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2-11-08 10:20:14

오버워치 오픈 디비전 코리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43484c><tablebgcolor=#43484c> 파일:Overwatch_white.png오버워치
지역 e스포츠 대회
}}} ||
{{{#!wiki style="margin: 0 -10px;"
{{{#43484c,#b3b8bc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D1D1D,#e2e2e2
프로가 되는 길
예선 승강전 본선
파일:OWODNewlogo.png 파일:preview_image_owc_trial.png 파일:DU-mc25X4AUr0Ro.png
오버워치 오픈 디비전 오버워치 컨텐더스 트라이얼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코리아 코리아
2018: S1 S2 S3
2019: S1 S2
2020: S1 S2 {{{#3f3f3f,#c0c0c0 S3}}}
2018: S1 S2 S3
2019: S1 S2
2020: S1 S2
2021: S1 S2
2022: SS WS
2018: S1 S2 S3
2019: S1 S2
2020: S1 S2
2021: S1 S2
2022: SS WS
기타 대회
오버워치 코리아컵 육군참모총장배 솔저: 76 토너먼트 오버워치 대학경쟁전
→ 오버워치 국제 e스포츠}}}}}}}}}}}}}}}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리그 목록
예선 승강전 본선
파일:OWODNewlogo.png 파일:preview_image_owc_trial.png 파일:DU-mc25X4AUr0Ro.png
오버워치 오픈 디비전 코리아 오버워치 컨텐더스 트라이얼 코리아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오버워치 오픈 디비전 코리아
OVERWATCH OPEN DIVISION KOREA
파일:OWODNewlogo.png
주최 파일: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로고.svg
상위 대회 본선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승강전 오버워치 컨텐더스 트라이얼 코리아
최근 우승팀 파일:OZ_Gaminglogo.png OZ Gaming (2020 S1)

1. 개요2. 리그 진행 방식3. 역대 대회 일람4. 중계진5. 여담6. 관련 항목

[clearfix]

1. 개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에서 주최하고, WDG에서 주관[1]하는 한국 오버워치 공식 2부 리그. ROAD TO APEX를 계승하면서 오버워치 APEX 챌린저스를 포함한 리그로, 대회의 상위 진출 팀에겐 오버워치 컨텐더스 트라이얼 출전 권한이 주어진다.

2. 리그 진행 방식

  • 시즌 1
    • 2번에 걸친 온라인 예선으로 16팀을 선발한다.
    • 이 16팀이 결승까지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를 진행한다.
    • 4강까지는 5판 3선승, 결승전은 7판 4선승으로 진행한다.
    • 1~3위 팀은 컨텐더스 트라이얼 출전 권한이 주어진다.
  • 시즌 2
    • 팀 실력 기준[2]에 따라 챌린저 예선/마스터 예선으로 나눈다.
    • 챌린저 예선 참가 팀들은 챌린저 예선에서 임의의 8팀이 한 조가 되어 풀 리그를 진행, 1위 팀이 마스터 예선 진출 결정전에 진출한다.
    • 마스터 예선 진출 결정전에 진출한 팀들은 16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각 그룹에서 3판 2선승 토너먼트를 진행, 1위 및 2위 팀이 마스터 예선에 진출한다.
    • 마스터 예선에 진출한 챌린저 예선 출신 팀들은 마스터 예선 참가 팀과 함께 16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각 그룹에서 풀 리그를 진행, 각 그룹 1위 팀이 16강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 본선 토너먼트는 결승전은 7판 4선승, 그 외의 경기는 5판 3선승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 진행된다.
    • 1~4위 팀은 컨텐더스 트라이얼 출전 권한이 주어진다.
  • 시즌 3
    • 팀 실력 기준[3]에 따라 챌린저 예선/마스터 예선으로 나눈다.
    • 챌린저 예선 참가 팀들은 챌린저 예선에서 임의의 4팀이 한 조가 되어 풀 리그를 진행, 1위 팀이 마스터 예선 진출 결정전에 진출한다.
    • 마스터 예선 진출 결정전에 진출한 팀들은 16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각 그룹에서 3판 2선승 토너먼트를 진행, 1위 팀이 마스터 예선에 진출한다.
    • 그 외는 시즌 2과 같다.
  • 2019 시즌 1
    • 챌린저/마스터 예선 구분이 없어지고, 모든 참가 팀들은 5주에 걸쳐 총 11경기의 5판 3선승 스위스 라운드[4]를 진행한다. 만약 참가팀이 600팀이 넘는 경우 모든 참가 팀들은 6주에 걸쳐 총 11경기의 5판 3선승 스위스 라운드를 진행한다.
    • 이후 상위 16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를 진행한다.
    • 우승 팀 및 준우승 팀은 컨텐더스 트라이얼에 진출한다.
    • 타 지역과 동일한 포맷으로 진행하는 첫번째 시즌이다.
  • 2019 시즌 2
    • 2019 시즌 1과 포맷은 같지만 참여 팀 수가 적어져서 정규 시즌은 11경기가 아닌 10경기로 진행된다.
    • 1~4위 팀은 컨텐더스 트라이얼에 진출한다.
  • 2020 시즌 1 피리어드 1
    • 2019 시즌과 포맷은 같지만 참여 팀수에 상관없이 정규 시즌은 12경기로 진행된다.
    • 1~8위 팀은 컨텐더스 트라이얼에 진출한다.

3. 역대 대회 일람

현재 진행중인 리그는 볼드체 표시. 전신인 ROAD TO APEX도 포함한다.
대회명 (기간) 우승 준우승 3위 4위
오버워치 전국 PC방 경쟁전
2017.04.01 - 2017.04.09 (9일)
파일:gc부산.png GC Busan 파일:649px-O2_Blastlogo.png O2 Blast 파일:benchgirls.png Bench Girls 파일:전남과학대학교 UI.svg CTU
2017 오버워치 오픈 디비전 코리아 시즌 1
2017.07.23 - 2017.08.13 (22일)
파일:seven ow.png Seven 파일:Bucheon_NPluslogo.png BC NPlus 파일:BSG_Logo.png BSG 파일:Revenant_Logo.png Revenant
리그 개편
2018 오버워치 오픈 디비전 코리아 시즌 1
2018.01.13 - 2018.02.04 (23일)
파일:677px-Requiem_Six_logo.png Requiem Six 파일:EXL-CLEA.png EXL-CLEA 파일:CRusher.png CRusher 파일:The_Face_logo.png The Face
2018 오버워치 오픈 디비전 코리아 시즌 2
2018.04.28 - 2018.05.27 (30일)
파일:GC_Busan_logo_200_200.png GC BUSAN WAVE 파일:Armament_logo2_200_200.png ARMAMENT 파일:Frecia_logo_200_200.png Frecia 파일:bm_only_logo.png BM Hawk
2018 오버워치 오픈 디비전 코리아 시즌 3
2018.08.18 - 2018.09.17 (31일)
파일:GoinWaterS.png GoinWaterS 파일:WildCat_logo.png WildCat 파일:monKaS_logo.png monKaS 파일:Frecia_logo_200_200.png Frecia
2019 오버워치 오픈 디비전 코리아 시즌 1
2018.12.15 - 2019.01.27 (44일)
파일:bm_only_logo.png BM Hawk 파일:WiE esports.png WiE 파일:x6-gaming.png X6-Gaming 파일:800px-GZA_logo.png GZA
2019 오버워치 오픈 디비전 코리아 시즌 2
2019.03.30 - 2019.05.05 (37일)
파일:x6-gaming.png X6-Gaming 파일:팀그리핀.png Griffin 파일:BlossoM_logo_200_200.png BlossoM 파일:bm_only_logo.png BM Hawk
2019 오버워치 오픈 디비전 코리아 연습 시즌
2019.10.26 - 2019.12.08 (44일)
파일:GEEKSTAR.Eclipse.png GEEKSTAR 파일:원코인로고.png OneCoin 파일:Gamecoach_Academy_logo.png GCA Comet 파일:nnt logo.png NNT-Crescent
2020 오버워치 오픈 디비전 코리아 시즌 1
2020.01.04 - 2020.02.23 (51일)
파일:OZ_Gaminglogo.png OZ Gaming 파일:레이븐ㅇ요.jpg RAVEN 파일:Lucky_Future_blue_logo.png Lucky Future 파일:Punky Wa IDLE logo.png Punky Wa IDLE

4. 중계진

  • 캐스터 유철희 (이클립스 미디어) (2019 오버워치 오픈 디비전 시즌 2)
  • 해설 이도민[5] (이클립스 미디어) (2019 오버워치 오픈 디비전 시즌 2)
  • 캐스터 심지수(WDG) (오버워치 오픈 디비전 시즌 1~3)
  • 해설 홍현성(WDG) (오버워치 오픈 디비전 시즌 1~3)
  • 해설 권건엽(WDG) (오버워치 오픈디비전 시즌 1, 2)
  • 캐스터 김영일(전국 PC방 경쟁전~ROAD TO APEX)
  • 해설 김진영(전국 PC방 경쟁전~ROAD TO APEX)
  • 해설 윤대훈(전국 PC방 경쟁전~ROAD TO APEX)
  • 해설 김민기(전국 PC방 경쟁전)
  • 리포터 윤지은(전국 PC방 경쟁전)
  • 특별 해설

5. 여담

  • 스위스 라운드- 16강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하는 타 지역과 달리 한국은 유일하게 챌린저예선- 마스터예선 진출결정전- 마스터예선-16강 싱글 엘리미네이션 방식을 사용했고, 상금 또한 배틀코인이 아닌 현금으로 지급했었으나, 2019 시즌부터 타 지역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하게 되면서 옛날 이야기가 되었다.

6. 관련 항목


[1] 전국 PC방 경쟁전 ~ ROAD TO APEX 시절에는 인벤에서 주관하였다. 현재 인벤은 오버워치 컨텐더스 트라이얼 코리아 주관사로 격상(?)한 상태. 이제는 WDG가 트라이얼을 주관한다.[2] 선발 로스터 6인 전원이 경쟁전 8시즌 최종 등급이 마스터 이상일 경우[3] 선발 로스터 6인 전원이 경쟁전 11시즌 최종 등급이 마스터 이상일 경우[4] 무작위 매칭으로 1경기를 치룬 뒤, 이후 승수와 패수가 같은 팀끼리 랜덤으로 만나 상대하는 방식[5] 긱스타 이클립스의 서브코치. 닉네임은 예티[6] 개막전에 불려왔지만 역시나 방구석여포기질이 발동해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고 다음 회차에 명훈으로 교체되었다.(...) 명훈이 4강 중계까지 맡으며 확인사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