 의원은 2024년 10월 17일 “부모로서 제대로 가르치지 못한 책임이 크다”며 공개 사과하고, 소속 정당인 국민의힘을 탈당하였습니다.
• 의원직 사퇴 거부: 그러나 시민들과 학부모들의 사퇴 요구에도 불구하고, 이 의원은 “더 신중하고 성숙한 모습으로 의정활동에 임하겠다”며 의원직 사퇴를 거부하였습니다.
• 시민 고소: 2025년 2월, 이 의원은 온라인 커뮤니티와 성남시의회 게시판 등에 허위 사실을 유포하여 자신과 가족의 명예를 훼손했다며 시민 30여 명을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 및 형법상 모욕 등으로 고소하였습니다. 이에 대해 피고소인들은 “무차별 고소를 통해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려 한다”며 반발하였습니다.
• 행정심판 청구 및 기각: 이 의원은 자녀의 학교폭력 사건에 대한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의 징계 조치가 부당하다며 경기도교육청에 행정심판을 청구하였으나, 2025년 1월에 기각되었습니다.
3. 성남시의회 내 반응 및 징계 논란
• 징계 요구 및 불발: 성남시의회 더불어민주당 협의회는 이영경 의원의 제명을 추진하였으나, 윤리특별위원회에서 징계 불필요 결론이 내려져 논란이 일었습니다. 특히, 윤리특별위원회는 국민의힘 6명, 더불어민주당 5명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제명에는 8명의 찬성이 필요했지만 국민의힘의 반대로 무산되었습니다.
4. 시민들의 반응
- 사건 이후 해당 학교 앞에는 근조 화환이 줄지어 놓이는 등 시민들의 반발이 이어졌습니다. 또한, ‘학폭OUT 학부모 시민 모임’ 등 시민 단체들은 이 의원의 사퇴를 촉구하며 집회와 시위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건과 대응으로 인해 이영경 의원은 지역 사회와 정치권에서 큰 논란의 중심에 서 있으며, 시민들의 비판과 의회 내 갈등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2. 논란 및 사건사고
2.1. 자녀 학교폭력 논란
2024년 10월 이영경의 딸이 포함된 분당 서현초등학교 학생 4명이 2024년 4월부터 6월까지 조손 가정인 학생을 상대로 공원에서 과자와 모래를 섞어 먹이고, 게임 벌칙 수행을 이유로 몸을 짓누르는 등 폭력을 저지른 것으로 알려졌다. 이영경의 딸이 주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영경 의원 본인이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 위원이기에 더욱 발칵 뒤집어 졌으며 교육 당국은 조사에 나서 학교폭력 사실을 확인한 뒤 최근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를 열어 가해 학생 중 2명에게 서면사과와 학급교체 조치를 했으며, 해당 당협위원장인 안철수 의원은 이영경을 향해 탈당할 것을 요구했고 2024년 10월 21일에 국민의힘에서 탈당하였다. #
수많은 의원 해임 요구에도 2025년 3월 19일 기준 아직까지 성남시의회 의원직 자리에서 버티고 있다. 성남시의회 자유게시판은 이영경의 의원 사퇴를 촉구하는 시민들의 의견으로 가득차 있는 실정이다.
2.1.1. 관련 보도
- 동급생에 흉기 협박.모래 먹인 6학년...학교와 어른들은 방관했다
- 모래 먹이고 흉기 들이댄 초등생들…가해자 중엔 시의원 자녀도
- "모래 섞인 과자 먹여" 손녀딸 학폭에 할아버지 '울컥'
- "모래 먹이고 식칼 들이댔는데 학폭 아니냐" 성남시의원 자녀 처벌 국민청원
- '학폭' 분당 초교 앞 까마득한 근조화환…“엄마들 들고 일어났다”
- ‘모래 학폭’에 분노한 분당 엄마들…학교 앞 뒤덮은 근조 화환
- ‘모래 학폭’에 분노한 분당 엄마들…학교 앞 뒤덮은 120개 근조화환
- 시의원 자녀 학폭에…분노한 학부모들 '근조 화환' 시위
- '초등학교 앞에 근조화환'‥집단 학폭에 분노한 시민들
- "모래 먹이고 분수대 집어넣고"…시의원 자녀 경징계 논란
- '모래 학폭'에 분노한 분당 엄마들···'근조화환' 100개, 학교 앞 뒤덮었다
- "분당 학폭 학교에 화환 보냈습니다" 인증 잇따라
- "나와!! 내려와!!" 폭발한 분당…근데 '그 엄마' 여전히
- "시의원 아들 아니었어도?"..'학폭 솜방망이' 일파만파
- '자녀 학폭 시의원 제명하라'…성남시의회 앞 근조화환 시위
- 대답 없는 ‘초교 학폭’ 책임… 성남시의회 앞에도 ‘근조 화환’
- "학폭 자녀 시의원 사퇴하라"…성남시의회 앞 줄지은 근조화환
- ‘자녀 학폭 가해’ 시의원 연이어 불참…근조화환 시위 계속
3. 선거 이력
<rowcolor=#ffffff>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2022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경기 성남 차 | | - | 무투표 당선[2] | 초선[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