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9 00:07:28

연우의 순정/평가



파일:연우의 순정 로고.png
[ 등장인물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91919> [[연우(연우의 순정)|
파일:연우_틀.png
]] || [[강해솔|
파일:강해솔_틀.png
]] || [[남준혁(연우의 순정)|
파일:남준혁_틀.png
]] || [[임나리|
파일:임나리_틀.png
]] ||
연우 강해솔 남준혁 임나리
[[정진우(연우의 순정)|
파일:정진우_틀.png
]]
[[홍예슬(연우의 순정)|
파일:홍예슬_틀.png
]]
[[강해수|
파일:강해수_틀.png
]]
[[청하랑|
파일:청하랑_틀.png
]]
정진우 홍예슬 강해수 청하랑
[ 관련 문서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91919><width=1000> 등장인물 ||<width=20%> 굿즈 ||<width=20%> ||<width=20%> 표지 ||<width=20%> 이솔 ||
혜성고등학교 연우/작중 행적 강해솔/작중 행적 강해솔/가족 관계


1. 개요
1.1. 작품에 대하여1.2. 주인공에 관하여1.3. 서브 캐릭터에 관하여

1. 개요

연우의 순정》에 대한 평가를 서술하는 문서.

1.1. 작품에 대하여

작품의 기본 설정은 전형적인 클리셰 뒤집기다. 로맨스물에서 흔히 나오던 무뚝뚝한 신비주의 남주인공 캐릭터성은 여주인공인 강해솔이, 수줍음이 많고 소심하며 정이 많은 여주인공의 특징은 남주인공인 연우가 가지고 있다. 다만 이러한 캐릭터 설정은 숱한 클리셰를 뒤집은, 자칫 흔해 보일 수 있는 인물상이다. 연우의 순정이 타 웹툰과 차별화되는 점은 각 캐릭터가 어두운 과거를 가지고 있고, 그에 따른 복잡하고 어두운 심리를 중점으로 묘사한다는 점이다.[1]

1.2. 주인공에 관하여

주인공인 연우나 강해솔, 그리고 남준혁 등 등장인물들의 어두운 내면 심리 묘사가 상당히 적나라하며, 몰입도가 뛰어나 사람에 따라서는 자극적으로 보이기도 한다. 등장인물들의 입체적인 면들과 서사는 흔한 로맨스 웹툰에선 잘 볼 수 없으며, 등장하더라도 중심적으로 묘사되지는 않는데 연우의 순정은 이러한 점을 포함해 어리지도 않지만 어른도 아닌 청소년이기에 서툰 부분들을 여실히 드러낸다.[2]

1.3. 서브 캐릭터에 관하여

메인 캐릭터들뿐 아니라 서브 캐릭터들(남준혁, 정진우, 임나리, 홍예슬)의 캐릭터성도 상당히 매력 있게 뽑혔으며[3], 작화 퀄리티도 좋은 편이다. 자칫 클리셰를 비튼 클리셰 작품으로 비춰질 수 있었으나,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연우의 순정만의 색을 잘 구축했다. 사소한 장면에 암시가 많고 인물들의 간접적인 심리 묘사가 자주 등장하는 만큼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1] 연우, 준혁, 진우, 예슬, 나리 등 학교 폭력에 관련된 과거를 가진 인물들이 많으며, 피해자들의 트라우마를 묘사하는 연출이 매우 뛰어난 편이다. 정점을 찍은 건 60화.[2] 연우는 중학생 때의 일 때문에 전형적인 PTSD 환자의 증세를 보이고 있으며, 완벽해 보이는 해솔도 자신의 기분조차 정의 내리지 못하는 등 모든 감정 표현에 미숙하고, 주인공을 도와주는 흔한 친구 포지션인 남준혁은 연우과 관련된 일에는 항상 맹목적인데다 상황에 따라서는 강압적이고 폭력적인 모습으로 돌변하기도 한다.[3] 특히 연우의 친구인 남준혁은 순정만화에서 (남준혁과 러브 라인이 있는 서브 여주 포지션의 인물보다 남자주인공에게 집착하고 신경쓰는 등) 보기 드문 행보로 독자들 사이에서 많은 추측이 오간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연우의 순정
, version=249, uuid=447e6e3f-dc4b-42c6-9a52-29773ece63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