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PCR Challenge Cup | |
| | |
| <colbgcolor=#0c0c0c><colcolor=#c4dd2c> 창설 | 1996년 |
| 이전 명칭 | 유러피언 챌린지 컵 (1996~2014) 유러피언 럭비 챌린지 컵 (2014~2021) |
| 종목 | 럭비 유니언 |
| 주관 | 유러피언 프로페셔널 클럽 럭비 |
| 팀 수 | 18팀 |
| 참가국 | 초청 2팀 |
| 최근 우승 | |
| 최다 우승 | |
| 상위 대회 | 유러피언 럭비 챔피언스 컵 |
| 관련 대회 | 프림 럭비 TOP 14 유나이티드 럭비 챔피언십 챔프 럭비 프로 D2 |
1. 개요
1995년 럭비 유니언이 프로화를 선언함에 따라 출범한 유럽의 통합 프로 럭비 유니언 컵 대회이다. 전년도 잉글랜드 프림 럭비와 챔프 럭비, 프랑스 TOP 14와 프로 D2, 유나이티드 럭비 챔피언십 5개 리그 결과에 따라 유러피언 럭비 챔피언스 컵에 진출하지 못한 클럽들이 참가한다. 단, 전 시즌 챌린지 컵 우승팀은 다음 시즌 챔피언스 컵에 자동 진출한다.2022-23 시즌 툴롱과 글래스고가 각각 첫 우승과 준우승을 해냈다. 비록 가장 권위 있는 대회는 아니지만 첫 결승 진출인 글래스고에겐 꽤나 의미있는 일. 2023-24 시즌은 샤크스가 우승하며 남아공 클럽 최초로 유러피언컵 우승을 차지했다.
최근까지 "유러피언 럭비 챌린지 컵"으로 불리다가 2021-22 시즌부터 현재의 로고와 브랜드를 사용하고 있다.
| 2020-21 시즌까지 쓰였던 로고 |
2. 상세
승점 제도는 표준 시스템을 적용하여 승무패 4/2/0을 기본으로 4개 이상 트라이 성공 시 1점, 1~7점차 패배 시 1점을 추가로 부여한다.2.1. 2022-23 시즌 이전
매 시즌 조금씩 진행 방법이 바뀌어 왔지만, 2022-23 시즌을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2022-23 시즌은 한자리가 남아 남아공의 치타스를 초청해 18개 팀을 맞췄다. 챔피언스 컵과 같이 12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각국 리그와 비슷한 기간에 진행된다. 각국 리그와 기간이 겹칠 땐 선수들에게 무리가 가지 않도록 1주일 휴식이 가능하도록 번갈아 경기가 잡힌다.조별리그가 과거에 꽤 특이한 방식으로 진행됐는데, 18개 팀을 반반으로 나눠서 지정된 1팀을 홈&어웨이로 2번 상대한다. 앞서 반반으로 나뒨 팀들을 A, B조로 분류한 뒤 경기 결과에 따라 성적 순으로 나열하여 n개 팀을 토너먼트에 진출시킨다. 왜 팀 수를 이렇게 말하냐면, 일단 조별리그에서 절반쯤 탈락시킨 뒤 챔피언스 컵 조별리그 탈락 팀들을 챌린지 컵 16강에 진출시켰기 때문이다. 챔피언스 컵이 챌린지 컵 진행에 영향을 주는데, 매년 챌린지 컵 판이 바뀌니 챔피언스 컵 진행 방식도 매 시즌 조금씩 달랐었다. 또 몇몇 시즌은 참가 팀들을 여러 조로 나누어 조별리그를 진행한 각 조 1위는 모두 진출시키고, 각 조 2위 중 성적이 높은 팀을 16강에 진출시키는 방식을 채용했었다.
초창기부터 루마니아, 스페인, 포르투갈 팀들도 꾸준히 참가했었고 2015-16 시즌부턴 러시아 팀까지 참가했지만 2020-21 시즌을 끝으로 이들은 럭비 유럽 슈퍼 컵으로 독립한다.
2017년과 2021년 URC에 합류한 남아공 팀들은 2021-22 시즌까지 참가할 수 없었다. 유러피언 컵이기 때문에 유럽 리그에 참가하고 있음에도 출전 자격을 얻지 못했던 것이다. 그러다 2022-23 시즌이 되어 출전 자격을 얻었다.
2017-18 시즌 결승전은 스페인의 빌바오에서 열렸다. 3만이 넘는 관중을 모으며 꽤 성공을 거두었다.
2.2. 2023-24 시즌 이후
조별리그가 쉽고 체계적으로 바뀌었다. 6팀으로 3개조를 꾸린 뒤에 특정 1팀과는 만나지 않는, 각 팀이 4경기씩 경기를 치르는 조별리그를 통해 상위 4팀을 16강에 진출시킨다. 16강의 남은 4자리는 역시 챔피언스 컵 조별리그 5위 팀들로 채운다. 3분의 2가 16강에 진출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전패를 하더라도 진출이 가능하다.[1] 16강 대진이 완성되면 결승전까지 단판 토너먼트를 진행한다. 사전에 지정된 구장에서 열리는 결승전을 제외하고 모든 토너먼트 경기는 조별리그 성적이 더 좋은 팀의 홈에서 진행한다.3. 역대 시즌 요약
||<tablebordercolor=#0c0c0c><rowbgcolor=#c4dd2c><rowcolor=#0c0c0c><tablebgcolor=#fff,#2d2f34> 시즌 || 결승전 || 결승 경기장 || 결승전 관중 || 평균 관중 ||3.1. 클럽별 우승 횟수
| <rowcolor=#c4dd2c> 클럽 | 우승 (최근) | 준우승 (최근) |
| 3회 (2018-19) | 1회 (2003-04) | |
| 3회 (2010-11) | 1회 (2015-16) | |
| 2회 (2024-25) | 3회 (2013-14) | |
| 2회 (2014-15) | 3회 (2023-24) | |
| 2회 (2020-21) | - | |
| 2회 (2017-18) | - | |
| 2회 (2013-14) | - | |
| 2회 (2004-05) | - | |
| 1회 (2022-23) | 4회 (2021-22) | |
| 1회 (2016-17) | 2회 (2012-13) | |
| 1회 (1996-97) | 2회 (2008-09) | |
| 1회 (2021-22) | 1회 (2024-25) | |
| 1회 (1999-00) | 1회 (2004-05) | |
| 1회 (2023-24) | - | |
| 1회 (2019-20) | - | |
| 1회 (2012-13) | - | |
| 1회 (2011-12) | - | |
| 1회 (2002-03) | - | |
| 1회 (1997-98) | - | |
| - | 2회 (1999-00) | |
| - | 1회 (2022-23) | |
| - | 1회 (2020-21) | |
| - | 1회 (2018-19) | |
| - | 1회 (2014-15) | |
| - | 1회 (2007-08) | |
| - | 1회 (2005-06) | |
| - | 1회 (2001-02) | |
| - | 1회 (2000-01) | |
| - | 1회 (1997-98) |
3.2. 국가별 우승 횟수
| <rowcolor=#c4dd2c> 국가 | 우승 (최근) | 준우승 (최근) |
| 12회 (2022-23) | 16회 (2024-25) | |
| 13회 (2024-25) | 10회 (2023-24) | |
| 2회 (2017-18) | 1회 (2001-02) | |
| 1회 (2023-24) | - | |
| 1회 (2012-13) | - | |
| - | 2회 (2022-2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마이너 더블
한 시즌에 챌린지 컵과 리그 우승을 동시에 하는 것을 마이너 더블이라고 한다. 2024-25 시즌까지 29년동안 3개의 클럽이 한 번씩 성공했다.| 2002-03 | |
| 2012-13 | |
| 2013-14 |
4. 통계
2023-24 시즌 이후 기준이며 현역은 볼드체- 최다 출전
마이클 스위프트
67회 미키 워드
58회 플로린 블라이쿠
57회 톰 메이
54회 에릭 엘우드
53회 제이미 눈
- 최다 득점
루도빅 메시에르
520점 조니 윌킨슨
485점 에릭 엘우드
473점 올리 바클리
418점 제랄드 메세론
349점 - 최다 트라이
톰 반델
25회 쥘리앙 아리아
22회 리처드 허튼
톱시 오조
20회 장빅토르 베르트랑
19회
5. 유러피언 럭비 컨티넨털 실드
| |
| EUROPEAN RUGBY CONTINENTAL SHIELD |
6.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f>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79602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EPCR 이사회 | ||||||||||
| | | | | | | | |||||
| EPCR 집행위원회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
| EPCR 주관 대회 | |||||||||||
| | | ||||||||||
[1] 4패 시 최대 승점 8점이라 다른 두 팀이 1승 1무 2패, 승점 6~7점을 해주면 전패한 팀은 4위가 된다.[2] TOP 14, 프리미어십 럭비, 유나이티드 럭비 챔피언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