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000 40%, #000 60%, #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border-radius:5px;" |사카모토 신타로 카메카와 치요† 시바타 이치로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fff,#fff {{{#!folding [ Studio Albums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 | ||||
| 1992 | 1994 | 1996 | 1998 | 1999 | |
| 2001 | 2003 | 2003 | 2005 | 2007 |
| <colbgcolor=#000><colcolor=#ffffff> | |
| | |
| 그룹명 | ゆらゆら帝国 |
| 멤버 | 사카모토 신타로(기타, 리드보컬) 카메카와 치요†(베이스) 시바타 이치로(드럼) |
| 결성 | 1989년 2월 |
| 해체 | 2010년 3월 31일 |
| 장르 | 사이키델릭 록 |
1. 개요
1989년 도쿄에서 결성된 일본 록 밴드다. 2010년 해산했다.2. 상세
기타, 보컬의 사카모토 신타로를 중심으로 1989년 도쿄에서 결성되어 멤버의 변동을 거쳐 1998년에 발매된 4th 앨범 '3×3×3'에서 메이저 데뷔해 멤버도 고정되어 후지록에 출연하기도 하고 음악 팬들 사이에서 컬트적인 인기를 얻어갔다.
밴드명의 '유라유라'는 환각적인 흔들과 도취감을 상징하며 '테이코쿠(제국)'은 폐쇄된 자신들의 세계관을 의미한다.
유라유라 테이코쿠는 사이키델릭 록으로 분류되곤 하지만 단편적으로 국한되기 어렵다. 도어즈나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영향을 많이 받은 듯 보이지만 일본적인 멜로디와 사카모토 신타로의 가사 세계가 합쳐져 다른 밴드들은 흉내 낼 수 없는 유라유라 테이코쿠만의 음악을 만들어 왔다.
3. 역사
1989년 2월. 대학교 2학년이었던 사카모토 신타로가 학우인 요시다 아츠시를 초대해 결성했다. 기치조지의 만다라, 고엔지의 20000V를 중심으로 활동을 시작한다. 당시 멤버는 4명[1] 이었다. 이 무렵, 이카스 밴드 천국에 출연한 이색 밴드인 마리아 칸논(마리아 관음)과 함께 라이브를 기획한다. 이 밴드도 내걸었던 '일본어 록'을 추구했다. 이듬해, 카메카와 치요가 베이스 담당으로 가입, 카메카와의 친구인 하시구치 유우가 기타 담당으로 가입했다.[2][3] 이후 유라유라 테이코쿠는 데모 카세트 테이프를 자주 제작했다.
1992년에는 인디 레이블에서 정규 1집 ゆらゆら帝国 발매했다. 그러나 드럼의 요시다가 청각장애의 악화를 이유로 탈퇴하고 게다가 기타의 하시구치도 탈퇴했다. 이후 대체 멤버로 드럼 담당으로 사와다 모리히데가 가입해서 3인조 밴드가 된다.[4]
1995년 사와다가 탈퇴. 드럼 담당으로 시모다 온센이 가입[5]
1997년, 시모다가 탈퇴. 밴드 허수아비의 멤버였던 시바타 이치로가 가입해서 우리가 아는 유라유라 테이코쿠의 라인업이 완성되었다.[6]
이후 1998년에는 MIDI INC.와 계약해 메이저 데뷔를 했고, 2000년에 이르러서는 후지 록 페스티벌에 2년 마다 참가한다. 2005년에는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일본)로 이적. 2008년에는 소노 시온 감독의 러브 익스포저에 주제가와 여러 삽입곡이 기용되었다.
2010년 3월 31일. 밴드는 돌연 해체를 선언한다. 세 명이서 할 수 있는 것을 다 했다는 것이 이유였다. 유라유라 테이코쿠스러운 해체였다. 이후 각자 개인 음악 활동을 하다가 2024년 4월 7일 베이스의 카메카와 치요가 생을 마감했다.
출처: 위키백과 유라유라 테이코쿠.
출처: 위키백과 유라유라 테이코쿠.
4. 음반
4.1. 정규
ゆらゆら帝国유라유라 테이코쿠 (1992년 4월 25일)
| |
ゆらゆら帝国II유라유라 테이코쿠 II (1994년 6월 10일)
| |
Are You Ra? (1996년 3월 25일)
| |
| 3×3×3 (1998년 4월 15일) | |
ミーのカー미노카(Me No Car) (1999년 6월 16일)
| |
ゆらゆら帝国 III유라유라 테이코쿠 III (2001년 2월 21일)
| |
ゆらゆら帝国のしびれ유라유라 테이코쿠 무너짐 (2003년 2월 26일)
| |
ゆらゆら帝国のめまい유라유라 테이코쿠 현기증 (2003년 2월 26일)
| |
Sweet Spot (2005년 5월 18일)
| |
空洞です공허합니다 (2007년 10월 10일)
|
4.2. EP
太陽の白い粉태양의 흰가루 (1999년 11월 17일)
4.3. 싱글
発光体 / いたずら小僧발광체 / 장난꾸러기 소승 (1998년 7월 8일)[11]
ズックにロック즈크화에 록 (1999년 4월 21일)[12]
ゆらゆら帝国で考え中유라유라 제국에서 생각 중 (2000년 11월 22일)[13]
ラメのパンタロンetc반짝이 나팔바지 etc (2001년 05월 03일)[14]
冷たいギフト/貫通차가운 선물 / 관통 (2002년 11월 20일)[15]
ソフトに死んでいる / Frankie Teardrop소프트하게 죽었어 / 프랭키 티어드롭 (2005년 8월 25일)[16]
ソフトに死んでいる / ロボットでした소프트하게 죽었어 / 로봇이었습니다 (2006년 6월)[17]
つぎの夜へ / 順番には逆らえない다음 날 밤까지 / 운명과 싸울 수 없어 (2006년 6월 21일)[18]
美しい아름다워 (2007년 7월 4일)
できない / あえて抵抗しない난 못 해 / 굳이 저항하지 않아 (2007년 12월 14일)[19]
空洞です공허합니다 (2008년 7월 11일)[20]
ズックにロック즈크화에 록 (1999년 4월 21일)[12]
ゆらゆら帝国で考え中유라유라 제국에서 생각 중 (2000년 11월 22일)[13]
ラメのパンタロンetc반짝이 나팔바지 etc (2001년 05월 03일)[14]
冷たいギフト/貫通차가운 선물 / 관통 (2002년 11월 20일)[15]
ソフトに死んでいる / Frankie Teardrop소프트하게 죽었어 / 프랭키 티어드롭 (2005년 8월 25일)[16]
ソフトに死んでいる / ロボットでした소프트하게 죽었어 / 로봇이었습니다 (2006년 6월)[17]
つぎの夜へ / 順番には逆らえない다음 날 밤까지 / 운명과 싸울 수 없어 (2006년 6월 21일)[18]
美しい아름다워 (2007년 7월 4일)
できない / あえて抵抗しない난 못 해 / 굳이 저항하지 않아 (2007년 12월 14일)[19]
空洞です공허합니다 (2008년 7월 11일)[20]
4.4. 라이브
LIVE (1995년)
な・ま・し・び・れ・な・ま・め・ま・い나·마·시·비·레·나·마·메·마·이 (2003년 11월 26일)
Live 2005-2009 (2011년 1월 26일)
な・ま・し・び・れ・な・ま・め・ま・い나·마·시·비·레·나·마·메·마·이 (2003년 11월 26일)
Live 2005-2009 (2011년 1월 26일)
4.5. 컴필레이션
1998-2004 (2004년 9월 16일)
Remix 2005-2008 (2008년 7월 2일)
Singles 1998-2002 (2013년 2월 27일)
Remix 2005-2008 (2008년 7월 2일)
Singles 1998-2002 (2013년 2월 27일)
5. 영상자료
1991.09.01 클럽 JAM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92.00.00 1집 특전 비디오![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92.00.00 클럽 요요초코![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92.00.00 시모키타자와 쉼터![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92.03.04 클럽 LOFT![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94.00.00 위치미상![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94.08.05 클럽 La. mama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94.11.09 호세이대학 다마캠![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97.09.01 클럽 QAE![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97.09.08 클럽 251![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98.02.09 클럽 QAE![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98.08.29 클럽 LIQUIDROOM![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99.02.05 후지 TV Factory![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99.10.31 오사카시립대학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00.02.09 클럽 LIQUIDROOM![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00.07.29 후지 록 페스티벌![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00.08.19 라이징 선 록 페스티벌
, ,
2001.04.21 클럽 Shelter
,
,
,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01.05.20 히비야공원 대음악당![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02.05.03 클럽 ZEPP![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02.07.28 후지 록 페스티벌![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02.11.09 후지 TV Factory![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03.04.29 클럽 LOFT![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03.11.29 후지 TV Factory![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04.01.17 후지 TV Factory![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04.07.31 후지 록 페스티벌![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04.08.14 라이징 선 록 페스티벌
2006.01.21 후지 TV Factory![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06.07.08 노스 식스![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06.07.30 후지 록 페스티벌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06.08.18 라이징 선 페스티벌
2007.10.10 STUDIO COAST![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07.10.27 후지 TV Factory![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08.04.12 모텔 모자이크![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08.07.27 후지 록 페스티벌![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08.08.16 라이징 선 록 페스티벌
,
2008.10.19 뮤직 홀 오브 윌리엄스버그![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09.04.26 히비야공원 대음악당![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09.08.07 섬머소닉 페스티벌
2009.10.11 메타모어포제
,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날짜미상 클럽 QAE![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날짜미상 HEADZ생중계![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날짜미상 클럽 LIQUIDROOM
,
,
,
,
날짜미상 위치미상
1992.00.00 1집 특전 비디오
1992.00.00 클럽 요요초코
1992.00.00 시모키타자와 쉼터
1992.03.04 클럽 LOFT
1994.00.00 위치미상
1994.08.05 클럽 La. mama
1994.11.09 호세이대학 다마캠
1997.09.01 클럽 QAE
1997.09.08 클럽 251
1998.02.09 클럽 QAE
1998.08.29 클럽 LIQUIDROOM
1999.02.05 후지 TV Factory
1999.10.31 오사카시립대학
2000.02.09 클럽 LIQUIDROOM
2000.07.29 후지 록 페스티벌
2000.08.19 라이징 선 록 페스티벌
2001.04.21 클럽 Shelter
2001.05.20 히비야공원 대음악당
2002.05.03 클럽 ZEPP
2002.07.28 후지 록 페스티벌
2002.11.09 후지 TV Factory
2003.04.29 클럽 LOFT
2003.11.29 후지 TV Factory
2004.01.17 후지 TV Factory
2004.07.31 후지 록 페스티벌
2004.08.14 라이징 선 록 페스티벌
2006.01.21 후지 TV Factory
2006.07.08 노스 식스
2006.07.30 후지 록 페스티벌
2006.08.18 라이징 선 페스티벌
2007.10.10 STUDIO COAST
2007.10.27 후지 TV Factory
2008.04.12 모텔 모자이크
2008.07.27 후지 록 페스티벌
2008.08.16 라이징 선 록 페스티벌
2008.10.19 뮤직 홀 오브 윌리엄스버그
2009.04.26 히비야공원 대음악당
2009.08.07 섬머소닉 페스티벌
2009.10.11 메타모어포제
날짜미상 클럽 QAE
날짜미상 HEADZ생중계
날짜미상 클럽 LIQUIDROOM
날짜미상 위치미상
6. 이야깃거리
- 때때로 화이트 헤븐(밴드)과 고스트(밴드)의 구리하라 미치오가 라이브 때 세션 리드 기타리스트로 참여하였다.
[21]
- 생물을 뜻하는 이키모노의 관련한 가사가 많다.
- 다양한 밴드의 다양한 음악사적 거취들을 많이 가져와 쓴다.
- 사카모토 신타로는 엄청난 기타 리프를 연주하며 노래를 동시에 부르는 기행을 보여준다.
- 카메카와 치요는 노트가 쉴틈이 없지만 정말 깔끔하고 멋진 연주를 보여준다.
- 시바타 이치로는 드럼 구성이 독특하다. 스네어를 무릎 사이에 끼우고, 좌우가 반전된 듯한 구성을 사용하기도 한다.
- 미노카까지 생계유지를 위해 아르바이트를 했다고 한다.
- 이치로와 치요 둘 다 취재 등을 껄끄러워 해서 그나마 신타로가 한편 이라고 한다.실제로 인터뷰를 영상들을 보면 사카모토 신타로가 열심히 말을 하고, 나머지 둘은 담배를 태우거나 가만히 앉아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사카모토 신타로는 1967년 9월 9일생
- 엔지니어 나카무라 소이치로(PEACE MUSIC 운영)는 유라유라 제국에서도 극히 “밴드 주도형 사운드 메이킹”을 중시했다. 최종 마스터는 타인에게 절대 들려주지 않고 자신들만으로 완성한다는 철저한 태도를 보였다.
[1] 사카모토 신타로기타, 요시다 아츠시드럼, 아사미 카즈마사베이스, 불명기타(추측)[2] 여담으로 카메카와 치요가 밴드에 가입 할 때 사카모토 신타로는 미즈키 시게루의 만화를 좋아했는데 미즈키 시게루 만화에 나오는 캐릭터 같다고 좋아했다고 한다.[3] 사카모토 신타로기타, 요시다 아츠시드럼, 카메카와 치요베이스, 하시구치 유우기타[4] 사카모토 신타로기타, 사와다 모리히데드럼, 카메카와 치요베이스[5] 사카모토 신타로기타, 카메카와 치요베이스, 시모다 온센드럼[6] 사카모토 신타로기타, 카메카와 치요베이스, 시바타 이치로드럼[7] 밴드 킹크스에게 영향을 받은 듯한 리프가 인상적이다.[8] 밴드 티렉스에게 영향을 받은 듯한 리프와 하다카노 라리즈에게 영향을 받은 듯한 베이스 라인이 인상적이다.[9] 밴드 도어즈에게 영향을 받은 듯한 베이스 라인과 잭스(밴드)에게 영향을 받을 듯한 솔로 라인이 인상적이다.[10] 밴드 티렉스에게 영향을 받은 듯한 리프가 인상적이다.[11] + 1998년 2월 25일 7인치 싱글 LP[12] + 1999년 4월 21일 10인치 싱글 LP[13] + 7인치 싱글 LP[14] + 카세트 테이프[15] + 2003년 2월 28일 10인치 싱글 LP[16] 12인치 싱글 LP[17] 12인치 싱글 LP[18] + 2006년 8월 25일 12인치 싱글 LP[19] 12인치 싱글 LP[20] 12인치 싱글 LP[21] 1999년 카메카와 치요가 입원을 해 기타 둘에 드럼 하나 구성으로 라이브를 했다는 기록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