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9 01:17:05

워쉽 플릿 커맨드/구축함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워쉽 플릿 커맨드|워쉽 플릿 커맨드]]

1. 개요2. 상세3. 1성
3.1. ★ - 사쿠라3.2. ★ - 라이트풋3.3. ★ - B97
4. 2성
4.1. ★★ - 클렘슨4.2. ★★ - 오펠리아4.3. ★★ - 경기
5. 3성
5.1. ★★★ - 후부키5.2. ★★★ - Z15.3. ★★★ - 5.4. ★★★ - 자구아르
6. 4성
6.1. ★★★★ - 윌리엄 D. 포터6.2. ★★★★ - 플레처6.3. ★★★★ - Z216.4. ★★★★ - 레닌그라드6.5. ★★★★ - Z376.6. ★★★★ - 아야나미6.7. ★★★★ - 서울6.8. ★★★★ - 하디6.9. ★★★★ - 시구레
7. 5성
7.1. ★★★★★ - 알렌 M. 섬너7.2. ★★★★★ - 아샨티7.3. ★★★★★ - 시마카제7.4. ★★★★★ - 기어링7.5. ★★★★★ - 카게로7.6. ★★★★★ - 아키즈키7.7. ★★★★★ - Z467.8. ★★★★★ - 유키카제7.9. ★★★★★ - 라이트닝7.10. ★★★★★ - 슈페크로이처

1. 개요

모바일 게임 워쉽 플릿 커맨드에 등장하는 함선 중 구축함의 목록이다.

2. 상세

워십 플릿 커맨드의 구축함은 현실과 상당히 다른 편이다. 고증상에 있던 아군 호위 및 대공/대잠 지원은 상당히 줄어들고 2차대전 당시 일본 해군이 좋아하던 어뢰전에 기능이 거의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이게 쓰이는 구축함인지 보는 가장 1차적인 방법은 동급 배에 비해 어뢰관이 더 많이 달렸고, 어뢰가 더 쎄냐이다.[1] 인게임 상 어뢰전은 정확히는 야간 어뢰전에 가까운데, 비록 전투는 주간이지만 적 구축함은 아군 함포를 거의 무시하다시피 하는 탓에 근접을 허용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2] 인게임상 구축함은 높은 회피율과 극도로 낮은 장갑을 보유하는 탓에 다수의 구축함은 접근전 이전에 잡아내기 힘들다. 따라서 PVP 국룰은 6구축함 또는 4구축 2순양으로 전부 일제로 도배하는 것. 다 필요 없고 시마카제/카게로/유키카제/아키즈키[3]/시구레/아이나미/후부키 외엔 잘 쓰이지 않는다. 전반적으로 인게임상 호위라는 개념이 희박한 탓에 밸런스를 위해 수뢰전 성능이 강화되었고, 그 때문에 구축함 성능을 수뢰전에 극도로 치중했던 일본 구축함이 여기선 날개 달고 날아오른 셈.

이 부분에서 적어도 PVP에서는 마찬가지로 구축함 전대를 쓰면 되기에 큰 문제는 없다. 구축함은 구축함으로 잡아야 하며, 심지어 고증상 천적이어야 할 순양함도 상성상 비기는 정도이며 중순양함쯤 되면 역으로 잡아먹힐때도 많다. PVP에 전함과 순양함으로 중무장한 함대를 끌고 갔다가 태피 3에 빙의한 적에게 레이테 만 해전의 일본함대마냥 깨지고 돌아오는 경우도 부지기수. 이 경우 그래도 화력 우위가 뚜렷한 독일 구축함까진 어떻게 써볼 만 하지만 미국이나 영국 구축함은 사실 꽤 밀리는 편이다.[4]

반대로 PVE에서 구축함은 매우 아쉬운데, 화력도 좋고 회피율도 좋지만 일단 맞으면 너무 피해가 크며, 기동도 워낙 빨라 먼저 달려가서 맞고 죽으면 그만큼 수리권이 날아가므로 잘 쓰지 않는다. PVE에서도 상대 구축함이 어뢰를 아군 전함에 다발로 명중시켜 발목을 잡고 수리권을 뽑아가는 모습을 보면 상당히 아쉬운 부분.

2.0 패치에선 대 잠수함 폭뢰 기능이 추가되고 수리권 소모 개념이 사라지는 탓에 지금보다도 훨씬 강해질 것으로 예측된다. 1.0 초반의 구축함 강세가 부활할수도 있어 보이는데, 한편으로는 국적 시너지가 사라지고 제독으로 전대에 보너스를 주는 식으로 바뀐다면 타국 구축함도 지금보단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까진 일본 구축함의 "산소어뢰" 보너스[5] 때문에 굳이 타국의 5성을 쓰느니 3~4성 일제 구축함을 쓰는 것이 더 유리했다.

다른 목록은 아래 링크로
워쉽 플릿 커맨드/순양함
워쉽 플릿 커맨드/전함
각 항목과 수치는 도감의 순서대로 100레벨, 마스터피스 완성도를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장갑 수치는 현측 / 갑판 / 추가장갑 순서.
스펙이나 설명은 2.0 업데이트 이후 변경될 예정이니 참조 바람

3. 1성

3.1. ★ - 사쿠라

사쿠라
파일:D001_사쿠라.jpg
<colbgcolor=#4b4b4b><colcolor=#fff> 등급
생존력 33,884
기동 51
기만 140
포탑 장갑 3
현측 장갑 25
갑판 장갑 13
방뢰 효율 20%
화재 저항 5.4%
침수 저항 9%
초당 복구 3.2%/s
설명 사쿠라는 우미카제급에 비해 가볍고 안정성이 높았다. 1차대전 당시 일본은 영일 동맹 조약을 지키기 위해 대양 항해가 가능한 최신 군함, 사쿠라와 자매함인 타치바나를 파견했다.
주무장
포문 3인치 단장포 4문
화력 1,492
관통력 9
분당 발사수 5 (12초)
주포 사거리 1.97
집탄 50.5
최대 낙하각도 38°
회전속도 20°/s
화재 발생 확률 2.1%
부무장
없음
대공포
화력 22
분당 발사 수 27.27 (2.2초)
사거리 1.0
명중률 33%
어뢰
발사관 18인치 연장 발사관 2기 4문
화력 7,391
분당 발사 수 1.35 (44.44초)
어뢰 사거리 1.0
어뢰 속도 187
침수 확률 14.9%
대잠 폭뢰
화력 5,000
분당 발사 수 2 (30초)
사거리 0.05
주포의 사거리가 짧아 적을 공격하기 어렵고 무엇보다 2연장 어뢰는 대상과 가깝거나 예측과 다른 경로로 이동할 때 겨우 명중시킬 수 있는 수준이다. 갈아서 자원 수급용으로 사용하자

3.2. ★ - 라이트풋

라이트풋
파일:D002_라이트풋.jpg
<colbgcolor=#4b4b4b><colcolor=#fff> 등급
생존력 32,313
기동 58
기만 141
포탑 장갑 3
현측 장갑 25
갑판 장갑 13
방뢰 효율 20%
화재 저항 6%
침수 저항 5%
초당 복구 2.8%/s
설명 라이트풋은 하리치 부대에서 소함대 지휘함으로서 활약했다. 라이트풋은 1915년부터 1917년까지 다양한 작전에 참여하여 독일의 잠수함, 어뢰정과 교전했다.
주무장
포문 4인치 단장포 4문
화력 1,829
관통력 36
분당 발사수 13 (4.62초)
주포 사거리 1.95
집탄 44.5
최대 낙하각도 41°
회전속도 40°/s
화재 발생 확률 2.9%
부무장
없음
대공포
화력 35
분당 발사 수 16.67 (3.6초)
사거리 1.15
명중률 34.5%
어뢰
발사관 21인치 연장 발사관 2기 4문
화력 6,876
분당 발사 수 1.08 (55.55초)
어뢰 사거리 1.58
어뢰 속도 175
침수 확률 7.5%
대잠 폭뢰
화력 5,000
분당 발사 수 2 (30초)
사거리 0.05
동급의 사쿠라급 구축함보다는 주포가 조금은 더 낫지만, 어뢰가 더 약하다. 어차피 1~2성급 함선들은 1차 대전의 구식 설계를 기반으로 하기에 쓰기 애매하다.

3.3. ★ - B97

B97
파일:D003_B97.jpg
<colbgcolor=#4b4b4b><colcolor=#fff> 등급
생존력 32,653
기동 61
기만 151
포탑 장갑 3
현측 장갑 27
갑판 장갑 13
방뢰 효율 20%
화재 저항 5.9%
침수 저항 5.7%
초당 복구 3%/s
설명 B97은 발트해와 북해, 영국 해협에서 활동했으며 유틀란트 해전과 알비온 작전에 참전했다. 이후 독일의 대양함대 자침사건으로 자매함이 모두 자침했으나 B97은 보상함으로서 이탈리아에 넘겨졌다.
주무장
포문 3.5인치 단장포 4문
화력 1,654
관통력 18
분당 발사수 15 (4초)
주포 사거리 2.26
집탄 46.5
최대 낙하각도 40°
회전속도 36°/s
화재 발생 확률 2.2%
부무장
없음
대공포
화력 113
분당 발사 수 9.84 (6.1초)
사거리 1.22
명중률 35.4%
어뢰
발사관 17.7인치 단장 발사관 2문, 17.7인치 연장 발사관 2기 4문
화력 8,911
분당 발사 수 1.08 (55.55초)
어뢰 사거리 1.44
어뢰 속도 169
침수 확률 17.5%
대잠 폭뢰
화력 5,000
분당 발사 수 2 (30초)
사거리 0.05
후부키에 비해 어뢰는 약해진 대신 장갑과 화력이 증가했다. 하지만 여전히 사용하긴 애매하다.

4. 2성

4.1. ★★ - 클렘슨

클렘슨
파일:D004_클렘슨.jpg
<colbgcolor=#4b4b4b><colcolor=#fff> 등급 ★★
생존력 33,852
기동 60
기만 147
포탑 장갑 3
현측 장갑 25
갑판 장갑 13
방뢰 효율 20%
화재 저항 7.6%
침수 저항 7.8%
초당 복구 3%/s
설명 클렘슨은 취역 3년만에 퇴역했다. 하지만 2차대전 직후 수상기모함으로 재취역했으며 수상기구축함으로 재분류된 뒤에도 U-172를 포함한 8척의 독일 잠수함을 침몰시켜 태평양 전투에 크게 공헌했다.
주무장
포문 4인치 단장포 4문
화력 1,880
관통력 31
분당 발사수 8 (7.5초)
주포 사거리 2.5
집탄 39.5
최대 낙하각도 41°
회전속도 28°/s
화재 발생 확률 2.4%
부무장
없음
대공포
화력 43
분당 발사 수 16.67 (3.6초)
사거리 1.15
명중률 37.3%
어뢰
발사관 21인치 3연장 발사관 4기 12문
화력 7,729
분당 발사 수 1.08 (55.55초)
어뢰 사거리 1.62
어뢰 속도 169
침수 확률 13.3%
대잠 폭뢰
화력 5,000
분당 발사 수 2 (30초)
사거리 0.05
준수한 사거리를 지닌 12개의 어뢰 발사관을 갖고 있지만 발사관이 함선의 양쪽으로 배치되어 있어 실질적으로는 6개의 어뢰를 발사한다. 1성 구축함들에 비하면 성능이 나아졌으나, 여전히 전반적으로 성능은 아쉬운 편.

4.2. ★★ - 오펠리아

오펠리아
파일:D005_오펠리아.jpg
<colbgcolor=#4b4b4b><colcolor=#fff> 등급 ★★
생존력 34,360
기동 58
기만 154
포탑 장갑 3
현측 장갑 25
갑판 장갑 13
방뢰 효율 20%
화재 저항 7.1%
침수 저항 8%
초당 복구 3%/s
설명 오펠리아는 영국의 대함대에 소속되어 유틀란트 해전에서 싸웠다. 유틀란트 해전에서는 큰 성과가 없었지만 1918년 계류기구에서 관측된 독일의 잠수함 UB-83을 폭뢰로 침몰시켰다.
주무장
포문 4인치 단장포 3문
화력 1,880
관통력 36
분당 발사수 13 (4.62초)
주포 사거리 1.95
집탄 39.5
최대 낙하각도 41°
회전속도 40°/s
화재 발생 확률 3%
부무장
없음
대공포
화력 100
분당 발사 수 16.67 (3.6초)
사거리 1.15
명중률 35.2%
어뢰
발사관 21인치 2연장 발사관 2기 4문
화력 6,997
분당 발사 수 1.08 (55.55초)
어뢰 사거리 1.58
어뢰 속도 175
침수 확률 8.7%
대잠 폭뢰
화력 5,000
분당 발사 수 2 (30초)
사거리 0.05
동급의 클렘슨에 비해 연사력이 늘어났지만, 주포가 1개 적어서 비슷하며, 어뢰가 측면 기준 2발이 줄었다.

4.3. ★★ - 경기

경기
파일:Gyeonggi.png
<colbgcolor=#4b4b4b><colcolor=#fff> 등급 ★★
생존력 31,569
기동 37
기만 90
포탑 장갑 3
현측 장갑 25
갑판 장갑 13
방뢰 효율 20%
화재 저항 8.4%
침수 저항 9.6%
초당 복구 4.1%/s
설명 경기는 캐논급 호위구축함으로 미국에서 취역 당시 '뮤어'라는 이름의 훈련함으로 활동했으며 1956년 대한민국 해군에 대여되었다. 한국전쟁 직후 2척의 간첩선을 나포했고 1968년에는 간첩선을 격침하기도 했다.
주무장
포문 3인치 단장포 3문
화력 1,534
관통력 11
분당 발사수 20 (3초)
주포 사거리 2.41
집탄 44.5
최대 낙하각도 38°
회전속도 64°/s
화재 발생 확률 2.1%
부무장
없음
대공포
화력 108
분당 발사 수 22.22 (2.7초)
사거리 1.08
명중률 33.9%
어뢰
발사관 12.8인치 3연장 발사관 2기 6문
화력 5,240
분당 발사 수 2.3 (26.09초)
어뢰 사거리 1.01
어뢰 속도 158
침수 확률 9.6%
대잠 폭뢰
화력 5,000
분당 발사 수 2 (30초)
사거리 0.05
다른 2성급 구축함들과 성능은 비슷하며, 연사속도가 조금 높은 편.

5. 3성

5.1. ★★★ - 후부키

후부키
파일:D006_후부키.jpg
<colbgcolor=#4b4b4b><colcolor=#fff> 등급 ★★★
생존력 38,029
기동 65
기만 148
포탑 장갑 10
현측 장갑 25
갑판 장갑 13
방뢰 효율 20%
화재 저항 10.3%
침수 저항 11.6%
초당 복구 3.7%/s
설명 후부키는 취역 당시 가장 강력한 구축함이었으며 전쟁 초기 작전을 수행한 베테랑이었다. 하지만 1942년 아이언바텀 해협에서 이뤄진 에스페란스 곶 해전에서 미국의 공격에 의해 침몰했다.
주무장
포문 5인치 연장포 3기 6문
화력 2,257
관통력 46
분당 발사수 9 (6.66초)
주포 사거리 2.79
집탄 32.5
최대 낙하각도 43°
회전속도 20°/s
화재 발생 확률 3.6%
부무장
없음
대공포
화력 152
분당 발사 수 25 (2.4초)
사거리 1.04
명중률 34.6%
어뢰
발사관 24인치 3연장 발사관 3기 9문
화력 14,725
분당 발사 수 0.89 (67.42초)
어뢰 사거리 1.92
어뢰 속도 185
침수 확률 32.3%
대잠 폭뢰
화력 5,000
분당 발사 수 2 (30초)
사거리 0.05
3성부턴 본격적으로 쓸만한 구축함들이 등장하면서, 국가별 특성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그 중 일본 구축함은 연사가 느리지만 발사관이 많고 화력이 높은 어뢰공격이 핵심이며 이는 후부키에서도 뚜렷하게 보이는 특성이다. 주로 일본 수뢰전대를 짤 때도 들어갈 수 있으며, 초반용으로 쓰기에 나쁘지 않다.
지속적인 업데이트로 후부키에도 변화가 생겼는데 바로 어뢰 사거리와 어뢰 분당 발사수 너프이다.주로 일본 구축함들은 긴 어뢰 사거리로 적이 다가오기도 전에 어뢰를 발사하여 공격을 하는 것이 가능하여 자주 쓰였지만,후부키는 어뢰 사거리가 대폭 너프당하여 성능이 애매해졌다 그래도 여전히 많은 어뢰 발사관과 화력덕분에 구축함이 부족한 초보들에게는 쓸만하다

5.2. ★★★ - Z1

Z1
파일:D007_Z1.jpg
<colbgcolor=#4b4b4b><colcolor=#fff> 등급 ★★★
생존력 36,809
기동 61
기만 138
포탑 장갑 7
현측 장갑 27
갑판 장갑 13
방뢰 효율 20%
화재 저항 10.8%
침수 저항 11.7%
초당 복구 4.3%/s
설명 Z1은 2차대전 직전 리투아니아 최후 통첩에 참여했으며 폴란드 군함을 공격하기도 했다. 1940년 2월, 비킹거 작전을 위해 이동 중, 아군 폭격기의 오폭에 의해 최소 1발의 폭탄이 명중해 침몰했다. 전후 조사에서 영국의 기뢰에 접촉해 침몰한 것일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주무장
포문 5인치 단장포 5문
화력 2,257
관통력 43
분당 발사수 15 (4초)
주포 사거리 2.74
집탄 32.5
최대 낙하각도 43°
회전속도 40°/s
화재 발생 확률 3.2%
부무장
없음
대공포
화력 138
분당 발사 수 18.75 (3.2초)
사거리 1.11
명중률 35.8%
어뢰
발사관 21인치 4연장 발사관 2기 8문
화력 11,589
분당 발사 수 0.98 (61.22초)
어뢰 사거리 1.83
어뢰 속도 175
침수 확률 31.7%
대잠 폭뢰
화력 5,000
분당 발사 수 2 (30초)
사거리 0.05
독일 구축함은 비교적 장갑이 높고 포격 능력도 준수하나 어뢰 화력이 낮아 수뢰전에 약하다. 그런데 구축함의 포격 능력은 사실상 큰 의미가 없으므로, 3성 구축함중에선 조금 밀리는 편. 그래도 2성보단 낫다.

5.3. ★★★ -

파일:D008_쇼.jpg
<colbgcolor=#4b4b4b><colcolor=#fff> 등급 ★★★
생존력 35,702
기동 60
기만 140
포탑 장갑 7
현측 장갑 25
갑판 장갑 13
방뢰 효율 20%
화재 저항 10.2%
침수 저항 10.4%
초당 복구 4.3%/s
설명 쇼는 건조 과정의 결함으로 취역 2년 뒤 완성됐다. 이후 1941년 진주만에서 일본의 공격에 의해 크게 손상됐지만 수리를 마친 뒤 태평양에서 크게 활약해 11개의 공로훈장이 수여됐다.
주무장
포문 5인치 단장포 5문
화력 2,257
관통력 43
분당 발사수 12 (5초)
주포 사거리 2.55
집탄 32.5
최대 낙하각도 43°
회전속도 40°/s
화재 발생 확률 3.1%
부무장
없음
대공포
화력 126
분당 발사 수 19.35 (3.1초)
사거리 1.11
명중률 38.3%
어뢰
발사관 21인치 4연장 발사관 3기 12문
화력 9,634
분당 발사 수 0.98 (61.22초)
어뢰 사거리 1.81
어뢰 속도 169
침수 확률 21.8%
대잠 폭뢰
화력 5,000
분당 발사 수 2 (30초)
사거리 0.05
주포의 화력은 Z1과 비슷하지만 어뢰는 훨씬 더 강력하다. 4연장 발사관 3기를 갖춰 총 12발의 어뢰를 발사할 수 있으며 이 중 2기의 발사관이 함선의 양 옆에 배치되어 있어 측면 기준으로는 8발의 어뢰를 쏜다. 후부키와 Z1의 중간 위치로, 적당한 밸런스를 중시하는 미국 구축함의 특성이 잘 드러난다.

5.4. ★★★ - 자구아르

자구아르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colbgcolor=#4b4b4b><colcolor=#fff> 등급 ★★★
생존력 36,176
기동 60
기만 134
포탑 장갑 19
현측 장갑 24
갑판 장갑 12
방뢰 효율 20%
화재 저항 11.7%
침수 저항 9.8%
초당 복구 3.4%/s
설명 자구아르는 정찰과 함대 보호를 위해 빠른 속도와 강력한 무장을 갖췄지만 설계 결함으로 인해 기동성과 안정성이 떨어져 빠른 속도라는 장점을 살리지 못했다. 자구아르는 주로 선단을 호위했으나 1940년 임무 중 독일의 E-boat의 어뢰를 맞아 좌초됐다.
주무장
포문 5.1인치 단장포 5문
화력 2,294
관통력 84
분당 발사수 5 (12초)
주포 사거리 2.86
집탄 32.5
최대 낙하각도 43°
회전속도 40°/s
화재 발생 확률 3.9%
부무장
없음
대공포
화력 35
분당 발사 수 16.67 (3.6초)
사거리 1.15
명중률 33.1%
어뢰
발사관 21.7인치 3연장 발사관 2기 6문
화력 12,807
분당 발사 수 0.94 (63.83초)
어뢰 사거리 1.75
어뢰 속도 185
침수 확률 29.4%
대잠 폭뢰
화력 5,000
분당 발사 수 2 (30초)
사거리 0.05
프랑스 구축함으로 3티어 구축함 치고는 성능이 나쁜 편이다. 먼저 주포 장전속도가 12초로 구축함 덩치에 중순양함 수준의 느려터진 장전속도를 보여준다. 어뢰는 3연장 2기로 다른 3티어 구축함들 보다 어뢰가 부족하다. 거기에 짧은 사거리는 덤이다. 주포 장전속도 때문에 주력으로 쓰기엔 어렵고 함대에 남는자리가 있으면 넣어주는 정도로 쓰인다.

6. 4성

6.1. ★★★★ - 윌리엄 D. 포터

개요
파일:D009_윌리엄D포터.jpg
등급 ★★★★
주포 5인치 단장포 x 5
부포 -
생존력 37,269
장갑 25 / 13 / 13 (현측 / 갑판 / 추가장갑)
기동 60
회피율 30%
1943년 취역한 플레처급 구축함으로 불행한 구축함[6]으로 유명하다.
주무장
포문 5 (1x5)
화력 / 관통 2,316 / 121
분당 발사수 15
주포 사거리 2.7

부무장
없음
어뢰
발사관 10 (5x2)
화력 6,321
분당 발사수1.6
어뢰 사거리 3.9
아래 플레처급과 기동 1을 제외하면 모든 성능이 동일하다.

6.2. ★★★★ - 플레처

개요
파일:D010_플레처.jpg
등급 ★★★★
주포 5인치 단장포 x 5
부포 -
생존력 37,269
장갑 25 / 13 / 13 (현측 / 갑판 / 추가장갑)
기동 61
회피율 30%
윌리엄 D. 포터와 같은 플레처급 구축함으로 2차 대전에서 15개의 배틀스타, 한국전쟁에서 5개의 배틀스타를 수여받았다.
주무장
포문 5 (1x5)
화력 / 관통 2,316 / 121
분당 발사수 15
주포 사거리 2.7
부무장
없음
어뢰
발사관 10 (5x2)
화력 6,321
분당 발사수1.6
어뢰 사거리 3.9
어뢰를 한번에 10발이나 쏠 수 있다. 포 자체의 화력이나 장전속도도 우수하고 어뢰의 성능도 우수해 3성 구축함들의 확실한 상위호환. 오히려 5성의 기어링급한테도 거의 밀리지 않는다. 전반적으로 어뢰와 포격에서 밸런스를 유지하는 편.

6.3. ★★★★ - Z21

개요
파일:D011_Z21.jpg
등급 ★★★★
주포 5인치 단장포 x 5
부포 -
생존력 38,965
장갑 27 / 13 / 7(현측 / 갑판 / 추가장갑)
기동 61
회피율 30%
독일의 1936년형 구축함으로 1939년 완성되었다. 2차 대전에서 2대의 영국 구축함, 27척의 상선 등을 침몰시켰다.
주무장
포문 5 (1x5)
화력 / 관통 2,316 / 121
분당 발사수 15
주포 사거리 2.84
부무장
없음
어뢰
발사관 8 (4x2)
화력 5,057
분당 발사수1.6
어뢰 사거리 3.2
한단계 아래인 Z1보다 쓸만한 수준이지만 크게 부각할만한 장점이 없다. 다른 국적 구축함에 비해 장갑이 살짝 더 높지만, 역시 구축함의 장갑은 큰 의미가 없는데다, 워플릿 특성상 독일 구축함은 구축함에 가장 절실히 요구되는 어뢰 화력이 너무 약하다.

6.4. ★★★★ - 레닌그라드

개요
파일:D012_레닌그라드02.jpg
등급 ★★★★
주포 5.1인치 단장포 x 4
부포 -
생존력 39,418
장갑 25 / 13 / 7 (현측 / 갑판 / 추가장갑)
기동 68
회피율 30%
1936년 취역한 소련의 레닌그라드급 선도구축함으로 소련이 자력으로 제작하였다. 독일군의 기뢰로 인해 레닌그라드에 공방전에서 화력을 지원했다.
주무장
포문 4 (1x4)
화력 / 관통 2,354 / 99
분당 발사수 10
주포 사거리 3.3
부무장
없음
어뢰
발사관 8 (4x2)
화력 5,373
분당 발사수1.5
어뢰 사거리 3
Z21과 비슷하게 4성 중에선 큰 메리트는 없는 구축함. 화력이나 어뢰 모두 약하고, 그나마 속도와 생존력이 조금은 더 높은 편.

6.5. ★★★★ - Z37

개요
파일:Z37.png
등급 ★★★★
주포 5.9인치 연장포 x 1, 단장포 x 4
부포 -
생존력 38,935
장갑 27 / 13 / 14 (현측 / 갑판 / 추가장갑)
기동 61
회피율 30%
Z37은 대부분 프랑스에서 임무를 수행했으며 다른 구축함들과 함께 비스케이 만 해전에 참전했다. 이후 1944년 비스케이 만에서 훈련하던 중 Z32와 충돌하여 어뢰가 유폭되어 수리불가 판정을 받고 해제됐다.
주무장
포문 6 (2x1,1x4)
화력 / 관통 2,602 / 143
분당 발사수 8
주포 사거리 3.21
부무장
없음
어뢰
발사관 8 (4x2)
화력 5,057
분당 발사수1.6
어뢰 사거리 3.2
Z21과 마찬가지로 독일 순양함의 고질적인 낮은 어뢰 화력이 발목을 잡는다. Z21에 비해선 포격전 성능이 강화되었으나, 유틸성 좋은 포격 목적으로는 순양함이 선호되기에 아쉬운 구축함.


6.6. ★★★★ - 아야나미

개요
파일:아야나미.png
등급 ★★★★
주포 5인치 연장포 x 3
부포 -
생존력 40,412
장갑 25 / 13 / 13 (현측 / 갑판 / 추가장갑)
기동 65
회피율 30%
아야나미는 진주만 공격 당시 말레이 전투를 위한 병력 수송을 호위했으며 미드웨이 해전에도 참여했다. 아야나미는 2차 과달카날 해전 초반 큰 성과를 냈지만 전함 워싱턴의 공격을 받고 버려졌다.
주무장
포문 6 (2x3)
화력 / 관통 2,316 / 109
분당 발사수 10
주포 사거리 2.91
부무장
없음
어뢰
발사관 9 (3x3)
화력 9,032
분당 발사수1.3
어뢰 사거리 4.6
후부키급의 개량형인 일본의 4성 구축함. 워플릿에서 구축함은 어뢰 성능이 가장 중요한데, 일본 구축함은 연사력이 조금은 떨어져도 사거리와 화력이 높아 많이 쓰인다. 구축함 특성상 어뢰를 한두번 뿌리면 이후 상대 전함이나 순양함에게 얻어맞고 터지는 경우가 잦기 때문.

6.7. ★★★★ - 서울

개요
파일:Seoul.png
등급 ★★★★
주포 5인치 단장포 x 5
부포 -
생존력 37,269
장갑 25 / 13 / 13 (현측 / 갑판 / 추가장갑)
기동 66
회피율 30%
서울은 플레처급 구축함으로 1943년 미국에서 할시 파웰이란 이름으로 취역했다. 2차대전에서 일본의 I-32를 침몰시켰고 TF 38에 소속되어 큰 전과를 올렸다. 이후 한국전쟁에도 참전해 총 9개의 공로훈장이 수여됐다.
주무장
포문 5 (1x5)
화력 / 관통 2,316 / 121
분당 발사수 15
주포 사거리 2.7
부무장
없음
어뢰
발사관 6 (3x2)
화력 4,471
분당 발사수3.9
어뢰 사거리 3.6
플레처급 구축함에서 어뢰를 일부 빼고 무장과 방공을 강화했다. 하지만 결국 어뢰 성능이 제일 중요한 인게임 특성상 많이 쓰이진 않는 편.

6.8. ★★★★ - 하디

개요
파일:하디.png
등급 ★★★★
주포 4.7인치 단장포 x 5
부포 -
생존력 37,792
장갑 25 / 13 / 13 (현측 / 갑판 / 추가장갑)
기동 61
회피율 30%
하디는 소함대 지휘함으로 건조되어, 1940년 1차 나르비크 해전에서 활약하였으나 철수 도중 추격해온 독일 구축함에 의해 격침되었다. 함장 버나드 워버튼 리 제독에게 사후 빅토리아 십자 훈장이 수여됐다.
주무장
포문 5 (1x5)
화력 / 관통 2,226 / 97
분당 발사수 12
주포 사거리 2.73
부무장
없음
어뢰
발사관 8 (4x2)
화력 6,321
분당 발사수1.8
어뢰 사거리 3.4
무난한 4성 영국 구축함으로, 플레처급과 성능이 유사하나 어뢰가 2발 부족하다.

6.9. ★★★★ - 시구레

개요
파일:시구레워플릿.jpg
등급 ★★★★
주포 5인치 연장포 x 2
부포 -
생존력 38,568
장갑 25 / 13 / 13 (현측 / 갑판 / 추가장갑)
기동 58
회피율 35%
시구레는 1936년 취역해 유키카제와 함께 태평양 전쟁 기간 내내 불침함으로 유명한 시라츠유급 구축함 2번함이었는데, 전쟁이 끝나가던 1945년 1월 25일, 말레이시아 인근에서 미국 잠수함 블랙핀의 어뢰에 침몰하였다.
주무장
포문 4 (2x2)
화력 / 관통 2,316 / 109
분당 발사수 11
주포 사거리 2.88
부무장
없음
어뢰
발사관 8 (4x2)
화력 9,032
분당 발사수1.3
어뢰 사거리 4.6
불침함으로 유명한 특성이 회피율에 반영되어, 다른 구축함들에 비해 5%가 더 높은 편. 대신 아야나미에 비해 생존력이 낮아진 편이라, 무난한 상위권 4성 구축함으로 쓰이기 좋다.

7. 5성

7.1. ★★★★★ - 알렌 M. 섬너

개요
파일:D013_알렌M섬너.jpg
등급 ★★★★★
주포 5인치 연장포 x 3
부포 -
생존력 38,944
장갑 25 / 13 / 13 (현측 / 갑판 / 추가장갑)
기동 58
회피율 30%
미국의 알렌 M. 섬너급 구축함으로 1944년 취역하여 2차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에 참여했다.
주무장
포문 6 (2x3)
화력 / 관통 2,375 / 127
분당 발사수 16
주포 사거리 2.76

부무장
없음
어뢰
발사관 10 (5x2)
화력 6,483
분당 발사수1.7
어뢰 사거리 3.9
플레처급 구축함에 비해 모든 성능이 소폭 강화되었다. 미국 구축함으로 편대를 꾸리려면 기어링과 함께 쓰기 좋으나, 기어링에 비해선 생존력과 기동이 살짝 떨어지는데, 기어링을 CP로 살 수 있으므로 의외로 애매하다.

7.2. ★★★★★ - 아샨티

개요
파일:D014_아샨티.jpg
등급 ★★★★★
주포 4.8인치 연장포 x 5[7]
부포 -
생존력 40,567
장갑 25 / 13 / 7 (현측 / 갑판 / 추가장갑)
기동 61
회피율 30%
아샨티는 상선과 주력함의 호위임무를 맡아 주요한 임무에서 여러 번 활약했다. 아샨티는 북대서양의 강풍, 기술 문제, 노르웨이 작전, 좌초, 웨상 섬 전투 등의 위기에서도 끝까지 살아남아 임무를 완수했다.
주무장
포문 10 (2x5)
화력 / 관통 2,283 / 102
분당 발사수 12
주포 사거리 2.73
부무장
없음
어뢰
발사관 4 (4x1)
화력 6,483
분당 발사수2
어뢰 사거리 3.4
다른 어뢰죽창 구축함들과는 다른 포격형 구축함이다. 이에 따라 포문이 4문 정도 더 많은 편.
하지만 유틸성이 높은 포격은 순양함이 더 유리하고, 수뢰전 목적으로 쓰기엔 어뢰 발사관이 너무 적어서 애매하다.
추후 구축함의 포격을 활용할 컨텐츠를 지켜봐야 할 듯.

7.3. ★★★★★ - 시마카제

개요
파일:D015_시마카제.jpg
등급 ★★★★★
주포 5인치 연장포 x 3
부포 -
생존력 42,523
장갑 25 / 13 / 13 (현측 / 갑판 / 추가장갑)
기동 70
회피율 30%
시마카제는 시험용 구축함으로 '93식 어뢰'를 발사할 수 있는 15문의 어뢰발사관과 고압증기터빈을 장착해 40노트의 속도를 낼 수 있었다. 주로 호위 임무를 수행했으며 1944년 오르모크 만 전투 중 침몰했다.
주무장
포문 6 (2x3)
화력 / 관통 2,375 / 114
분당 발사수 10
주포 사거리 2.91
부무장
없음
어뢰
발사관 15 (5x3)
화력 9,263
분당 발사수1.3
어뢰 사거리 4.6
70이라는 어마무시한 기동 수치와 5연장 3문의 어뢰를 기반으로 한 압도적인 수뢰전 화력으로 사실상 워플릿 구축함계의 황제라 볼 수 있다. 심지어 포격이나 장갑도 그렇게 밀리진 않고, 생존력은 가장 높은 편. 구축함을 쓸 일이 있으면 반드시 한 자리는 차지하게 된다.

7.4. ★★★★★ - 기어링

개요
파일:Gearing.png
등급 ★★★★★
주포 5인치 연장포 x 3
부포 -
생존력 39,145
장갑 25 / 13 / 13 (현측 / 갑판 / 추가장갑)
기동 63
회피율 30%
기어링은 2차대전이 끝나기 직전 건조되기 시작한 미국의 구축함으로 종전 이후 다양한 해역에서 성능과 기술을 시험했다.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에서 항구를 봉쇄하기도 했다.
주무장
포문 6 (2x3)
화력 / 관통 2,375 / 127
분당 발사수 10
주포 사거리 2.91
부무장
없음
어뢰
발사관 10 (5x2)
화력 6,483
분당 발사수1.7
어뢰 사거리 3.9
무난한 5성 구축함으로, 준수한 성능에 CP로 구매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전반적인 성능 밸런스를 갖춘 미국 구축함의 특성이 잘 드러나는데, 아쉽게도 수뢰전에 무게가 쏠린 인게임 전투 특성상 굳이 6구축 함대를 만들게 아니면 결국 시마카제를 필두로 한 일본 구축함에 밀리는 편이다.

7.5. ★★★★★ - 카게로

개요
파일:Kagero.png
등급 ★★★★★
주포 5인치 연장포 x 4
부포 -
생존력 41,611
장갑 25 / 13 / 13 (현측 / 갑판 / 추가장갑)
기동 60
회피율 30%
카게로는 과달카날 전투에서 일본군을 수송한 '도쿄 익스프레스' 작전을 수행했으며 동부 솔로몬, 산타크루즈, 과달카날, 타사피롱가 해전에 참여했다. 이후 병력 수송 중 연합군의 기뢰와 항공기에 의해 침몰했다.
주무장
포문 6 (2x3)
화력 / 관통 2,375 / 114
분당 발사수 16
주포 사거리 2.91
부무장
없음
어뢰
발사관 8 (4x2)
화력 9,263
분당 발사수1.4
어뢰 사거리 4.6
시마카제의 단짝으로 오랫동안 쓰이다가, 최근에 등장한 유키카제로 살짝 밀리기는 했지만, 여전히 상위권 5성 구축함의 위치를 지키고 있다. 역시 마찬가지로 강력한 어뢰로 유용하지만, 시마카제에 비하면 어뢰 수가 적다.

7.6. ★★★★★ - 아키즈키

개요
파일:아키즈키워플릿.jpg
등급 ★★★★★
주포 3.9인치 연장포 x 4
부포 -
생존력 42,352
장갑 25 / 13 / 13 (현측 / 갑판 / 추가장갑)
기동 56
회피율 30%
아키즈키는 일본 해군 최초의 방공구축함으로 1942년 취역후 곧바로 동부 솔로몬 전투와 과달카날 전역에 투입되었으며 항공모함 즈이카쿠를 공습으로부터 호위하는 등 본연의 임무를 수행하다가 1944년 12월 10일, 레이테 만 해전의 일부인 엔가노 곶 해전에서 격침되었다.
주무장
포문 8 (2x4)
화력 / 관통 2,010 / 90
분당 발사수 19
주포 사거리 2.67
부무장
없음
어뢰
발사관 4 (4x1)
화력 9,263
분당 발사수1.4
어뢰 사거리 4.6
방공구축함이지만, 아직은 방공 스탯이 보조 스탯으로 밀리는 워플릿 특성상 큰 의미는 없다. 일본 수뢰전대 특유의 강력한 한방의 어뢰는 장착했지만, 4발밖에 없어서 오히려 수뢰전에선 3~4성 일본 구축함한테도 밀린다. 체력이 좀 더 높긴 해도 어차피 구축함은 회피로 못씹으면 바로 터지는 함종이라...

7.7. ★★★★★ - Z46

개요
파일:Z46.jpg
등급 ★★★★★
주포 5인치 연장포 x 3
부포 -
생존력 40,698
장갑 27 / 13 / 16 (현측 / 갑판 / 추가장갑)
기동 64
회피율 30%
Z46은 독일의 1936C형 구축함으로 1943년 부터 건조를 시작하였으나, 독일 해군과 공군이 괴멸, 제공권을 상실하면서 1944년 건조가 중단된채 방치되었고, 종전 후 연합군에 의해 침몰되었다. 독일 구축함으로는 처음으로 주포탑이 모두 밀폐형으로 설계되었다.
주무장
포문 8 (2x4)
화력 / 관통 2,375 / 127
분당 발사수 15
주포 사거리 3.12
부무장
없음
어뢰
발사관 8 (4x2)
화력 5,187
분당 발사수2
어뢰 사거리 3.2
독일의 5성 구축함이지만, 다른 독일 구축함들처럼 뭔가 구축함을 전함 만들듯 만든 느낌이다. 마치 전함처럼 다른 구축함들에 비해 장갑과 화력을 키우고 수뢰전 화력은 줄였는데, 전반적으로 워플릿에서 구축함의 용도와는 잘 맞지 않기에 쓰임새는 적은 편. 결정적으로 구축함 주포와 장갑은 키워봐야 의미는 없다. 이 함 역시 아샨티처럼 추후 구축함의 포격을 이용한 컨텐츠를 기대해봐야 할 듯 하다. 허나 확실한 것은 구축함 대 구축함으로 포격전에서는 확실한 우위를 점할 수 있다.

7.8. ★★★★★ - 유키카제

개요
파일:유키카제워플릿.jpg
등급 ★★★★★
주포 5인치 연장포 x 2
부포 -
생존력 41,611
장갑 25 / 13 / 13 (현측 / 갑판 / 추가장갑)
기동 61
회피율 40%
유키카제는 1940년에 카게로급 8번함으로 취역하였는데, 태평양 전쟁 시작과 끝까지 다수의 해전 속에서도 격침당하지 않고 살아남아 전설적인 불침함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녀는 전쟁이 끝난 후 중화민국에 공여되어 활약하다가 1970년 태풍으로 파손되어 스크랩되었다.
주무장
포문 4 (2x2)
화력 / 관통 2,375 / 114
분당 발사수 12
주포 사거리 2.91
부무장
없음
어뢰
발사관 8 (4x2)
화력 9,263
분당 발사수1.4
어뢰 사거리 4.6
카게로급 구축함답게 성능은 카게로와 동일한데, 불침함이라는 명성을 반영해 기본 회피율이 10% 늘어난 40%이다. 역시 마찬가지로 수뢰전에 특화된 일본 구축함은 자주 쓰이며, 과거 감초로 2구축함을 함대에 배정할 때 국룰이 시마카게+카게로였다면, 이젠 시마카제+유키카제인 셈. 다만 카게로에 비해 함포가 하나 빠져서 그냥 시구레 상위호환이 되었다.

7.9. ★★★★★ - 라이트닝

개요
파일:라이트닝워플릿.png
등급 ★★★★★
주포 4.7인치 연장포 x 3
부포 -
생존력 39,766
장갑 25 / 13 / 15 (현측 / 갑판 / 추가장갑)
기동 58
회피율 30%
라이트닝은 주로 호위임무를 맡았으며 아크로열 침몰시에도 함께 임무를 수행했다. 이후 마다가스카르 전투의 상륙작전에서도 주요한 역할을 하며 활약했지만 1943년 독일 어뢰정의 어뢰에 맞아 침몰했다.
주무장
포문 6 (2x3)
화력 / 관통 2,283 / 102
분당 발사수 10
주포 사거리 2.96
부무장
없음
어뢰
발사관 8 (4x2)
화력 6,483
분당 발사수2
어뢰 사거리 3.4
무난한 5성 구축함으로, 기어링급과 비교할 때 어뢰가 2문 적고 사거리가 짧으나, 연사력이 높은 편. 초반에 나오거나, 대규모 구축함 전대를 꾸린다면 고려해볼 만 하다.

7.10. ★★★★★ - 슈페크로이처

독일의 구축함으로 오직 상점에서 과금으로만 얻을 수 있다. 구축함 아이콘이 보라색인데 그 이유는 프리미엄 함선이기 때문으로 이들은 경험치를 보너스로 준다. 하지만 슈페크로이처 문서에 들어가서 보면 알겠지만 어뢰대신 포격전에 치중한 모습이다. 주포배치는 시마카제처럼 앞에 1문 뒤에 2문이고 어뢰는 10문이나 된다. [8] 그러나 인게임 특성상 구축함을 포격전을 위해 쓰는 일은 그리 많지 않기 때문에 주포가 많은게 애매하긴 하다. 주포 또한 뒤쪽에 몰려있어서 공격적인 후퇴를 할 수 있긴 하지만 전투 초반 전진할 때 후방포탑이 잉여가 되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2차대전 구축함들이 1000t~4000t을 왔다갔다 한 것에 반해 이놈은 5000t~6000t을 왔다갔다 하고 이름마저 정찰(Späh-) 순양함(Kreuzer)이기에 틀:2차 세계대전/독일 함선에는 경순양함으로 분류되어있지만 생김새가 전체적으로 구축함같이 생겨서 구축함으로 등장한듯하다.
[1] 어차피 게임상의 한계로 어뢰관이 피격된다 하여 현실처럼 순식간에 배가 유폭해 침몰하는 경우는 없다.[2] 현실의 야간 수뢰전에 태평양 전쟁에서 연합군이 부담을 느꼈던 것도 이 경우 진영이 무너지면서 아군의 중요한 함선들에 대한 적 구축함의 접근을 저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3] 수뢰전보단 포격전용에 더 가깝다[4] 연합군의 구축함들은 고증상 구축함의 역할에 적합한 성능인 대공/대잠 화력지원 및 아군 호위에 중점을 둔 반면, 아쉬운대로 구축함까지도 통상파괴작전에 알뜰살뜰 굴려야했던 독일이나 점감요격작전을 부르짖던 일본의 경우 그에 맞는 성능에만 크게 집중했다. 문제는 그 집중된 성능이 인게임상 구축함의 전투방식과 너무 잘 맞아 오히려 연합군 구축함이 써먹기 애매한 물건이 되어 버린 셈.[5] 어뢰 공격력 증가. 6척 모두 산소어뢰 보너스 보유 시 어뢰 공격력이 50%까지 증가.[6] 테헤란 회담에 참석하려는 루즈벨트 대통령을 태운 아군 아이오와 전함과 훈련 중 실제 어뢰를 발사하여 전원이 대통령 암살 혐의로 체포되거나...[7] 초기 설계 사양으로 제작되었다.[8] 기어링(10문), 시마카제(15문), 알렌 M. 섬너(10문)만 빼면 어뢰가 가장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