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엔시티피케이션(Enshittification)[1]은 코리 닥터로우(Cory Doctorow)가 만들어낸 신조어로, 플랫폼(예: 페이스북, 아마존, 유튜브 등)이 초기에는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사용자 경험이 악화되고 이익 중심으로 변질되는 현상을 뜻한다. '엉터리화'라고도 불리운다.
2. 유래
엔시티피케이션은 캐나다 출신 저널리스트 블로거 코리 닥터로우(Cory Doctorow)가 2022년 11월 15일 올린 블로그 글중 Social Quitting 에서 처음 사용한 단어다.#아카이브닥터로우는 2023년 1월 wired.com에 'Enshittification' of TikTok 라는 기고문에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다.
Here is how platforms die: First, they are good to their users; then they abuse their users to make things better for their business customers; finally, they abuse those business customers to claw back all the value for themselves. Then, they die. I call this enshittification, and it is a seemingly inevitable consequence arising from the combination of the ease of changing how a platform allocates value, combined with the nature of a "two sided market," where a platform sits between buyers and sellers, hold each hostage to the other, raking off an ever-larger share of the value that passes between them.
플랫폼이 죽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처음에는 사용자에게 호의를 베풀지만, 그 다음엔 사용자를 학대해 비즈니스 고객(광고주, 주주 등)에게 더 나은 환경을 제공하고, 마지막으로 비즈니스 고객을 학대해 모든 가치를 자기 것으로 만들어 버린다. 그 후, 플랫폼은 죽는다. 이는 플랫폼이 가치를 배분하는 방식을 쉽게 변경할 수 있다는 점과 "양면 시장"의 특성, 즉 플랫폼이 구매자와 판매자 사이에 자리 잡고 서로를 인질로 삼아, 그들 사이에서 오가는 가치의 점점 더 큰 몫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발생하는 불가피한 결과라고 생각한다.
플랫폼이 죽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처음에는 사용자에게 호의를 베풀지만, 그 다음엔 사용자를 학대해 비즈니스 고객(광고주, 주주 등)에게 더 나은 환경을 제공하고, 마지막으로 비즈니스 고객을 학대해 모든 가치를 자기 것으로 만들어 버린다. 그 후, 플랫폼은 죽는다. 이는 플랫폼이 가치를 배분하는 방식을 쉽게 변경할 수 있다는 점과 "양면 시장"의 특성, 즉 플랫폼이 구매자와 판매자 사이에 자리 잡고 서로를 인질로 삼아, 그들 사이에서 오가는 가치의 점점 더 큰 몫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발생하는 불가피한 결과라고 생각한다.
2024년 파이낸셜 타임즈에 게재된 기고문에서 닥터로우는 모든 것이 엔시트화 되어가고 있으며, 'enshittocene'[2]가 왔다고 주장했다.#
3. 영향
코리 닥터로우의 주장은 다양한 학자와 언론인들에 의해 온라인 플랫폼의 질적 저하를 이해하는 예시로 인용되어 왔다. 페이스북, 구글, 아마존과 같은 대기업들이 사용자 경험을 희생하고 수익을 우선시하는 방식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전환했다는 분석을 포함하여, 엔시티피케이션(enshittification)에 대한 논의가 수많은 언론 매체에 등장했다. 이러한 현상은 디지털 플랫폼의 무결성과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규제와 대안 모델의 필요성에 대한 논쟁을 촉발했다.4. 과정
코리 닥터로우는 enshittification의 과정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초기 단계: 사용자 유치
- 플랫폼은 최고의 경험, 저렴한 가격, 광고 없음 등으로 사용자에게 최대 가치를 제공하며 시장을 빠르게 장악한다.
- 중기 단계: 사업자/판매자 유치
- 플랫폼은 일정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고, 판매자/콘텐츠 제작자에게 유리한 환경을 제공한다.
- 사용자 경험은 조금씩 악화되기 시작한다.
- 말기 단계: 플랫폼의 수익 극대화
- 플랫폼은 오직 수익 극대화에만 집중한다.
- 알고리즘 조작, 과도한 광고 삽입, 과도한 유료 기능 유도, 비정상적 수수료 부과 등이 추가된다.
- 결국 플랫폼은 본래의 가치 제공 기능을 상실하고, 사용자 경험이 크게 악화된다.
5. 예시
5.1. 에어비앤비
원래 호텔에 대한 저렴한 대안으로 구상되었던 Airbnb는 플랫폼 경제에서 인기 있는 기업이 되었다. 그러나 플랫폼 경제에서 매우 저렴한 가격을 제공하는 유사한 기업들은 투기 자본이 고갈되면 저렴한 가격은 사라진다. 이는 아마도 Airbnb에서도 일어났을 것이다. Airbnb에서 호스팅되는 많은 숙소의 가격이 호텔보다 높아졌고, 편의시설이 부족하고, 사기성 광고, 호스트의 추가 규칙 및 수수료, 품질 관리 부족, 그리고 때로는 몰래 카메라가 있는 경우가 많았다.5.2. 아마존닷컴
닥터로우는 원래 게시물에서 아마존의 관행에 대해 논의했다. 온라인 소매업체 아마존은 원가 이하로 판매되는 상품과 (아마존 프라임 구독 시) 무료 배송으로 사용자를 유인하기 시작했다. 사용자 기반이 확고해지자 더 많은 판매자가 아마존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기 시작했다. 마침내 아마존은 수익을 늘리기 위해 수수료를 추가하기 시작했다. 2023년에는 상품 판매 가격의 45% 이상이 다양한 수수료 형태로 아마존에 돌아갔다. 닥터로우는 아마존 내 광고를 판매자가 검색 순위를 차지하기 위해 서로 경쟁하는 페이 올라(Payola) 사기라고 설명하며, "고양이 침대" 검색 결과의 처음 5페이지는 절반이 광고라고 주장했다.닥터로우는 또한 오디오북 시장의 90% 이상을 장악하고 모든 오디오북에 의무적인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를 적용하는 아마존의 오디블(Audible) 서비스를 비판했다. 그는 이로 인해 플랫폼을 탈퇴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오디오북 라이브러리에 접근할 수 없게 된다고 지적했다. 닥터로우는 2014년, 더 이상 오디블을 통해 오디오북을 판매하지 않고 직접 제작하기로 결정했다. 아마존이 자신의 책에 "DRM을 적용"하도록 했을 때보다 훨씬 적은 수익을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이후로 그는 6권이 넘는 오디오북을 독립적으로 출판했다. 아마존 시스템은 DRM 없이는 오디오북을 배포할 수 없기 때문이었다.
5.3. 페이스북
닥터로우에 따르면, 페이스북은 사용자 수가 "임계점"에 도달할 때까지는 좋은 서비스를 제공했지만, 친구들을 설득해야 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페이스북을 떠나기 어려워졌다고 한다. 이후 페이스북은 미디어 기업의 게시물을 피드에 추가하기 시작했고, 결국 미디어 기업 역시 페이스북 트래픽에 의존하게 되면서 알고리즘을 조정하여 유료 "부스트" 게시물을 우선시하게 되었다.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페이스북이 엔티트화되고 있다는 견해에 동의하며, 페이스북이 "사용자 피드에 후원(또는 '추천') 콘텐츠를 끊임없이 쏟아붓고, 사람들이 보고 싶어 하는 콘텐츠를 페이스북이 관련 있다고 판단하는 콘텐츠 아래에 묻어버리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닥터로우는 페이스북 지표 논란을 지적했다. 페이스북의 비디오 통계가 부풀려져 미디어 기업들이 페이스북에 과도한 투자를 하고 파산하게 된 것이다. 그는 페이스북이 "최종적으로 엔시트화되었다"고 묘사했다.5.4. 구글 검색
닥터로우는 구글 검색이 관련성 높은 검색 결과와 최소한의 광고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했지만, 이후 광고 증가, 검색 엔진 최적화(SEO), 그리고 노골적인 사기 행각으로 인해 쇠퇴하여 일부 고객에게만 유리하게 작용했다고 지적했다. 이후 구글은 제다이 블루(Jedi Blue)를 통해 광고 시장을 조작하여 자사의 가치를 되찾았다. 닥터로우는 또한 구글이 2023년 1월 직원 1만 2천 명을 해고한 것과 "향후 27년간 모든 급여를 지급할" 주식 환매 계획, 그리고 "사용자가 요청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봐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을 보여주는" AI 검색 챗봇 개발에 박차를 가한 것을 예로 들었다.5.5. 넷플릭스
"스트리밍 전쟁"에서 수년간 치열한 경쟁을 벌인 끝에 넷플릭스는 2020년대 초 주요 승자로 떠올랐다. 준독점적 지위를 확보한 후 넷플릭스는 가격을 인상하고 광고 지원 계층을 도입했으며 넷플릭스는 2024년에 영국과 캐나다에서 가장 저렴한 광고 없는 플랜을 중단하고 비밀번호 공유에 대한 단속을 실시했다.5.6. 레딧
2023년, 레딧은 최초 기업공개(IPO)를 위한 최초 서류 제출 직후 API 액세스에 대해 수수료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운영 비용이 너무 많이 들게 되어 많은 타사 앱을 사실상 폐쇄하는 조치였다. CEO Steve Huffman은 AI 회사가 레딧에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데이터를 스크래핑하는 것에 대한 대응이라고 밝혔지만, 보도에서는 이러한 움직임을 다가오는 IPO와 연관시켰다. 이러한 조치로 인해 많은 타사 앱이 폐쇄되었고, 사용자는 회사에 더 많은 수익을 제공하는 공식 레딧 앱을 사용해야 했다. 사이트의 관리자들은 회사의 새로운 정책에 대해 블랙아웃 시위를 벌였지만, 결국 변경 사항은 승인되었다. Apollo 앱과 같은 많은 타사 레딧 앱이 새로운 수수료 때문에 폐쇄되었다.2024년 9월, 레딧은 관리자들이 레딧 직원의 승인 없이 서브레딧의 접근 권한을 "공개"에서 "비공개"로 변경할 수 없게 되었다고 발표했다. 관리자들은 이를 2023년 API 시위에 대한 처벌적 조치로 해석했다.
5.7. X(舊 트위터)
Enshittification은 2022년 일론 머스크가 트위터를 인수한 이후 트위터에 적용된 변경 사항에 적용되었다. 여기에는 상호 운용 가능한 소프트웨어 사용을 중단하기 위한 서비스 API 폐쇄, 프로필에 (경쟁 서비스) 마스토돈 핸들을 게시하는 사용자 정지, 로그인을 하지 않으면 사이트를 볼 수 없게 만드는 기능이 포함되었다. 다른 변경 사항으로는 하루에 볼 수 있는 트윗 수에 대한 임시 요금 제한, Twitter Blue(나중에 X Premium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형태의 서비스에 대한 유료 구독 도입, 및 검토 감소가 포함되었다. 머스크는 자신의 게시물을 다른 게시물보다 위에 홍보하도록 알고리즘을 수정했는데, 이로 인해 2023년 2월에 사용자 피드가 그의 콘텐츠로 범람했다. 2024년 4월 머스크는 신규 사용자가 게시하려면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고 발표했다.이러한 변화로 인해 회사 수익이 급격히 감소했다. 특히 가자 전쟁 중 반유대주의와 이슬람 혐오를 비롯한 플랫폼에서의 증오 표현이 증가하면서 일부 조직에서 광고를 철회했다. 2023년 말 뉴욕 타임스가 입수한 내부 문서에 따르면 광고주의 손실로 인해 연말까지 회사에 7,500만 달러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머스크는 2023년 11월 29일 인터뷰에서 웹사이트를 떠나는 광고주들에게 "꺼져라"라고 말했다. 2024년 8월까지 머스크가 인수하기 전에 비해 수익이 84% 감소했다. 머스크의 인수로 인해 수천만 명의 사용자가 새로운 플랫폼인 Bluesky로 이전했다.
5.8. 유니티 엔진
Gameindustry.biz는 2023년에 제안된(결국 포기된) 유니티 게임 엔진 라이선스 모델 변경 사항을 enshittification의 예로 설명했다. 변경 사항이 이미 수년간 개발 중이던 프로젝트에 소급 적용되어 개발자와 최종 사용자 모두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수수료를 증가시키기 때문이었다. 유니티 엔진 자체는 양면 시장이 아니지만 이러한 변화는 앱 내 구매 시스템을 포함하여 개발자에게 모바일 무료 플레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니티의 입장과 관련이 있다.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많은 게임 개발자들이 상당한 전환 비용에도 불구하고 유니티를 포기하고 언리얼 엔진 등 다른 엔진으로 전환할 의향을 밝혔으며, 게임 디자이너 Sam Barlow는 새로운 요금 정책을 동기로 설명할 때 구체적으로 'enshittification'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인디 개발자들이 Godot Engine 등 다른 엔진으로 전환하면서 유니티 엔진 사용이 급격히 감소했다.
6. 관련 문서
[1] 크래피피케이션(Crapification)이라고도 하지만 저속한 어휘가 포함되어 있는 관계로 점잖게 이를땐 플랫폼 부패(Platform Decay)라고도 불린다.[2] 번역하면 "똥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