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30 22:06:07

응우옌푹쭈(6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0%, #000 20%, #000 80%, #000);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태조 희종 신종 태종
<rowcolor=#fff>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영종 현종 숙종 세종
<rowcolor=#fff> 제9대 제10대 부흥운동
예종 목왕 완왕
징국공 · 조조 · 선왕 · 강왕
}}}}}}}}}
묘호 현종(顯宗)
시호 영모웅략성문선달관자인서효명황제
(英謨雄略聖文宣達寬慈仁恕孝明皇帝)
작위 조국공(祚國公)
응우옌(Nguyễn, 阮, 완)
푹 쭈(Phúc Chu, 福淍, 복주)
생몰년도 1675년 6월 11일 ~ 1725년 6월 1일
재위기간 1691년 ~ 1725년 6월 1일
1. 개요2. 생애3. 봉호, 시호, 능호4. 가족
4.1. 처첩4.2. 아들4.3. 딸

[clearfix]

1. 개요

응우옌푹쭈는 대월 후 레 왕조 응우옌 주의 제6대 군주이다.

다른 이름으로 응우옌푹뚱(阮福松)이라고도 한다. 군주의 칭호는 국주(國主) 또는 명주(明主)이다. 재위 기간 동안 참족의 봉기를 진압하였고, 캄보디아와의 전쟁을 일으켰다.

2. 생애

응우옌푹타이의 장남으로서 세자로 세워졌고, 처음엔 좌병영부장(左柄營副將), 조장후(祚長侯)로 봉해졌다.

찐호아 12년(1691년), 응우옌푹타이가 죽자 뒤를 이었다. 여러 신하들이 그를 절제수보제영겸총내외평장군국중사태보(節制水步諸營兼總內外平章軍國重事太保), 조군공(Tộ Quận Công 祚郡公)으로 높였고, 당시 그의 나이는 17세였다. 천종도인(Thiên Tung Đạo Nhân. 天縱道人)이라고 하였다.

찐호아 14년 음력 3월 11일(1693년 4월 16일), 태부(太傅), 조국공(祚國公)으로 더욱 높였고, 속하들은 그를 국주(Quốc Chúa. 國主)라고 일컬었다. 이때부터 응우옌푹쭈의 칙령은 국주라는 칭호를 겸하였고, 역사에서는 그를 명주(明主, Chúa Minh . 主明)라고 불렀다.

1702년, 청나라에 자신을 국왕(國王)으로 책봉해 달라고 요청하였으나 청나라 조정에서 거부하였다.[1]

응우옌푹쭈의 통치 초기에, 판두랑가(현재의 닌투언성)를 점유하고 있던 참파의 군주 포 소트(婆爭, Po Sot)가 병사를 일으켜 응우옌 주의 통치에 저항하였다. 이 봉기는 참파가 최초로 일으킨 것이었지만 실패하였고, 응우옌 주의 군대에게 진압되었다. 이후 판두랑가 지역에 페스트가 발생하였다. 3년 뒤, 참파의 귀족 오크냐 다트(屋牙撻, Oknha Dat)가 장군 아 반(阿班, A Ban)의 도움을 얻어 1695년에 함께 응우옌 주를 공격해 패배시켰다. 포 소트의 동생이자 참파의 새로운 국왕인 포 사크티라이 다 파티흐(繼婆子, Po Saktiray Da Patih)는 응우옌푹쭈에게 담판을 벌일 것을 요구하였다. 담판의 최종 결과로 참파의 왕은 진왕(鎮王, Trấn Vương)으로 봉해졌으며, 참파가 응우옌 왕조민망 황제에게 완전히 소멸될 때까지 이 칭호는 이후 135년 동안 유지되었다. 그러나 참파의 국왕은 사방이 베트남인의 영토인 상황에서 실제 권력을 지니지는 못하였다.

1714년, 응우옌푹쭈는 캄보디아를 침공하여 께오 파 3세를 도와 왕으로 세운 뒤 이미 캄보디아의 왕이었던 톰모 레아쩨아 3세에게 대항하였다. 타이아유타야 왕조 또한 군대를 캄보디아로 보내 톰모 레아쩨아 3세를 도와 베트남인에 대항하였다. 응우옌 주의 군사는 현재의 캄포트 주를 포함한 지역에서 벌어진 최초의 전투에서 승리하였으나, 1717년 말까지 계속해서 패배하였다. 전쟁은 담판을 벌인 뒤 종결되었고, 그 결과로 응우옌 주는 메콩강 유역의 자딘, 하띠엔 지역을 획득하였다.

응우옌푹쭈는 재위 기간 동안 가톨릭 선교사를 박해하였고, 기독교인에게는 징수하는 세금을 3배로 높이도록 하였다.

1720년, 응우옌푹쭈는 정식으로 참족의 최후 영토인 판두랑가를 지배하게 되었다. 이는 25년 전에 참파와 맺은 평화조약을 위반하는 것이라는 시비가 있었으나 현재까지 의문으로 남아 있다.

바오타이 6년 음력 4월 21일(1725년 6월 1일), 사망하였다. 금옥산(金玉山)에 장사지냈고, 장남 응우옌푹쭈가 뒤를 이었다.

3. 봉호, 시호, 능호

후 레 왕조에서 받은 초기 봉호는 좌병영부장(左柄營副將) 겸 조장후(祚長侯)이며, 즉위 한 후에 받은 봉호는 절제수보제영(節制水步諸營) 겸 총내외평장군국중사(總內外平章軍國重事) 겸 태보(太保) 겸 조군공(祚郡公)으로 진봉하였으며, 찐호아(正和) 14년(1693년)에 태부(太傅) 겸 조국공(祚國公)으로 진봉하였다.

시호는 사후에 도원수총국정 관자인서조명왕(都元帥總國政 寬慈仁恕祚明王)으로 추존되었고, 까인흥(景興) 5년(1744년)에 칭왕이 된 후에 시호를 영모웅략성문선달관자인서효명왕(英謨雄略聖文宣達寬慈仁恕孝明王)으로 재추존되었고, 응우옌 왕조가 건국 하고 칭제 후인 자롱(嘉隆) 5년(1806년)에 묘호를 현종(顯宗), 시호를 영모웅략성문선달관자인서효명황제(英謨雄略聖文宣達寬慈仁恕孝明皇帝)로 재추존하였다.

능호는 장청릉(長淸陵)이다.

4. 가족

4.1. 처첩

  • 똥티주억
  • 응우옌티란
  • 쩐티응이
  • 응우옌티비엔
  • 레티뚜옌
  • 레티호아
  • 똥티르엉
  • 레티호아
  • 호앙티주옌
  • 응우옌티타
  • 쯔엉티꿰
  • 똥티상
  • 응우옌티저
  • 레티비엔
  • 레티찐

4.2. 아들

  • 응우옌푹쭈
  • 응우옌푹테
  • 응우옌푹롱
  • 응우옌푹하이
  • 응우옌푹리엠
  • 응우옌푹뜨
  • 응우옌푹투
  • 응우옌푹런
  • 응우옌푹쩐
  • 응우옌푹디엔
  • 응우옌푹당
  • 응우옌푹티옌
  • 응우옌푹카인
  • 응우옌푹까오
  • 응우옌푹빈
  • 응우옌푹뜨
  • 응우옌푹쭈옌
  • 응우옌푹산
  • 응우옌푹꾸언
  • 응우옌푹루언
  • 응우옌푹빈

4.3.

  • 응옥상
  • 응옥프엉
  • 응옥녓
  • 응옥비옌
  • 응옥우옌


[1] 레꾸이돈, 《무변잡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