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경상북도 포항시 동명의 고등학교}}}에 대한 내용은 [[유성여자고등학교(포항)]]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유성여자고등학교(포항)#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유성여자고등학교(포항)#|]]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경상북도 포항시 동명의 고등학교: }}}[[유성여자고등학교(포항)]]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유성여자고등학교(포항)#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유성여자고등학교(포항)#|]]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이 문서는 교육기관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 대덕고등학교 | ▣ 대덕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 | ▣ 대전과학고등학교 | |||
| ⊙ 대전노은고등학교 | ◈ 대전도시과학고등학교 | 대전도안고등학교 | |||
| 대전반석고등학교 | 대전예술고등학교 | 대전용산고등학교 | |||
| 대전전민고등학교 | ◈ 대전전자디자인고등학교 | 대전지족고등학교 | |||
| ▣ 대전체육고등학교 | 유성고등학교 | ◈ 유성생명과학고등학교 | |||
| 유성여자고등학교 | 중일고등학교 |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 학교 틀 둘러보기 | |||||
| <nopad> |
| 학교 전경 |
| <colbgcolor=gray><colcolor=white> 대전 유성여자고등학교 儒城女子高等學校 Yuseong Girls' High School | |
| | |
| <nopad> | |
| 개교 | 1974년 |
| 유형 | 일반계 고등학교 |
| 성별 | 여학교 |
| 형태 | 사립 |
| 학교법인 | 학교법인 정훈학원 |
| 교장 | 황희태 |
| 교감 | 전길운 |
| 교훈 | 성실 창의 현숙 |
| 건학이념 | 교육이란 사람에게 무언가를 마구 집어넣는 것이 아니라 무언가를 끄집어 내는 것이다. |
| 교화 | 철쭉 |
| 교목 | 소나무 |
| 학생 수 | 561명[기준] |
| 교직원 수 | 69명[기준] |
| 관할청 | 대전광역시교육청 |
| 주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은구비로138번길 70 (죽동) |
| 홈페이지 | |
1. 학교 연혁
| <colbgcolor=gray><colcolor=white> 날짜 | 연혁 |
| 1973. 06. 20 | 학교법인 해광학원 설립인가, 홍광표 이사장 취임 |
| 1974. 01. 05 | 유성여자고등학교(학년당 3학급, 계 9학급) 설립인가 |
| 1974. 01. 14 | 초대 신구영 교장 취임 |
| 1974. 03. 07 | 유성여자고등학교 개교 및 입학식 |
| 1975. 10. 27 | 학년당 7학급씩 21학급으로 학급증설 인가 |
| 1976. 10. 26 | 제2대 오경호 교장 취임 |
| 1977. 01. 15 | 제1회 졸업식(168명) |
| 1977. 04. 21 | 제2대 홍성일 이사장 취임 |
| 1985. 09. 01 | 제3대 정진칠 교장 취임 |
| 1992. 03. 01 | 제4대 강신행 교장 취임 |
| 1998. 09. 01 | 제5대 윤대중 교장 취임 |
| 2000. 09. 01 | 제6대 임창학 교장 취임 |
| 2002. 02. 28 | ‘7.20 교육여건 개선계획’에 의거, 학급정원 감축(학급당 35명)에 따른 학칙개정에 의해 28학급으로 학급 증설 인가 |
| 2006. 09. 01 | 제7대 한기황 교장 취임 |
| 2006. 10. 26 | 학년당 10학급 계 30학급으로 학급 증설 인가 |
| 2009. 03. 02 | 제8대 이은식 교장 취임 |
| 2009. 03. 02 | 교과교실제(C타입) 운영학교 지정 |
| 2010. 11. 22 | 2010 전국 100대 교육과정 운영 우수학교 선정 |
| 2015. 03. 01 | 학년당 9학급 계 27학급 감축 |
| 2016. 03. 02 | 제9대 한춘기 교장 취임 |
| 2016. 06. 30 | 제3대 윤여웅 이사장 취임 |
| 2017. 03. 01 | 학교법인 정훈학원(법인명 변경) |
| 2017. 03. 01 | 학년당 8학급 계24학급 감축 |
| 2019. 03. 01 | 제10대 김선형 교장 취임 |
| 2020. 02. 05 | 제 44회 졸업식(212명) 거행, 총 15,061명 졸업) |
| 2023. 03. 01 | 제11대 황희태 교장 취임 |
2. 교훈 및 상징
2.1. 교훈
2.2. 교화
철쭉 (정열, 사랑의 기쁨)
2.3. 교목
소나무: 씩씩한 기상, 곧은 절개와 지조
2.4. 교가
계룡산 아리따운 금병이 드리운 유성
맑은 대울녁은 아늑한 동산이다
고운 새싹들이 무리무럭 자란다
어진 마음씨여 오롯한 믿음아
엄전히 받들어갈 정훈의 얼이어니
알뜰히 차려 나갈 배움이사 새로 와라
아아~ 우리 학교 유성여고
자랑웁다 우리들은 새나라를 티워간다
아아~ 우리 학교 유성여고
자랑웁다 우리들은 새나라를 티워간다
맑은 대울녁은 아늑한 동산이다
고운 새싹들이 무리무럭 자란다
어진 마음씨여 오롯한 믿음아
엄전히 받들어갈 정훈의 얼이어니
알뜰히 차려 나갈 배움이사 새로 와라
아아~ 우리 학교 유성여고
자랑웁다 우리들은 새나라를 티워간다
아아~ 우리 학교 유성여고
자랑웁다 우리들은 새나라를 티워간다
3. 사건사고
3.1. 창고 화재 사건
- 학교 창고 화재사건
관련 기사 자료 https://naver.me/Gf0fVo1v
4. 학교 특징
2025학년도 대학입시 결과 (서울대 정시 포함 2명, 의대 16명 등) [3]사립고의 특징으로 한 학교에서 오래 근무하시고 우리의 제자라는 분위기가 있어서인지 생활기록부를 최선을 다 해서 관리해주신다.학생의 장점과 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지도하신다. 언제라도 학교에 찾아가 선생님을 뵐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학교가 숲으로 둘러싸여 있어 재학생들은 실제 이상 기후 현상의 영향을 덜 받는다고 느낀다. 쾌적한 환경이 공부 머리를 열어줘서인지 학교 입시 결과가 재적 수에 비해 좋은 편이다.
학폭이 거의 없다. 최근 3년 간 사소한 분쟁 1건(학폭으로 처리되지않음) 외에 학폭은 전혀 없었다. 학생 간 갈등이 적은 것은 학업에 집중할 수 있는 요소로 이 또한 쾌적한 환경과 경험 많은 교원들의 역할이 크다는 평이다. 친구 간 편지로 고마움을 전달하는 활동을 하는 등 입시를 향해 힘든 고교 시절을 잘 버틸 수 있도록 학교 분위기가 전반적으로 따뜻하다.
5. 학교 시설
드론 영상으로 학교 전경을 볼 수 있다.[4]
현재는 1반에서 8반까지 학년별로 8개의 학급을 운영 중에 있다. 모든 학급과 대부분의 특별실에는 전자칠판이 설치되어 있으나 오래된 교실이나 잘 쓰지 않는 특별실에는 간혹 일반 칠판이 붙어있기도 한다. 교실은 50명 정원이라 다른 학교에 비해 더 넓고 개방감있는 편이다. 학교 건물은 전동과 후동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전동은 2,3학년이, 후동은 1학년이 사용한다. 음악실, 보건실, 체육관, 자습실, 사격실, 매점, 급식실은 별도의 건물에 위치해 있다.
2026년 본교사 재건축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대전광역시 둔산 지역의 중학교와 같은 건물 신축 공사 과정이며, 어떠한 학교도 역사가 오래되면 동일한 과정을 거친다. 학생들은 모듈러에서 학습 활동을 할 예정이다. 이전 학교 사례들로 볼 때 교육활동에 지장이 없다.
5.1. 전동
전동은 3학년이 3층, 2학년이 2층을 사용하고 있다.교실 안에서 보이는 풍경이 탁 트인 운동장이라 좋다.
각 층마다 교무실이 있다[5].
5.2. 후동
후동 3층은 1학년이 사용하고 있다.2층은 커리어존과 교과교실 등이 배치되어 있다.
1층은 컴퓨터실, 미술실, 과학실 등이 배치되어 있다.
5.3. 기타
화장실은 건물의 각 끝에 위치하는데, 전동과 후동이 연결되어 있어서 3학년은 1학년과 함께, 2학년은 단독으로 화장실을 사용한다. 앞반(1~4반) 화장실은 뒷반 화장실에 비해 두 배 정도 넓은데, 이는 뒷반 화장실이 원래는 화장실 용도가 아닌 교실 공간이었기 때문이다. 10반에 해당하는 공간을 화장실로 바꾸고, 원래 있던 화장실은 없앴다고 한다. 화장실은 대체로 깔끔한 편이지만 노후화 등으로 인해 문이 잘 잠기지 않는 칸들이 종종 있다. 생긴 지 얼마 안 된 체육관 쪽이나 자습실 쪽 화장실은 환경이 더 쾌적한 편이다. 화장실에는 무료 생리대 자판기와 생리대 수거함이 있는데, 급할 때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는 의견이 많다.운동장은 천연잔디로 이루어져 있다. 매해 수능 시즌이 되면 응원하는 문구 모양으로 잔디를 깎는데, 대개는 8글자 정도이다. 3학년 층에서 운동장을 내려다보면 글씨가 선명하게 보인다. 너희들은 잘될거야, 온우주가 널응원해 등의 문구가 적히며 매년 바뀐다.
다른 학교와 달리 운동장에 레인이나 축구 골대 등이 없다. 대신 가장자리를 따라 소나무와 장미덩굴이 심어져 있고, 석조 조형물이 있는 산책로도 조성되어 있다. 점심시간이 되면 이 산책로를 걷는 학생들과 교사들을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자습실이나 급식실, 매점 등 포장된 도로를 거쳐가는 학교 시설 간을 돌아다닐 때에는 실내화를 신어도 되지만, 체육관과 운동장에 갈 때는 운동화로 갈아신어야 한다.
학교 이곳저곳에 다양한 식물이 심어져 있다. 급식실, 체육관, 음악실, 보건실 등의 건물이 모두 본교사에서 떨어진 별도의 건물에 존재하는 탓에 학교 내 이동 동선이 길어지게 되는데, 그 동선을 따라서 온갖 아교목과 꽃들이 늘어서 있다. 이 덕분에 봄이 되면 다양한 꽃들을 쉽게 구경할 수 있고, 산책하기도 좋은 환경이 되지만 동시에 온갖 곤충들이 온갖 장소에서 출몰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화단의 잡초는 일정 시기마다 외부인을 고용해 한 번에 제거한다. 때를 맞춰 가면 뽑힌 잡초들이 길 한켠에 쌓여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체육관은 후동 뒷편으로 더 올라가면 있다. 일반적인 학교 체육관에 비해 크기는 작은 편이다. 체육관 벽에 시와 명언 문구가 붙어 있다는 특징이 있으며, 한쪽 벽면은 목재로 이루어져 있다. 체육관 한켠에는 계단이 있는데, 계단을 따라 올라가면 체육관 전체를 내려다볼 수 있는 2층이 나온다. 좁은 체육관 면적상 모든 학생을 수용하기 어려운데, 따라서 축제 등의 행사를 할 때는 2층에도 학생을 올려보내기도 한다. 배구 경기장 관중석 같다는 의견이 있다.
학교에 가려면 언덕을 꽤 올라가야 하는데, 이 언덕길 오르기가 체력적으로 부담이 된다는 의견이 종종 있다. 학교 정문과 학교 건물 사이의 거리가 먼 탓에 지도 앱에 쓰여진 도착예정시간보다 몇 분을 더 걸어야 하는 일이 생기기도 한다. 그러나 이 언덕길은 오르다보면 적응된다고 하니, 운동하는 셈 치고 즐겁게 올라보자. 덧붙이자면 학교 건물 안에는 엘리베이터가 없다. 때문에 다리를 다쳐도 어쩔 수 없이 계단을 올라야 한다. 2026년 재건축 이후로는 엘리베이터가 생길 예정이라고 한다.
현재는 1반에서 8반까지 학년별로 8개의 학급을 운영 중에 있다. 모든 학급과 대부분의 특별실에는 전자칠판이 설치되어 있으나 오래된 교실이나 잘 쓰지 않는 특별실에는 간혹 일반 칠판이 붙어있기도 한다. 교실은 50명 정원이라 다른 학교에 비해 더 넓고 개방감있는 편이다. 특히 높은 지대와 앞의 낮은 주택단지의 영향을 모두 받아, 전동 창밖으로는 탁 트인 풍경이 보인다. 날씨가 좋을 때는 월드컵경기장의 전광판 화면까지 보이기도 한다.
학교 벽면 몰딩이 편백나무로 되어 있어 비 오는 날이면 은은한 나무향이 난다. 이는 자습실도 마찬가지이다.
운동장과 중앙정원에 정자가 여럿 있다. 해가 갈수록 점점 늘어나는 것 같다는 선생님의 발언이 있었다. 학생들이 종종 도시락을 먹을 때 이용하거나, 점심시간에 선생님들께서 앉아계시기도 한다.
수능 시험장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은 학교이다. 수능 전날에 사물함을 비우고, 교실 청소를 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현숙관이라는 이름의 기숙사를 운영한다. 인터넷 사이트나 블로그 등을 찾아보면 기숙사생의 자세한 후기를 볼 수 있다. 희망자에 한정해 받으며 최대 수용 인원은 27인이다.
2025년 기준, 선택과목을 4과목 시행하는 선도학교로 선정되었다. 대부분의 대전권 일반고와 달리 2학년동안 물,화,생,지를 모두 들을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라면 장점
학생들이 전반적으로 순하다는 평가가 있다. 타 학교에 비해 자살 사건이 적게 일어난다고 한다.
뒷산에서는 종종 꿩, 고라니, 꾀꼬리, 사슴, 도마뱀, 황조롱이, 새호리기, 파랑새, 길고양이, 솔부엉이, 소쩍새, 쏙독새 등의 야생동물들을 볼 수 있다.
일주일 내내 7교시를 한다. (2025)
학교가 산으로 둘러쌓여 있고, 야생동물과 곤충의 출몰이 잦은데다가 가로등이 종종 꺼지는 구간이 있다. 때문에 야간자율학습을 마치고 정문까지 내려가는 길이 제법 무섭다는 의견이 있다. 가끔 뒷산에서 비명소리가 들리기도 하는데 고라니 울음소리이므로 무시하면 된다.
학교에서 고라니를 마주친다면 서울대에 간다는 미신이 있다. 덧붙이자면 정말로 고라니를 보고 싶은 경우 학교 깊은 곳 대신 학교 옆의 논밭이나 학교 뒷산 등산로를 따라가면 나오는 무덤가에 가는 것을 추천한다. 고라니가 번식하는 봄철이면 새끼와 함께 다니는 성체를 어렵지 않게 목격할 수 있다.
학교 근처에 까마귀가 많다. 까마귀들은 종종 쓰레기봉투를 뜯어놓거나 쓰레기를 옥상 등에 올려놓고 날아간다.
6. 학교 생활
6.1. 주요 행사
| 추가하시려면 "행사명: 개최시기"로 추가해주시고 부가적인 설명을 적어주세요. |
신입생대면식: 개학 후 일주일 정도 후에 진행한다. 2학년 선배와 1학년 후배가 강당에 모두 모여 서로 인사하는 시간을 갖는다. 한 교시 동안만 진행하는 짧은 행사이다.
체육대회: 5월 즈음 진행한다. 교장선생님의 성향에 따라 3학년 참가가 허락되기도, 불허되기도 한다.
축제: 1학기 기말고사 이후 진행하기도, 2학기 기말고사 이후 진행하기도 한다.
수능 응원: 11월 수능 전날 후배들이 정문 위 비탈길에 일렬로 서서 예비소집을 가는 선배들에게 박수를 쳐 주는 의식이다.
6.2. 학교 일과
| 나머지 일과, 방과후 프로그램 등은 이곳에 작성합니다. |
7. 운동부
사격부가 존재한다.8. 출신 인물
| <colbgcolor=#E9ECEF,#101112>가나다순으로 정렬합니다. |
| 나무위키에 등재되어 있거나 등재기준을 만족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9.1. 버스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유성여자고등학교(42510·42520) ||
| 간선 |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유성장애인복지관/지족동(42450·42460) ||
| 대전광역시 시내버스 | |
| 간선 | |
| 지선 | |
| 공주시 시내버스 | |
| 일반 | |
10. 기타
[기준] 2024년[기준] 2025년[3] '''https://yuseongghs.djsch.kr/boardCnts/list.do?boardID=51573&m=0202&s=yuseong-gshs 2025학년도 유성여자고등학교 대학입시 결과[4] '''https://yuseongghs.djsch.kr/boardCnts/view.do?boardID=49333&boardSeq=8853496&lev=0&searchType=null&statusYN=N&page=1&pSize=1&s=yuseong-gshs&m=0413&opType=N 드론으로 본 유성여자고등학교 시설 전경[5] 1층 본부 교무실, 2층 2학년 교무실, 3층 3학년 교무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