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1 21:56:53

이신화(교수)

<colbgcolor=#862633><colcolor=#d7c9b1>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이신화
Lee Shin-wha
파일:0347cbbc-434a-4127-a933-803ef1964045.jpg
출생 1965년 9월 22일
서울특별시
현직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교수
학력 이화여자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영어영문학 / 학사)
메릴랜드 대학교 대학원 (국제정치학 / 박사)
약력 세계은행 연구원
하버드 대학교 국제관계연구원
코피 아난유엔사무총장 특별자문관
프린스턴 대학교 초빙교수
고려대학교 글로벌리더십센터 소장
고려대학교 국제처장
외교부 북한인권국제협력대사

1. 개요2. 생애


1. 개요

대한민국의 정치학자. 현직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이다.

2. 생애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에서 학부를 마치고, 미국으로 유학하여 메릴랜드 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경력으로는 세계은행 연구원, 웁살라 대학교 및 SIPRI 방문연구원, 하버드 대학교 박사후연구원, 코피 아난유엔 사무총장 르완다 학살독립조사위 특별자문관, 유엔 사무총장 평화구축기금 자문위원, 동아시아비전그룹(EAGV) 의장자문관 등을 역임하였다.

지난 20여 년 동안 정부부처(외교부, 국방부, 통일부, 합동참모본부, 해군, 국무조정실 등)에서 평가위원 및 자문위원, 대한민국 공공외교위원회 민간위원 등으로 활동하였고, 현재 정부업무평가위원회 민간위원이다.

윤석열 정부에서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외교부 북한인권국제협력대사로 재직하였다.

저서로는 The United Nations, Indo-Pacific and Korean Peninsula: An Emerging Security Architecture (Routledge, 2024, 공저); "북한인권문제에 대한 국제법적· 전략적 접근의 중요성과 도전" (2023); "Multilateralism in Great Power Politics: Building Order or Inviting Conflict?”(2022); "Economic MAD as Middle Powers’ Strategic Tool in the Great Power Rivalry”(2022); "미·중 패권경쟁시대 인태 지역의 자유주의 국제질서: 도전과 전망"(2021)"Foreign Policy Dilemma in South Korean Democracy Challenge of Polarized and Politicized Public Opinion,"(2020);“Is the Liberal International Order at Risk?: Causes and Remedies”(2019); “South Korea’s Refugee Policies: National and Human Security Perspectives" (2019), "유엔 다자주의 틀에서의 강대국 정치: 안보리 결의안과 미-중 안보경쟁" (2018)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