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임신 측면에서 여성의 생식 건강을 나타내는 지표.2. 상세
에스프레그놀(Espregnol)은 에스트로겐(Estrogen),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그리고 임신(Pregnancy)의 개념을 결합한 합성어이다. 난임이나 임신 준비 맥락에서 여성 생식 건강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 난소 나이· 자궁 내막 두께·호르몬 균형과 같은 요소들을 포함한다. 에스프레그놀은 난소 기능을 젊게 유지하고 착상 환경을 보다 건강하게 하는 측면에서 언급되며, 이에 대응하는 남성 측 개념으로는 테스프레그놀(Tespregnol))이 있다.[1]3. 호르몬과 생식학적 맥락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은 배란, 자궁 내막 발달, 착상 및 임신 유지 과정에 핵심적이다. 노산, 배란 장애, 자궁내막 이상 등은 이들 호르몬의 균형 변화와 깊은 관련이 있으
며, 임신 성공률에도 영향을 준다.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은 정자 생성 과정(정자형성, Spermatogenesis)에 관여하여 정자의 수, 운동성, 형태를 결정한다. 정자의 질 저하는 남성 난임의 주요 원인으로, 생활 습관·환경 요인·호르몬 불균형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난임 원인의 약 40%는 여성 요인, 40%는 남성 요인, 20%는 남녀 공동 요인으로 보고된다. 따라서 난임은 특정 성별의 문제가 아닌, 남녀 모두에게서 기인할 수 있는 의학적 현상이다.
4. 난임의 원인
난임은 임신을 시도한 부부가 일정 기간[2] 자연 임신에 이르지 못하는 상태로 정의된다.| <colbgcolor=#000><colcolor=#fff> 여성 요인 (약 40%) | • 연령(노산): 난자의 수와 질 감소 • 배란 장애: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 호르몬 불균형 • 자궁·난관 질환: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난관 폐쇄 등 |
| 남성 요인 (약 40%) | • 정자 질 저하: 정자 수 부족, 운동성 저하, 형태 이상 • 호르몬 이상: 테스토스테론 저하, 내분비 불균형 • 생활 습관: 흡연, 음주, 비만, 스트레스, 환경 호르몬 노출 |
| 남녀공동요인 및 원인불명 (약 20%) | • 부부 모두에게 원인이 있거나, 의학적으로 원인을 특정하기 어려운 경우 |
5. 생식 건강과 임신 준비
여성은 난소 기능, 난자 질, 자궁 내막 환경이 임신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규칙적인 수면, 적절한 체중 유지, 스트레스 관리, 균형 잡힌 식습관은 임신 준비기에 권장되는 요소이다. 남성의 경우 정자의 수·운동성·DNA 안정성이 중요하며, 흡연·음주·환경호르몬 노출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자는 약 70~90일 주기로 새로 생성되므로, 생활 습관을 개선하면 3개월 이내에 정자 질이 향상되는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임신 준비는 여성만의 과제가 아니라, 남녀가 함께 건강을 관리하고 균형을 맞추어야 하는 과정으로 이해된다.6. 관련 개념
- 에스트로겐 (Estrogen): 난포 발달과 자궁내막 성장 조절
- 프로게스테론 (Progesterone): 배란 후 자궁내막 착상 준비 및 임신 유지
- 테스토스테론 (Testosterone): 정자 생성 및 남성 생식 기능 유지
- GnRH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성선자극호르몬(FSH, LH) 분비 조절
- FSH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난포 성숙 및 정자 생성 촉진
- LH (Luteinizing Hormone): 배란 유도, 테스토스테론 분비 촉진
- 배란 주기와 착상 과정: 수정, 배란, 착상 등 임신의 핵심 단계
7. 관련 자료
-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Infertility definitions and causes.
- Americ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ASRM). Reproductive health and infertility reports.
- Agarwal A, Baskaran S, et al. Male infertility. The Lancet.
- Jeve YB, Bhandari HM. Effective treatments for poor ovarian responders: meta-analysis of randomized trials.
-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NICHD). What causes infertility in men and women?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Infertility FAQs.
- Practice Committee of the Americ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Optimizing natural fertility: a committee opinion. Fertility and Sterility.
- Yen and Jaffe’s Reproductive Endocrinology.
- Speroff L, Fritz MA. Clinical Gynecologic Endocrinology and Infertility.
- 대한산부인과학회, 대한비뇨기과학회 난임 관련 보고서.