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31 21:18:48

유러피언 럭비 챔피언스 컵

European Rugby Champions Cup
파일:유러피언 럭비 챔피언스 컵 로고 (Investec).svg
<colbgcolor=#000038><colcolor=#fff> 창설 1995년
이전 명칭 하이네켄 컵 (1995~2014)[1]
종목 럭비 유니언
주관 유러피언 프로페셔널 클럽 럭비
팀 수 24팀
참가국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8팀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8팀
파일:URC.png URC 8팀
최근 우승 파일:프랑스 국기.svg 위니옹 보르도 베글 2024-25
최다 우승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타드 툴루쟁 6회
하위 대회 EPCR 챌린지 컵
관련 대회 프림 럭비
TOP 14
유나이티드 럭비 챔피언십

1. 개요2. 상세
2.1. 2022-23 시즌 이전2.2. 2023-24 시즌 이후
3. 역대 시즌 요약
3.1. 클럽별 우승 횟수3.2. 국가별 우승 횟수3.3. 메이저 더블
4. 올해의 유럽 선수5. 통계6. 둘러보기


1. 개요

1995년 럭비 유니언이 프로화를 선언함에 따라 출범한 유럽의 통합 프로 럭비 유니언 컵 대회. 유러피언 프로페셔널 클럽 럭비(EPCR)가 주관하는 최상위 대회다. 평균 관중은 프림 럭비나 TOP 14와 비슷한 15,000여명을 유지하고 있다.
참가 대상은 전년도 잉글랜드 프림 럭비, 프랑스 TOP 14, 유나이티드 럭비 챔피언십 각 리그의 상위 8개팀을 기본으로 하나, 전 시즌 EPCR 챌린지 컵 우승팀에겐 자동 출전권이 주어진다. 이로 인한 시드 초과는 해당 리그에서 삭감. 예를 들어 2021-22 시즌 챌린지 컵 우승팀인 리옹 OU는 2021-22 시즌 TOP 14에서 9위를 했는데, 8위를 한 RC 툴로네 대신 2022-23 시즌 챔피언스 컵에 갔고 반대로 RC 툴로네는 챌린지 컵에 갔다.

오랜 기간 하이네켄이 대회를 후원하며 아예 하이네켄 컵으로도 불렸으나, 하이네켄과의 연장된 계약 만료 기간인 2022-23 시즌이 끝나고 2023년 8월 영국의 은행 인베스텍이 스폰서쉽을 사들이면서 컵 명칭과 로고가 변경되었다.
Champions Cup - The Elite of European Club Rugby

2. 상세

시즌은 12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진행된다. 참가팀들의 원소속 리그와 기간이 겹치기 때문에 경기당 1주 휴식을 보장하기 위해 각자 리그와 일정이 겹치지 않도록 번갈아 가며 경기를 잡는다. 조별리그에서 승점이 같은 경우 아래의 절차에 따라 순위를 정한다.
1. 득실차
2. 총 트라이
3. 최소 레드/옐로카드
4. 제비뽑기

2.1. 2022-23 시즌 이전

조별리그 방식이 상당히 특이하다. 아래의 표와 설명을 보자.
<rowcolor=#fff> 티어 팀 조합
1 1조 TOP 14 1위, 프림 1위, URC 1위
2조 TOP 14 2위, 프림 2위, URC 2위
중략
4 7조 TOP 14 7위, 프림 7위, URC 7위
8조 TOP 14 8위, 프림 8위, URC 8위
이렇게 조를 짜고, 아래의 규칙에 따라 조별리그를 진행한다.
1. 티어1과 4, 티어2와 3이 한 그룹이 된다 (그룹당 12팀)
2. 그룹 내 다른 티어에서 다른 리그 출신 4팀 중 상대할 두 팀을 정한다.
3. 서로 선택한 팀과 홈&어웨이로 2번 경기를 하여 각 팀은 4경기를 치른다.
이해가 쉽도록 예시를 들면, TOP 14에서 1위를 했던 팀은 티어1이니까 티어4에 속한 프림 7~8위 팀과 URC 7~8위 팀 중 두 팀을 상대해야 한다. 출신 리그별로 한 팀씩 골라야 하기 때문에 프림 한 팀, URC 한 팀을 고르면 된다.

이렇게 그룹 내에서 상대하는 팀들이 반반으로 갈리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12팀을 풀A와 풀B로 구분을 하고 순위를 매길 수 있다. 승점 제도는 표준 시스템을 적용하여 승무패 4/2/0을 기본으로 4개 이상 트라이 성공 시 1점, 1~7점차 패배 시 1점을 추가로 부여한다. 경기는 홈&어웨이로 2번 총 4경기를 치르게 되며, 결과에 따라 각 풀 상위 8팀은 16강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여기서 탈락한 팀 중 성적이 높은 팀부터 EPCR 챌린지 컵 16강 토너먼트의 빈자리에 배정되어 계속 대회를 이어갈 수 있다.[2]
16강부터는 단판승부로 결승까지 진행한다.[3] 16강 시드는 성적에 따라 1번부터 16번까지 부여하며 1번vs16번, 2번vs15번, 3번vs14번... 이런 식으로 대진을 짠다. 사전에 지정된 구장에서 열리는 결승전을 제외하고 모든 토너먼트 경기는 조별리그 성적이 더 좋은 팀의 홈에서 진행한다.

첫 시즌엔 프랑스, 아일랜드, 이탈리아, 웨일스, 그리고 루마니아 팀이 있었다. 그러나 두 번째 시즌부터 루마니아는 방출되고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가 합류하여 오늘날의 모습을 갖췄다.

2017년과 2021년 URC에 합류한 남아공 팀들은 2021-22 시즌까지 참가할 수 없었다. 유러피언 컵이기 때문에 유럽 리그에 참가하고 있음에도 출전 자격을 얻지 못했던 것이다. 그러다 2022-23 시즌이 되어 출전 자격을 얻었다.

2017-18 시즌 결승전은 스페인 빌바오에서 개최되어 52,000여명의 관중을 끌어모았다.

2.2. 2023-24 시즌 이후

조별리그가 훨씬 단순해졌다. 각 리그에서 2팀씩 6팀으로 4개조를 차린 뒤, 같은 리그 출신 팀과는 만나지 않는 싱글 라운드 로빈을 돌린다. 결과에 따라 상위 4팀은 16강에, 5위는 챌린지 컵 16강에, 6위는 최종 탈락한다. 3분의 2가 16강에 진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전패를 해도 진출이 가능하다.[4]

3. 역대 시즌 요약

||<rowbgcolor=#000038><tablebgcolor=#fff,#2d2f34><tablebordercolor=#000038><rowcolor=#fff> 시즌 || 결승전 || 결승 경기장 || 결승전 관중 || 평균 관중 ||2016-17 시즌 사라센스가 2연패에 성공한 이후 5년동안 매 시즌 컵의 주인이 바뀌어 왔으나, 2022-23 시즌 스타드 로셸레가 6년만에 2연패에 성공했다.

역사상 연장전까지 경기가 이어진 결승전은 세 번 뿐이었는데, 세 번 모두 스타드 툴루쟁이 승리했다. 해당년도는 1995-96 시즌, 2004-05 시즌, 2023-24 시즌.

3.1. 클럽별 우승 횟수

<rowcolor=#fff> 클럽 우승 (최근) 준우승 (최근)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타드 툴루쟁 6회 (2023-24) 2회 (2007-08)
파일:아일랜드럭비.png 렌스터 럭비 4회 (2017-18) 4회 (2023-24)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사라센스 FC 3회 (2018-19) 1회 (2013-14)
파일:프랑스 국기.svg RC 툴로네 3회 (2014-15)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레스터 타이거즈 2회 (2001-02) 3회 (2008-09)
파일:아일랜드럭비.png 먼스터 럭비 2회 (2007-08) 2회 (2001-02)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타드 로셸레 2회 (2022-23) 1회 (2020-2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런던 와스프스 2회 (2006-07)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노샘프턴 세인츠 1회 (1999-00) 2회 (2024-25)
파일:아일랜드럭비.png 얼스터 럭비 1회 (1998-99) 1회 (2011-12)
파일:프랑스 국기.svg CA 브리브 1회 (1996-97) 1회 (1997-98)
파일:프랑스 국기.svg 위니옹 보르도 베글 1회 (2024-2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엑서터 치프스 1회 (2019-20)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바스 럭비 1회 (1997-98) -
파일:프랑스 국기.svg 라싱 92 - 3회 (2019-20)
파일:프랑스 국기.svg ASM 클레르몽 오베르뉴 - 3회 (2016-17)
파일:프랑스 국기.svg 비아리츠 올랭피크 - 2회 (2009-10)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타드 프랑세 파리 - 2회 (2004-05)
파일:프랑스 국기.svg USA 페르피냥 - 1회 (2002-03)
파일:프랑스 국기.svg 콜로미에 럭비 - 1회 (1998-99)
파일:웨일스 국기.svg 카디프 럭비 - 1회 (1995-96)

3.2. 국가별 우승 횟수

<rowcolor=#fff> 국가 우승 (최근) 준우승 (최근)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3회 (2024-25) 16회 (2020-2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10회 (2019-20) 6회 (2024-25)
파일:아일랜드럭비.png 아일랜드 7회 (2017-18) 7회 (2023-24)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 1회 (1995-96)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 -

3.3. 메이저 더블

한 시즌에 챔피언스 컵과 리그 우승을 동시에 하는 것을 메이저 더블이라고 한다. 2023-24 시즌까지 29년 동안 11번, 7개의 클럽이 이를 성공했다.
1995-96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타드 툴루쟁
2000-0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레스터 타이거즈
2001-0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레스터 타이거즈
2003-04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런던 와스프스
2013-14 파일:프랑스 국기.svg 툴롱
2015-16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사라센스
2017-18 파일:IRFU 로고.png 렌스터
2018-19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사라센스
2019-2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엑서터 치프스
2020-21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타드 툴루쟁
2023-24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타드 툴루쟁
스타드 툴루쟁이 3회, 레스터 타이거즈와 사라센스가 2회 성공했으며, 레스터는 유일한 두 시즌 연속 메이저 더블 성공팀이다.

4. 올해의 유럽 선수

2010년부터 최우수 선수를 선정하고 있다. 유럽 최고의 대회이기 때문에 타이틀도 올해의 유럽 선수다. 그렇다고 유럽 출신 선수에게만 주는건 아니다. 대회에 참가한 클럽의 선수라면 누구나 받을 수 있다.
<rowcolor=#fff> 시즌 이름 소속 비고
2009-10 파일:IRFU 로고.png 로넌 오가라 파일:IRFU 로고.png 먼스터 럭비 [5]
2010-11 파일:IRFU 로고.png 션 오브라이언 파일:IRFU 로고.png 렌스터 럭비 우승
2011-12 파일:IRFU 로고.png 롭 커니 파일:IRFU 로고.png 렌스터 럭비 우승
2012-1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조니 윌킨슨 파일:프랑스 국기.svg RC 툴로네 우승
2013-14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스테폰 아미티지 파일:프랑스 국기.svg RC 툴로네 우승
2014-1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닉 어벤다논 파일:프랑스 국기.svg ASM 클레르몽 준우승
2015-16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마로 이토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사라센스 FC 우승
2016-17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오웬 패럴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사라센스 FC 우승
2017-18 파일:피지 국기.svg 레오니 나카라와 파일:프랑스 국기.svg 라싱 92 준우승
2018-19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알렉스 구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사라센스 FC 우승
2019-2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샘 시몬즈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엑서터 치프스 우승
2020-21 파일:프랑스 국기.svg 앙투안 뒤퐁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타드 툴루쟁 우승
2021-22 파일:IRFU 로고.png 조시 반더플리어 파일:IRFU 로고.png 렌스터 럭비 준우승
2022-23 파일:프랑스 국기.svg 그레고리 알드리트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타드 로셸레 우승
2023-24 파일:프랑스 국기.svg 앙투안 뒤퐁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타드 툴루쟁 우승
2024-25 파일:프랑스 국기.svg 다미앙 프노 파일:프랑스 국기.svg 위니옹 보르도 베글 우승
이 중에서 같은 해에 월드 럭비 올해의 선수에 선정된 건 앙투안 뒤퐁조시 반더플리어뿐이다. 사실 뉴질랜드 선수들이 상을 싹쓸이해서 그렇긴 하지만.[6]

5. 통계

2023-24 시즌 이후 기준이다. 현역은 볼드체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 파일:유러피언 프로페셔널 클럽 럭비 로고.png 유러피언 프로페셔널 클럽 럭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79602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EPCR 이사회
파일:England rugby logo.png 파일: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Italian Rugby Federation.png 파일:Scottish Rugby Union.png 파일:Welsh_Rugby_Union_logo.svg.png 파일:아일랜드 럭비협회.svg 파일:SARU_logo.svg.png
EPCR 집행위원회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English Premiership Rugby.png 파일:TOP 14 로고.png 파일:URC_Logo.jpg }}}
EPCR 주관 대회
파일:유러피언 럭비 챔피언스 컵 로고 (Investec).svg 파일:EPCR 챌린지 컵 로고.svg
}}}}}}}}}}}} ||

[1] 스폰서상의 이유로 2018~2023년 하이네켄 챔피언스 컵, 2023년부터 인베스텍 챔피언스 컵으로도 불린다.[2] 챌린지 컵 팀이 18개라 조별리그로 한 번 걸러내면 16강에 빈자리가 꽤 많이 생긴다. 여기에 챔피언스컵 탈락 팀을 채워 넣는 것이다.[3] 2022-23 시즌부터 16강이 2판에서 단판으로 줄었다.[4] 전패 시 최대 승점이 8점인데, 다른 두 팀이 1승 1무 2패를 해주고 승점을 6~7점밖에 따지 못했을 때 전패한 팀은 4위가 된다.[5] 첫 수상인만큼 훨씬 특별한 의미가 있는 해였다. 한 시즌의 최우수 선수가 아니라, 1995년 대회 개막 이후 15년간 최고의 선수로 선정된 것.[6] 북반구 선수가 월드 럭비 올해의 선수에 선정된 2018년과 2011년엔 각각 렌스터의 조니 섹스턴, 툴루즈의 티에리 뒤소투아르였다.[7] 2014년과 2015년 결승전엔 출전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