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에노하라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8C3E90>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시 | |||
현청 중핵 고후시 | ||||
카이시 | 코슈시 | 니라사키시 | ||
츠루시 | 야마나시시 | 오츠키시 | ||
주오시 | 호쿠토시 | 후에후키시 | | |
⬛︎ : 중핵시 | ||||
정 | ||||
미나미코마군 | ||||
난부초 | 미노부초 | 하야카와초 | 후지카와초 | |
나카코마군 | 미나미츠루군 | |||
쇼와초 | 니시카츠라초 | |||
촌 | ||||
미나미츠루군 | ||||
도시무라 | 오시노무라 | |||
기타츠루군 | ||||
코스게무라 | 타바야마무라 | }}}}}}}}} |
| |||||
[ruby(上野原市, ruby=うえのはらし)] 우에노하라시 / Uenohara City | |||||
| | ||||
기본 정보 | |||||
국가 | 일본 | ||||
지방 | 주부 고신에쓰 | ||||
도도부현 | 야마나시현 | ||||
면적 | 170.57km² | ||||
인구 | 22,959명[1] | ||||
시장 | 에구치 히데오(江口英雄, 무소속) | ||||
상징 | |||||
시화 | 용담(リンドウ) | ||||
시목 | 단풍나무(ヤマモミジ) | ||||
시조 | 휘파람새(ウグイス) | ||||
|
[clearfix]
1. 개요
일본 야마나시현의 가장 동쪽 끝에 있으며 수도권 중심부에서 60~70km 범위에 있다. 인접한 지자체는 오츠키시, 츠루시, 미나미츠루군 도시무라, 키타츠루군 코스게무라, 도쿄도 니시타마군 오쿠타마마치 및 히노하라무라, 가나가와현 사가미하라시. 2005년 2월 13일 키타츠루군 우에노하라마치와 미나미츠루군 아키야마무라가 합병되어 출범되었다.사가미 강에 현저한 강기슭 단구층이 발달되어 있고 시가지는 단구층 위 쪽에 있다. 그러기 때문에 우에노하라역에서 가파른 언덕을 올라가야만 시가지가 나타난다.
2. 출범 전의 역사
2.1. 우에노하라마치
2.2. 아키야마무라
3. 교통
3.1. 철도
3.2. 도로
3.2.1. 고속도로
- 주오자동차도 우에노하라IC
3.2.2. 국도
3.2.3. 현도
- 코슈 가도
4. 기타
코모리 토요스케[2]는 이 시의 유즈리하라라는 장수 마을에서 건강 장수와 식생활에 대해 알리기도 했다.[1] 2020년 1월 기준으로 현내 시 가운데 가장 적다.[2] 古守 豊甫, 1920~2008 초등학교 교사로 부임하였고 도쿄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한 뒤 제2차 세계 대전 도중에 육군 군의관을 종군했다. 1954년에는 고향에서 자신의 이름을 딴 병원을 설립하였고 1959년에 의학박사 자격증을 취득하였다. 이후 장수에 대한 연구를 조사하기 위해 장수촌 유즈리하라를 발간. 1976년 일본의학회로부터 최우수 공로상을 수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