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6-05 21:26:18

이민진 여바리 탈주 논란


1. 개요2. 발단3. 전개4. 평가
4.1. 관련 규정4.2. 이민진의 사과 없는 복귀4.3. 기타

1. 개요

2023년 8월 한국기원 소속 프로기사 이민진 8단이 한국여자바둑리그/2023시즌 중 하차하고 폴란드로 떠나 논란이 된 사건

2. 발단

2023년 8월 18일 한국여자바둑리그(이하 '여바리') 6라운드 2경기에 출전한 서귀포 칠십리[1]의 2지명 이민진은, 포스코 퓨처엠의 주장 김혜민에게 승리하면서 시즌 6전 전승을 달성하고 팀의 2-1 승리를 이끌었다.
경기 종료 후 그녀는 "올해 팀에 보탬이 되고 싶어서 이를 악물고 열심히 두고 있습니다."라며 앞으로도 열심히 두겠다는 각오를 밝혔다기사
그러나 그녀는 인터뷰와 달리, 이후 경기에 계속 불참하여 팬들이 의문을 갖게 되었다.

3. 전개

2023년 8월 24일 여바리 7라운드에서 이민진은 결장했고 팀은 여수세계섬박람회에 1대2로 패했다.
2023년 9월 3일 여바리 8라운드에서 이민진은 결장했고 팀은 서울부광약품에 2대1로 승리했다.[2]
2023년 9월 5일 난설헌배 전국여자바둑대회 참가명단에 이민진이 없는 것이 확인되었다.
2023년 9월 7일 제28기 하림배 프로여자국수전 본선 8강 오유진과 이민진의 대국이 오유진의 기권승으로 처리되었다.
2023년 9월 9일 여바리 9라운드에서 이민진은 결장했고 팀은 H2 DREAM 삼척에 0대3으로 패했다.

2023년 9월 10일, 이민진이 사라진 지 23일만에 사이버오로에서 근황을 전했다.기사
"서귀포 2지명 이민진의 계속되는 결장 사유가 전해졌다. 이민진은 남편(주재원 파견)과 자녀(국제학교 입학)와 함께 폴란드에 머무는 것으로 전해졌다. 복귀 일정은 아직 미지수." 이렇게 짧은 세 문장이었다.[3]

서귀포 칠십리는 김윤영/이민진 대신 유주현/이서영, 두 신예기사가 악전고투했으나, 준플레이오프에서 서울부광약품에 패해 탈락하며 8개 팀 중 4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이후 극대노한 서귀포시가 팀을 해체하여 한국여자바둑리그/2024시즌부터는 서귀포 칠십리를 볼 수 없게 되었다.기사[4]

4. 평가

4.1. 관련 규정

한국여자바둑리그/2023 시즌 대회규정 중 선수규정은 다음과 같다.링크 (모바일에선 보이지 않는다)

② 선수규정
가. 선수는 감독 및 심판을 겸임할 수 없다.
나. 선수는 공식 경기 및 행사에 일신상의 사유로 불참할 수 없다.
다. 선수는 소속팀 경기(경기장 및 검토실) 및 행사에 팀 유니폼을 착용한다.
라. 선수는 대회와 관련한 인터뷰 요구 시 응해야 한다.
위 규정 위반 시 한국기원 상벌위원회를 통해 제재함.

서귀포 칠십리의 김윤영은 2023년 9월에 이서영과 교체되었지만, 이민진은 시즌이 끝날 때까지 선수명단에 남아 있었다.
즉. 이민진은 여바리 '선수' 신분이었음에도 자녀의 해외유학을 뒷바라지하기 위한 '일신상의 사유'로 8 경기 이상[5]의 공식 경기 및 행사에 불참했으므로 선수규정을 위반한 것이 명백하다.
그러나 한국기원은 이와 관련한 상벌위원회를 열지 않았다.

4.2. 이민진의 사과 없는 복귀

이민진은 2025년 6월 현재까지 여바리 탈주 하차에 대한 사과문이나 입장문을 내놓지 않고 있다.
그러면서도 한국여자바둑리그/2025시즌에 복귀한다고 한다.조혜연 유튜브, 2025 한국여자바둑리그 소개

4.3. 기타

디시인사이드 바둑 갤러리에는 한국기원이 이민진을 중징계해야 한다는 주장이 많다.
[1] 서귀포시의 지방보조금으로 운영되며, 여바리 원년인 2015년부터 참가해 온 여바리의 상징적인 팀이다.[2] 이 경기에서 이서영이 서귀포 칠십리의 3지명 김윤영의 교체선수로 첫 출전했다. 김윤영은 출산 후 심각한 안면마비 증세를 보여 시즌 아웃되었다.[3] '이민진 폴란드'로 구글링해봐도 다른 정보가 거의 없다. 바둑언론에서 이민진 관련 보도를 껄끄러워하는 느낌이다.[4] 같은 시기에 팀을 해체한 순천시는 예산 부족과 홍보효과 부족을 이유로 들었다. 그러나 서귀포시는 기자의 취재에도 팀 해체 이유를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김윤영과 이민진의 이탈이 영향을 미쳤음을 유추할 수 있다.[5] 정규리그 7 ~ 14라운드, 준플레이오프 2 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